일부 기술 선점의 중요성은 단순히 앞서가는 개념이 아닌 기업의 생존의 직결됩니다
중국의 인공지능 영역의 빠른 성장은 특유의 중앙집권적 의사결정에 가장 큰 이유가 있습니다.
안면 인식 기술은 이미 세계적 수준이고 다양한 영역에서의 AI발전 속도는 차별화 되어 있습니다.
그런관점에서 자율주행의 전면확대는 당장의 리스크가 있겠지만 단기적 리스크를 뛰어넘는 기술적 초격차를 이끌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데이터의 중앙관리는 그 개인정보가 중요한 국가보다 더 빠르게 기술적 변화를 이끌수 있습니다. 자유가 침해된다는 관점과 배치되는 중국의 전략은 어쩌면 기술적 다양한 테스트를 할 수 있다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느낌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국내의 자율주행 상황은 미국과 중국에 비하면 틀속에 갇힌 상황입니다. 여전히 고정밀 지도 기반의 특정 영역으로 제한이 되고 있는 상황이고 최근에 카메라 기반의 일부 기업이 시험주행에 나서고 있지만 제약속의 속도는 더딥니다.
특히 자율주행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 생각도 확대의 어려움에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의 기술에 인간이 배제된 자율주행 차량만의 도심 주행이 된다면 오히려 안전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소프트웨어의 오류와 인간의 오류 중 과연 어떤것이 더 많은 리스크가 있을지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https://news-sbs-co-kr.cdn.ampproject.org/c/s/news.sbs.co.kr/amp/news.amp?news_id=N1007717517
베이징 어디든 기사 없는 택시…"벌써 뺏겨" 우한은 근심
중국이 수도 베이징 전역에서 자율주행 택시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는 건데, 논란도 만만치 않습니다.
news.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