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말종합] 2018년 03월 04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사용자 패턴·주변환경 스스로 분석… "기분까지 맞추며 교감"
개인별로 최적화된 맞춤형서비스 제공
삼성, 2020년까지 전제품에 기능 탑재
LG도 오픈이노베이션 전략 집중 공략
스마트홈협회 "대 · 중기 협력모델 발굴"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30502102632816001


2. 사물인터넷으로 미세먼지 대응…부산 학교 20곳 운용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미세먼지에 대응하는 학교가 운영된다. 부산시교육청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교실 안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미세먼지 대응 선도학교 20곳을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02/0200000000AKR20180302119800051.HTML


3. 현대重, 선박 건조에 로봇 적용…"연 100억원 절감"
현대중공업은 '곡 성형 로봇시스템'을 1년여간 작업장에 투입해 최근 검증작업을 완료했다. 곡 성형 로봇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복잡한 3차원 곡면 형상을 가진 선박의 앞뒷 부분 외판을 자동 성형해내는 기술을 말한다. 기존에 작업자가 화염가열을 통해 수작업으로 진행했던 곡 성형 작업을 고주파 유도가열과 자동 가열선 생성 기능을 갖춘 6축 다관절 로봇을 이용해 자동표준화시켰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04/2018030400342.html


4. LG유플러스, 홈IoT 끼워팔기 논란…소비자 '불만'
"인터넷·IoT 묶음 제대로 고지 안 해"…LGU+ "본사 방침 아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09517


5. 공기청정기·비데에도 AI 탑재…올 매출·이익 두토끼 잡을 자신
이 대표는 어려움을 극복한 배경으로 고객의 신뢰 회복을 꼽았다. 앞으로 계획도 털어놨다. "올해는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등 렌탈 제품을 인공지능(AI)이나 사물인터넷(IoT)과 결합하는 등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고, 외국시장 개척 등을 통해 매출액 2조7700억원, 영업이익 5250억원을 달성할 겁니다. 각각 전년 대비 10%, 11% 증가한 규모죠."
http://vip.mk.co.kr/news/view/21/20/1578936.html


6. 가로등 센서로 전력절감·주차관리… 시민 중심 `도시혁신` 진행중
'지속가능한 자급자족 도시' 비전 200여개 프로젝트
30년전 시 전체 500㎞ 광케이블 구축해 기반 마련
2010년부터 구체화… IoT인프라·기술역량 등 최고
주변 환경 데이터 수집·활용하는 조명시스템 주목
낙후 지역 첨단단지 변신 모델, 부산서 벤치마킹도
각국 R&D 활발… 구글·인텔 등 IT기업 적극 공략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30502102060041001


7. 여행·보험상품도 있네요, 책 팔던 아마존의 영리한 변신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도 발빠르게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지난해 11월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IoT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샤오미가 세계 최대 IoT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선언했다. 샤오미는 2015년부터 사용자경험(UX)을 높이고 IoT 플랫폼 구축을 위해 100개에 달하는 샤오미 생태계 기업에 100억 위안(약 1조6000억원)을 투자했다. 그 결과 공기청정기, 정수기, 로봇청소기, 자전거 등 수백개가 넘는 스마트 제품이 나왔다. 지금까지 샤오미 IoT 플랫폼에 연결된 기기는 1억대에 육박한다.
http://news.joins.com/article/2241104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