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4월 27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블록체인 이용한 '현금 없는 경제’, 정부 중앙은행의 수용 가능성은?
미 중앙 은행이 비트코인 같은 디지털 통화(화폐)를 도입하는 것은 시간 문제이며, 이를 통해 기업과 소비자가 익명으로 더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 및 판매하고, 저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Federal Reserve) 임원을 역임한 한 금융 전문가가 내다봤다.
http://www.ciokorea.com/news/38083


2. 컴캐스트 벤처, “비트코인·블록체인 전망 긍정적”
컴캐스트(Comcast) 벤처투자부문의 수석매니저 길 베이다(Gil Beyda)가 26일(현지시각)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기술 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컴캐스트는 세계 최대 케이블 방송업체이자 미국에서 가장 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이다. 벤처 부문인 컴캐스트 벤처(Comcast Ventures)를 통해 일찍이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에 참여해왔으며, 4개 파트너가 블록체인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2411


3.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공식 출범…"블록체인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할 것"
협회는 설립 취지로 ▲회원 간의 상호 협력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관련 생태계 조성 ▲신규 시장 활성화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글로벌 진출 도모 ▲회원 상호간의 정보교환 네트워크 구축 ▲블록체인 업계의 입장을 대변하여 공공 복리 증진 기여를 들었다. 이날 총회에서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유닛장이 2년 임기의 협회장으로 추대됐다. 오 의장은 “지난해 말과 달리 최근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폭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 블록체인 산업이 글로벌 사회에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지 함께 고민을 풀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2412


4. 中 화웨이, "금융·통신 등 4대 영역 블록체인 주력"
IoT 영역에서는 3개 소분류로서 신재생에너지, 공급망추적, 카인터넷 등이 포함됐다. 신재생에너지 영역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포인트투포인트(P2P) 거래 시스템을 구축해 신뢰할 수 있고 가치 이전까지 가능한 거래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할 계획이다. 공급망추적 영역에서는 데이터 공유와 프로세스 연계를 통해 데이터 투명성을 높이고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카인터넷 영역에서는 공유 자동차의 동선과 속도 등 정보를 이해관계자(보험회사 및 자동차 회사)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https://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427051941


5. 美 포브스, '식품산업계 블록체인 활용 방안 3가지' 제시
2015년 말 미국 유명 레스토랑 치폴레(Chipotle)에서 대장균(E coli)이 검출되어 전년대비 분기실적이 44%로 떨어진 사례가 있다. 이후 치폴레는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처럼 식품산업에서 신뢰도 구축은 가장 중요하면서 동시에 가장 취약한 문제이다. 블록체인은 조작이 어려운 기록 기능과 출처와 물품 소재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추적 기능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활용 가능하다.
https://tokenpost.kr/article-2415


6. 한국신용데이터-두나무, 블록체인 기반 금융상품 공동개발
한국신용데이터는 중소사업자를 위한 매출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개발하는 회사다. 캐시노트는 사업자가 직접 하기 어려운 매출관리 업무를 카카오톡 기반으로 제공한다. 출시 1년 만에 전국 7만 개에 달하는 사업장에 도입됐다. 앞서 지난해에는 카카오, KT, KG이니시스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두나무앤파트너스는 한국신용데이터가 7만 개에 이르는 사업자 접점을 확보했고 매월 2조 원이 넘는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모으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사업자 금융상품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확보에 있어, 구조적 경쟁우위를 가진 회사라는 판단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2404


7. KT-이니텍, 블록체인 기술로 인증 서비스 제공
향후 이니텍은 ‘KT 블록체인 통합인증’ 솔루션 확대를 위해 공공·금융 분야의 기존 이니텍 고객 100여개 사에 업그레이드를 제안하고, 신규 고객사 확보를 위한 영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KT는 블록체인 통합인증 솔루션이 기업의 통합 인증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신분증을 대체할 수 있도록 적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8885


8. 소니,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블록체인 활용
26일(현지시각) 코인데스크의 보도에 따르면 소니는 미국 특허상표국(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특허를 청원했다. 소니는 기존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의 허점을 지적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혁신을 시도했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구매 고객의 신원정보를 저장하고, 저작권 관리를 받는 디지털 제품에 대해 제한된 접근권을 제공한다. 소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락커인 '울트라바이올렛(UltraViolet)'을 예시로 들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2408


9. 넥스지, 키르기스스탄과 블록체인 스마트팜 구축 위한 MOU 체결
현지에서 진행된 이번 MOU에 키르기스스탄의 전 농림부장관이자 현 대통령 고문인 아께네에브 주마카드로, 현 농림부 해외투자과 청장인 레나트 토크바에브, 대통령실 행정실장인 스마토브 에밀벡, 현 주한 키르기스스탄 참사관 아타이 나마트바에브 등 키르기스스탄 정부 고위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8908


10. 국산 블록체인 개인 신용정보서비스… 베트남에서 큰 관심, 무슨 이유?
우리 정부의 '남방 정책'의 핵심 거점 국가로 새롭게 급부상하고 있는 베트남에서 한국 금융IT 및 핀테크에 대한 '한류' 바람이 거세다. 그리고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혁신 플랫폼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핑거의 베트남 현지 법인인 핑거비나(대표 이정훈)는 지난 20일 베트남 하노이 중앙은행 IT센터에서 개최된 ‘베트남-한국 금융 포럼 2018’ 행사에 참가했다고 26일 밝혔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핑거비나는 자사 관계사의 블록체인 기반 신용정보자산화서비스인 마이크래딧체인(MyCreditChain, 이하 MCC)을 소개해 큰 주목을 받았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8303


11. "블록체인, 강력한 유스케이스 나와야"
[2018 키플랫폼]니클라스 콜스터 윈저AI CEO 인터뷰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42515411759379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