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말종합] 2018년 05월 13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LG CNS,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 출시
LG CNS 측은 “모나체인이 제공하는 3대 핵심 디지털 서비스는 디지털 인증, 디지털 커뮤니티 화폐, 디지털 공급망 관리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인증은 모든 산업영역에 블록체인을 적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이다. LG CNS는 국제표준인 ‘분산 신원 확인 기술’을 사용해 다른 시스템과 연계가 쉽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병원에서 증명서를 받고 보험사에 청구한 후에야 보험금을 지급 받았다면, 모나체인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병원에서 의료비 결제를 함과 동시에 보험금을 자동으로 받을 수 있다. 보험금 청구 관련 정보가 보험사와 병원 사이에 쉽게 공유되기 때문이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3/2018051300315.html


2. 관세청, 블록체인 기반 통관 물류 시범사업자 모집
관세청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수출 통관 물류 서비스 및 전자원산지 증명서 발급·교환 시범사업에 참여할 시범사업 기업을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관세청이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성해 제공하면 참여 기업이 자사의 시스템에 연계해 실제 통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6&year=2018&no=303545


3. 한국으로 몰리는 해외 블록체인 기업…"자금·이용자 확보"
스팀잇·IOS 등 국내 진출…신생 스타트업이 대부분
투자 열기 높고 이용자 반응 빨라…"국내 기업은 규제에 발목"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8&year=2018&no=302917


4. 한국블록체인협회-중기중앙회, 25일 컨퍼런스 개최
한국블록체인협회와 중소기업중앙회는 오는 2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에서 찾는 중소벤처기업의 새로운 기회라는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기술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협회 회원사들이 실제 진행해 온 적용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들의 새로운 사업기회를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12163146&type=det&re==


5. 블록체인 공동인증 체인ID,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탑재
금융투자업계는 체인ID와 삼성패스를 접목해 투자자의 스마트폰 주식 거래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용자는 별도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도 체인ID를 이용할 수 있다. 삼성패스는 삼성전자 스마트폰 내 지문, 홍채 등 생체정보를 이용한 본인인증 기술이다. 김태룡 금투협 정보시스템실장은 “체인ID는 올해 중 은행권 블록체인 공동인증 시스템과 연계해 금융소비자 편의성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며 “금융거래는 물론 본인인증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ID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http://www.etnews.com/20180511000449


6. “블록체인, 신재생에너지에도 필수적”
우태희 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지난해 34년간의 공직생활을 마치고 블록체인이 가져올 혁신을 연구하고 있다. 행정고시 27회를 수석으로 합격한 후 산업정책과 통상, 에너지 등의 분야를 두루 거친 우 전 차관은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다. 올해 초부터 한국블록체인협회 블록체인산업발전위원장을 맡아 신산업을 개척하고 있는 우 전 차관으로부터 블록체인과 그 미래가치에 대해 들어봤다.
http://www.fntimes.com/html/view.php?ud=201805131353487506dd55077bc2_18


7.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둘러싼 3가지 의혹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사이트 업비트가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특히 가상통화 거래사이트 중 업비트가 상대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았던 만큼, 업계에 미치는 파장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검찰이 업비트를 압수수색한 이유는 △‘전자지갑 없는 코인거래’로 촉발된 사기혐의△상장 과정에서의 내부자거래 혐의 △미국거래사이트를 통한 자금세탁 및 국부유출 혐의 등으로 좁혀진다.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virtual_kr_5af7fef4e4b00d7e4c1b6143


8. “페이스북, 자체 가상화폐 발행 검토”
체다는 소식통을 인용해 “페이스북이 매우 진지하게 가상화폐 발행을 검토 중”이라고 전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을 가상화폐뿐 아니라 신원조회 등에서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업계에서는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같은 거대 IT기업이 본격적으로 가상화폐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하면, 결제 시장에 지각 변동이 일 것으로 보고 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2/2018051200702.html


9. 중국 정부 산하기관, 비트코인 등 28개 가상화폐 등급 발표한다
등급 심사 대상 암호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라이트코인, 비트코인캐시, 카르다노(ADA), 스텔라(Stellar), 네오(NEO), 아이오타(IOTA), 모네로(Monero), 대시(Dash), 이더리움 클래식, 퀀텀(QTUM), 나노(NANO), 디크리드(Decred), 리스크(Lisk), 제트캐시(Zcash), 버지(Verge), 스트라티스(Stratis), 시아코인(Siacoin), 스팀(Steem), 비트쉐어(Bitshares), 바이트코인(Bytecoin), 웨이브(Waves), 에이치쉐어(HSR), 코모도(Komodo), 아크(ARK) 등이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5136711g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