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7월 04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모피어스 랩, 블록체인 3.0 밋업서 주요 비즈니스 및 미래 전략 공유
모피어스 랩은 최근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블록체인 3.0’ 밋업에서 데모 플랫폼을 선보이며 올해 4분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플랫폼 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렸다. 이번 밋업에서는 ‘모피어스랩’의 새로운 파트너십 체결, 테스트넷 진행 소식 등 주요 비즈니스 업데이트 및 미래 전략도 함께 공유했다.
http://www.itworld.co.kr/news/109881


2. 英 보수당 의원 “영국, 최고 블록체인 담당자 필요”
영국 보수당 귀족원의 에디 휴즈(Eddie Hughes) 의원이 정부가 사회적 자율성‧효율성‧신뢰성 향상을 위해 블록체인 사용에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4일(현지시간) 시티에이엠 보도에 따르면 에디 휴즈 의원은 ‘블록체인을 밝히다’라는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관련 권고들을 내놓았다. 그는 공공서비스 및 데이터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전략을 마련하고, 대중을 상대할 블록체인 담당자를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3289


3. 유럽 은행 연합, 첫 블록체인 금융 거래 완료
3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IBM의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We.Trade'로 10곳의 회사와 해당 회사의 금융 서비스를 담당하는 은행 4곳이 5일 간 크로스보더 거래를 성공했다. 해당 거래에는 Deutsche Bank, HSBC, KBC, Natixis, Nordea, Rabobank, Santander, Société Générale, UniCredit 등이 참여했다. Société Générale 측은 "이번 거래 성공으로 유럽 내 중소기업 간 거래가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3281


4. 마이크로소프트 타이완, 블록체인 파트너십 체결
2014년부터 블록체인을 연구해 온 디지털 차이나의 창립자 순 유타오(Sun Yutao)는 “워크벤치로 중국의 블록체인 인프라 개발 시간을 최소화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물, 전기처럼 쉬운 컴퓨팅 파워 제공을 목표로 하는 핫쿨의 우 제이푸(Wu Jiefu) 총괄은 “디지털 차이나의 블록체인 기술,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의 클라우드 서비스, 핫쿨의 MSP가 미래의 청사진”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3284


5. 스위스 주크시, 블록체인 기반 지방 자치 시범 투표 완료
크립토 밸리라고도 알려진 주크시는 작년 11월 런칭한  디지털 신원 (eID) 시스템을 이용해 블록체인 기반 투표 시스템을 테스트할 계획을 발표했다. 주크시의 커뮤니케이션 담당자인 디터 뮐러(Dieter Muller)는 스위스 현지 언론사에 “테스트는 성공적이었다. 앞으로 몇 달 동안 프라이버시, 투표 결과의 보안 및 검증 가능성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572


6. 파수닷컴, 블록체인 기반 진본증명 플랫폼 ‘파수블록’ 출시
파수닷컴은 전자문서 인증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손쉽게 시점확인 및 진본증명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출시했다. 파수블록을 기반으로 파수닷컴의 문서보안 솔루션인 파수 엔터프라이즈 디알엠(Fasoo Enterprise DRM)과 엔터프라이즈 다큐먼트 플랫폼인 랩소디(Wrapsody)에 블록체인 기반 증명 기능을 구현했으며, 타 문서관리 솔루션들도 파수블록을 통해 진본증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0993


7. 블록체인, 한국 의료산업 고질적 병폐 해결사 될까?
KISDI, 정보 비대칭성·의약품 유통관리·심사평가시스템 등 개선 가능 예상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7716


8. 홍콩, 규제 빗장은 풀지 않으며 블록체인 허브 희망
홍콩은 중국과 다른 정치 시스템을 갖고 있다. 그러다 보니 중국과 홍콩은 암호화폐에 대해 취하는 노선이 사뭇 다르다. 덕분에 여러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은 규제를 피해 홍콩처럼 친암호화폐적인 국가로 자리를 옮겼다. 가령, 중국 당국이 ICO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자,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는 홍콩특별행정구로 거처를 옮긴 바 있다. 2017년 9월경 홍콩 정부는 블록체인에 대한 지지를 보내며 암호화폐에 대해 중국보다 훨씬 우호적인 입장을 갖고 있음을 천명했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610


9. 두나무 람다256, “블록체인 파트너로 함께해요”
도메인 서비스 파트너는 DBS를 통해 새로운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할 파트너를 모집하는 분야다. 람다256은 도메인 지식을 가지고 게임, 콘텐츠, 결제, 공공서비스, 물류,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또는 미들웨어 개발이 가능한 파트너사를 찾고 있다. 람다256은 제안 프로젝트의 기술적 우수성 및 독창성, 사업화 가능성 등을 검토해 공식적인 제휴를 맺는다고 밝혔다. 채택된 파트너와는 공동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사업화할 계획이다.
http://www.bloter.net/archives/314050


10.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 계약체결 기술 특허 등록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미탭스플러스(대표 김승연)는 블록체인 기반 계약체결(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이용한 KYC(Know Your Customer) 수행 원천 기술의 특허 등록이 지난 6월28일 결정됐다고 4일 밝혔다. ‘KYC 수행’ 기술 특허는 스마트 컨트랙트 간의 토큰 흐름을 이용해 개인 식별 절차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국내 최초로 등록 받았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특허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식별 관리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이며 발명자는 김승연, 임지순, 전경찬 3인이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0332


11. "블록체인, 보험 청구·심사와 의약품 유통 보완 대책"
기존안이 해결 못한 의료산업분야 고질적 문제 해결할 방안‥제도적·기술적 보완은 병행되어야
http://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22234&MainKind=&NewsKind=5&vCount=12&vKind=1


12. 블록체인, 희소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신약 개발 제약 회사나 치료법을 연구하는 연구소에서는 체계를 갖춰 수집된 건강 데이터가 필요하다. 건강 데이터는 전문가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의료 데이터와 다르다. 예를 들어 당신이 오늘 얼마나 걸었는지, 그래서 심장 박동 수는 얼마나 됐고 체온은 어땠는지, 또 기분은 어땠는지 등 당신이 매일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몸에 대한 모든 데이터도 건강 데이터다.
http://www.etnews.com/20180704000479


13. 매트릭스투비,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 시장 공략 본격화
수출입솔루션 전문업체 매트릭스투비가 블록체인기반 솔루션 시장에 뛰어든다. 기존 수출입통관 등 대세관 업무 솔루션에 블록체인을 도입하고 곧 출시예정인 새 솔루션에도 블록체인을 적용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다. 매트릭스투비(대표 장세열)는 관세청 블록체인 시범사업 추진을 계기로 자사 솔루션에 블록체인을 적용, 문서 위변조를 방지하고 스마트한 무역업무가 가닌 솔루션 구축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www.etnews.com/20180704000147


14. 에스토니아 전자정부 키 잡은 CIO…"블록체인 다양한 실험중"
유럽의 IT 강소국인 에스토니아 정부는 통상 IT기업에서 찾아볼 수 있는 최고정보책임자(CIO)를 따로 두고 있다. 전 국민의 정보 통합 관리는 물론 전자영주권과 전자 신분증 등 에스토니아 전자정부의 주요 정책을 총괄하는 자리다. 전자정부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도 정부 최고정보책임자의 손끝에서 결정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04/0200000000AKR20180704070200002.HTML


15. 스마트홈 블록체인 융합 사례 활발, 보안·확장성 높인다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블록체인 기술 접목이 활발하다. 블록체인의 '탈중개성'을 활용한 주거 임대 서비스가 시현됐고 IoT 기기 보안을 강화할 수단으로도 주목받는다.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는 4일 서울 서초구 쉐라톤 서울팔래스강남호텔에서 리더스포럼을 열고 블록체인과 IoT 기기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독일 스타트업 '슬록잇(Slock.it)'과 미국 '필라멘트(Filament)', 한국 '에이치닥(HDAC) 테크놀로지' 등이 IoT 기기와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사업을 벌이거나 적용 모델을 만들었다.
http://www.etnews.com/20180704000234


16. ‘2018 블록체인엑스포’, 부산서 7월 26일부터 이틀간 개최
ICT 기술 블록체인산업군을 볼 수 있는 ‘2018 블록체인엑스포’가 오는 7월 26일, 27일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한국해양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LINC+사업단)과 블록체인엑스포위원회가 주최하며, 부산테크노파크, 부산과학협회, 프로비즈가 주관한다. 다양한 4차산업의 핵심 ICT 기술 산업군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스마트시티 체험행사까지 계획되어 있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http://www.etnews.com/20180704000268


17. 아소비모 대표 “블록체인, 10조 디지털중고마켓 만들겠다”
콘도 대표 “4일 아소코인 ICO... 게임규모 만큼 완전히 새 시장 창출"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8421


18. 하반기 반등 가능성…'블록체인과 가상화폐 전망' 6일 한경닷컴 세미나
6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에메랄드홀
거래소 지닉스, 에이치닥·에어블록·컬러즈 등 발표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7044692g


19. "한국, 블록체인 혁명 주도권 잡을 기회 눈앞에서 놓칠판"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8' 강연자로 나서는 김서준 해시드 대표
각국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한국에서 펼쳐질수 있도록
규제 정비해 판 깔아주면 인재들도 알아서 찾아올 것
http://www.fnnews.com/news/201807041714185807


20. 건강보험 사기·의료 브로커, 블록체인으로 원천봉쇄한다
4일 시장조사업체 BIS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의료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곳은 올해 14%에 불과하지만, 오는 2020년까지 약 70%의 의료기관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해 매년 110조~167조원의 경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전망됐다. 블록체인으로 데이터 유출과 IT 운영 비용 감소, 브로커 및 보험 사기방지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게 BIS리서치의 분석이다. 의약품의 완벽한 원산지 추적으로 위조 약품도 근절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의료보험 사기가 건강보험 재정 악화의 주범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미래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해 대응하는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70502100151041001


21. 고팍스, 아트센터 나비와 국내 최초 블록체인 축제 연다
'2018 크립토 온 더 비치'는 내달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강원도 양양군에서 개최된다. 고팍스와 아트센터 나비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 블루포인트, 보맵, 모스랜드가 후원한다. 정부기관과 비영리기관, 블록체인 업계 및 전문가 등이 블록체인 기술의 사회적 역할을 탐구한다. 기존 포럼 중심 행사에서 벗어나 세미나, 교육, 해커톤, 서핑 등을 통해 블록체인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http://www.etnews.com/20180704000360


22. 영국 식품표준청, 블록체인 기반 육류 유통망 구축해
2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는 영국 식품표준청(Food Standard Agency)이 블록체인 기술 기반 육류 유통망을 구축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식품표준청은 투명한 육류 유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도축장에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완수했다. 이달에 더 많은 시범사업을 선보일 예정이며 이를 통해 더 많은 가축업자가 가축에 대한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http://www.ak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935


23. "마음껏 개발하라"…블록체인 규제 풀어주는 英
선정 기업 중 41%에 달하는 기업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었다. 이중 6곳은 블록체인의 핵심 개념인 분산원장기술(DLT)을 적용해 주식 발행 등을 자동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다른 2곳은 블록체인 기반 보험 서비스를 준비했으며, DLT를 지리정보, 인공지능(AI) 등과 결합하는 서비스를 개발 중이었다. 가상통화와 관련된 서비스를 준비하는 기업도 있었다. 케이펙스무브라는 기업은 가상통화 등과 같은 암호화폐 자산의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을 준비했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70414522442813


24.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이용 ‘KYC 수행’ 기술 특허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미탭스플러스(대표 김승연)는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이용한 KYC(Know Your Customer) 수행하는 원천 기술의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KYC 수행’ 기술 특허는 스마트 컨트랙트간 토큰 흐름을 이용해 개인 식별 절차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국내 최초로 등록 받았다. 특히 기존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ICO 등을 통해 자금을 공모할 때 이메일 주소, 연락처, 기타 소셜 네트워크의 ID 및 여권 사본 등의 조회를 통해 신원을 조회하고 이메일/휴대폰을 통한 인증코드 발급 등의 불편한 절차가 해소될 전망이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289


25.  “의료관광에 블록체인 결합...세계 어디서도 응급치료 가능”
.미하일 케르테즈 에트힐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29일 서울 강남 역삼동 한 카페에서 기자와 만나 “응급 상황 또는 낯선 해외에서 잘 알지 못해 치료를 못 받는 일은 없애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블록체인 기술로 전 세계의 병원 위치, 가격 등을 취합해 올바른 정보를 찾기 힘든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목적이다. 에트힐은 병원의 리뷰·종류·서비스 등을 정리해 놓은 것으로, 각 개인에 적합한 의료 서비스를 찾을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플랫폼이다. 빅토르 타보리 에트힐 공동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오토바이 사고를 당했을 때 구글에 검색을 해도 결과가 잘 나오지 않아 근처 응급실을 찾지 못해 애를 먹었던 게 에트힐의 창업 계기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70301000178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