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72369172
2018년 07월 23일 자율주행차 관련 뉴스


1. 자율주행차 개발 경쟁 '이종격투기', 최후승자는 누구?
http://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3162


2. 구글 웨이모 자율주행차, 하루에 4만㎞ 시범 주행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부문 웨이모가 2018년 7월 기준 공공 도로에서 800만마일(1287만4752㎞)을 주행했다. 6월까지의 주행거리가 700만마일(1126만5408㎞)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한 달 만에 100만 마일(160만9344㎞)을 추가로 달린 것이다. 20일(현지시각) 미국 경제 전문 방송 CNBC에 따르면 존 크라프칙 웨이모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뉴멕시코주에서 열린 전미주지사연합(NGA) 회의에서 “웨이모 자율주행차는 공공 도로에서 하루에 2만5000마일(4만233㎞)을 주행했다”고 말했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3/2018072302320.html


3. 美 컨슈머리포트, “소비자는 자율주행보다 보조 기술 선호”..이유는?
그는 또 “이러한 상황에서도 주요 메이커들이 자율주행차를 개발하는데 주력하는 건 단지 소비자가 원하기 때문만은 아니다”라며 “제조사들은 이러한 기술들을 제공함에 따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소비자들은 자율주행으로 인해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할 수 없는 상황보다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위험을 감소시켜주는 기술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는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과 후방 카메라가 사고 위험을 각각 14%, 17% 줄여줄 것으로 예상했다.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0669


4. "42조 필요한 뉴욕지하철, 자율주행도로로 바꾸자"
美 곳곳 자율주행차 상용화로 대중교통 투자하지 말자 목소리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72315360043519


5. 볼보트럭, 항만용 자율주행 앞세워 중국 사업 확대
23일 외신에 따르면 볼보는 중국 현지 협력사들과 항만용 자율주행트럭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로 외에 반폐쇄 구역인 항만에 자율주행차를 도입해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볼보는 현재 세계에서 운행 중인 70만대의 커넥티드 트럭과 건설장비가 항만의 교통체증을 해결하고 운송 효율을 높이는 지속 가능한 운송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유리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72369172


6. 현대차, 연말까지 군집주행 화물차 개발…상용차 자율주행 연구 박차
12월까지 '군집주행 시스템 및 차량' 개발
'자동 차간 거리 유지 시스템'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무선통신 시스템(V2X)' 개발 몰두
교통안전, 연비절감, 물류 시스템 혁신 기대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723010012806


7. 자율주행 사고책임 '새 잣대' 시급
국회도서관·법제연구원, '인공지능시대의 법적 쟁점' 세미나 열어
기존 일반불법행위책임법리, 완전자율주행단계 적용 힘들어
자배법·제조물책임법·공작물하자책임법 등도 직접 적용 한계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2995


8. 콘티넨탈, 조직 개편 발표 … 3개의 주력 사업 부문 갖춰
한편, 현재의 샤시안전 및 인테리어 사업본부는 2020년 초까지 재편성된다. 두 사업본부는 ‘자율 주행 기술(Autonomous Driving Technologies)’과 ‘차량 네트워킹 기술(Vehicle Networking Technologies)’ 로 새롭게 명칭이 변경될 계획이며, 영업실적은 새롭게 출범하는 콘티넨탈 오토모티브그룹 부문에 보고된다. 신설되는 중앙 오토모티브 R&D 조직은 양쪽 분야 모두를 지원하게 된다.
http://c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3/2018072300735.html


9. "캄브리아기 대폭발처럼"··· AI 하드웨어 가속기가 몰려온다
이와 동시에 AI 최적화 칩셋으로 신경망 프로세서(Nervana)), FPGAs(Altera), 컴퓨터 비전 ASICs(Movidius), 자율주행 자동차 ASICs(MobilEye) 등 여러 아키텍처 카테고리에서의 부상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AI도전과제를 위해 자율 학습 신경구조 및 양자 컴퓨팅 칩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도 있다.
http://www.ciokorea.com/news/39004


10. 세종·부산 스마트시티 밑그림 나왔는데…1조7천억 들여 공유자동차·물 특화도시?
뇌 과학자인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기본 구상 작성을 총괄한 세종 스마트시티는 공유 자동차를 활용하는 도시로 설계된다. 일단 개인 소유 자동차는 생활권에 진입할 수 없다. 개인 차는 도시 입구에 주차해두고 내부에서는 자율주행차, 공유차량, 자전거를 이용해야 한다. 인공지능(AI)으로 교통 상황을 분석해 스마트시티 내부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고 드론이나 로봇을 활용한 무인배송도 도입하기로 했다. “교통 정체 없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통 시스템을 만든다”는 것이 정 교수 구상이다.
http://vip.mk.co.kr/news/view/21/20/1616427.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