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7월 25일 자율주행차 관련 뉴스


1.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차 안전성 높인 조향장치 개발
전장품 소형화와 소프트웨어 역량 조합한
자율주행 차에 최적화된 신개념 조향장치
“양산 사례 없는 신기술…2020년 양산 목표”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854768.html


2. 우버 자율주행차, 인명사고 4개월 만에 도로 위 달린다
인명사고 발생으로 자율주행테스트를 전면 중단한 우버가 4개월 만에 이를 재개한다. 사고 발생 시점이 얼마 지나지 않은 만큼 우버는 수동모드 운행, 전문가 투입, 차량 안전 기능 강화 등에 주의를 기울였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량 사상 첫 인명사고에도 불구하고, 우버는 빠른 시일 내 자율주행모드 테스트를 희망하고 있어 대중의 비난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24일(현지시각) 엔가젯 등 다수 외신에 따르면 우버는 미국 피츠버그에서 자율주행차량 볼보XC90의 테스트를 재개한다. 다만 수동모드로 운행한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1000


3. 목재 수송도 자율주행 트럭으로
첨단기술 전문 매체 뉴아틀라스(Newatlas)는 엔비디아가 스웨덴의 자동차 전문 벤처기업과 손을 잡고 자율주행 트럭을 공동으로 개발 중이라고 보도했다. 뉴아틀라스에 따르면 이 자율주행 트럭은 ‘자율주행차 기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인 레벨 4에 해당하는 뛰어난 성능을 갖췄다.
http://www.sciencetimes.co.kr/?news=%EB%AA%A9%EC%9E%AC-%EC%88%98%EC%86%A1%EB%8F%84-%EC%9E%90%EC%9C%A8%EC%A3%BC%ED%96%89-%ED%8A%B8%EB%9F%AD%EC%9C%BC%EB%A1%9C


4. 포드, 자율주행차 개발에 4조5천억 투입..2021년 상용화 계획
포드는 오는 2021년 대규모 자율주행 상용차를 론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 포드 자율주행차 회사는 이를 위한 모든 연구 및 개발 과정을 담당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당 회사에서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통합을 비롯, 자율주행 기술 연구 및 엔지니어링 등을 진행하며, 이 외에도 자율주행차 서비스 네트워크 개발, 사용자 경험 연구, 사업 전략 수립 및 사업 모델 개발 등에도 나선다.
http://c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5/2018072501127.html


5. 현대차, ‘라스트 마일’ 시장 진출..자율주행·퍼스널 모빌리티 사업 모색
현대자동차는 25일 메쉬코리아, 중국 임포터에 전략 투자를 단행하고 ‘라스트 마일’ 시장 진출을 모색한다고 밝혔다. 라스트 마일은 1마일 내외의 최종 구간을 뜻하는 말로, 물류 및 공유업체들은 이를 통한 무인 배달 서비스 등을 선보이고 있다. 라스트 마일은 물류와 유통업계에서는 ‘최종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마지막 단계’를 의미하며, 최근 온라인과 모바일 등 이커머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 서비스 시장도 이에 맞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http://c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5/2018072500558.html


6. 자율주행부터 수소차까지..도쿄올림픽서 신기술 공개하는 토요타
해외 자동차 전문 매체 카스쿱은 24일(현지 시각) 토요타가 다가오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 수소차, 자율주행 기술, 모빌리티 서비스, 커넥티드 모빌리티, TPS(Toyota Production System) 기반 교통 서비스 등 미래차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토요타는 이를 통해 2020 도쿄올림픽 기간 동안 방문하는 전 세계 주요 관계자, 선수 및 관중들에게 미래차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브랜드 기술력에 대한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http://c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5/2018072501128.html


7. `드론 날고 자율주행 빅데이터 만들고` 민관, 신사업 혁신과제 해결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수도권 최초로 드론 시범공역이 설정된 것이다. 앞서 옴부즈만은 수도권에는 드론 테스트 베드가 없어 드론 성능을 시험하려면 지방까지 내려가야 한다는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  이에 국토부가 지난 6월 수도권에서 최초로 경기도 화성을 드론 시범공역으로 지정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공적자금 등을 마중물로 활용해 '드론 특화 민간펀드' 조성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또 옴부즈만은 자율주행차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모아 일반에 공개해야 한다는 업계의 의견을 국토부에 전달했고, 정부는 '자율주행 지도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과 '자율주행데이터 공유센터'를 구축해 기업의 데이터 접근성을 높이기로 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72502109932781003


8. 자율주행차, GM차 살리기 투 트랙을
전북도가 군산GM 폐쇄 후 군산과 전북경제 회생을 위한 대안으로 ‘친환경 상용차 자율군집주행 글로벌 전진기지’ 조성 사업을 정부에 제시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전력하고 있다. 군산과 새만금에 자율주행 전기상용차 부품단지를 조성하고 자율군집주행 실증기반을 조성하며 전장부품 공동연구 공간 등 R&D 기반을 조성해 자율주행차 글로벌 전진기지로 만들겠다는 의욕이다.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46842


9. 삼성, GPU 핵심인재 영입…AI·자율주행차 시너지 낸다
업계 1위 엔비디아서 활약한 치엔 핑 루 박사
AI시대 꼭필요한 기술…GPU 개발 프로젝트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72511160110947


10. "日기업 부활에 4차산업 있다…다음 세대 혼다 나올 것"
혼다는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부문을 맡고 있는 웨이모와 협업을 통해 약 1천640억달러의 인도 물류시장을 겨냥해 화물배송용 자율주행차를 개발할 계획이다. 닛산은 일본 IT기업 DeNA와 협업해 자율주행차 택시 서비스 브랜드 '이지라이드'를 발표했다. 의료·헬스분야에서도 재생의료 및 로봇개발의 진전으로 부담이 적은 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재생의료 시장은 2030년 1조6천억엔으로 전망되고 있다.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022300&g_serial=1111939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