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8월 07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미투’부터 ‘불량 백신’까지…블록체인으로 정부 검열 맞서는 중국인들
블록체인을 통한 검열 견제 움직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중국에서는 ‘미투’ 운동이 블록체인을 통해 전개된 사례가 있었다. 지난 4월, 중국 북경대의 한 학생은 당국의 인터넷 검열을 피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성폭력 사건을 폭로하는 글을 올렸다. 20년 전 북경대 내 교수-학생 간 성폭력 사건에 대한 실태를 밝히고자 하는 움직임에 대해, 중국 당국이 제재를 가하자 네티즌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해 당국에 맞선 것이다. 한 네티즌은 이를 ‘역사적인 거래’라고 평하기도 했다.
https://platum.kr/archives/104406


2. "블록체인 기업, 제주서 맘껏 놀게 하자"
업계·협단체, "특구 지정해야" 한 목소리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07150843&type=det&re=zdk


3. 파리스 웨이스, 블록체인으로 ‘소셜 임팩트’ 꿈꾸다
국제연합(UN)에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블록체인 위원회’가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소셜 임팩트를 꾀하는 조직이다. 지난 7월23일 이 위원회의 파리스 웨이스 위원이 한국을 찾았다. 그는 블루웨일이 7월23일 개최한 ‘VIP 서밋 코리아’ 행사에 참석했다. 디지털타운 부사장이기도 한 파리스 위원은 “블록체인 기술은 서울, 뉴욕 등 선진화된 도시에만 필요한 게 아니다. 개발도상국의 소도시와 마을 공동체에도 필요하다”라고 역설했다.
http://www.bloter.net/archives/316520


4. 테조스 창립자, 수원 삼성전자서 블록체인 강연
테조스는 지난해 암호화폐공개(ICO)를 통해 2억3천200만 달러를 모금한 대형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팀 드레이퍼, 윙클보스 브라더스 등 유명 암호화폐 벤처캐피털리스트가 테조스에 투자해 주목을 받았다. 캐슬린 브레이트만은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분야 전문가다. 테조스 창립전 70개 이상의 금융 회사와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 선임 전략가로 일한 바 있다. 또 액센추어,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월스트리트저널에서도 근무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07091849


5. 2030년 은행, 블록체인 도입으로 '30조 절감 효과' 본다
6일(현지시간) CCN 보도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주니퍼리서치(Juniper Research)는 자산 관리, 규제 이행 등 블록체인으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다양한 금융사업 부문을 다룬 보고서 '블록체인의 미래, 핵심 기회와 도입 전략 2018~2030'을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온체인 거래 기준, 은행 운영비의 11% 이상을 절감할 수 있다. 규제 이행 부문의 경우, 블록체인으로 자금세탁 검토 절차를 자동화해 2~3년 내 최대 50%의 비용 절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3697


6. 인도 주정부, '블록체인 지구 형성' 목표로 IT업체와 MOU
현지 보도에 따르면 텔랑가나 주정부는 직접 나서 해당 지구 인프라 건설을 지원하며,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규제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테크 마힌드라는 블록체인 생태계 설립을 위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테크 마힌드라는 현재 인도 내 스타트업들에게 맞춤화된 블록체인 플랫폼 '일레븐01 프로토콜(Eleven01 protocol)'을 개발하고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3694


7. '2018 블록페스타', 전세계 블록체인 리더가 한 자리에 모인다
블록체인 암호화폐 전문뉴스인 '블록미디어'와 블록체인 산업진흥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서울시가 후원하는 '2018 블록페스타'가 오는 8월 22일, 23일 이틀 간 서울 SETEC(학여울역 국제회의장 및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블록페스타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과 건전한 암호화폐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글로벌 리더, 전문가, 관계자 등이 모여 현안과 과제를 논의하고 통찰력을 공유하는 자리다.
http://it.donga.com/28027/


8. 블록체인 휴먼스케이프, 서울성모병원과 환자데이터 연구협력
블록체인 프로젝트 휴먼스케이프(대표 장민후)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가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와 ‘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양사는 희귀, 난치질환환자 신약과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블록체인 기반 환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07093952


9. NFL 플레이어 협회, 블록체인 시동에 투자
6월 스포츠캐스터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스포츠 시장을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인 팬체인을 발표했다. 팬체인을 통해 스포츠캐스터 사용자는 플랫폼에 참여할 때 토큰을 받을 수 있으며 이 토큰을 사용해 프리미엄 NFL 플레이어 콘텐츠를 잠금 해제하고 스포츠 티켓이나 상품을 구매하고 NFL 플레이어에게 가상 선물을 보낼 수 있다. 이 계약의 일환으로 스포츠캐스터는 사용자가 비디오 스트림 및 채팅을 포함해 다양한 스포츠 주제에 관해 토론할 수 있게 해주는 모바일 앱 및 웹 기반 플랫폼의 범주에서 NFLPA의 공식 라이센스를 취득하게 된다.
http://www.dcoinnews.net/nfl-%ED%94%8C%EB%A0%88%EC%9D%B4%EC%96%B4-%ED%98%91%ED%9A%8C-%EB%B8%94%EB%A1%9D%EC%B2%B4%EC%9D%B8-%EC%8B%9C%EB%8F%99%EC%97%90-%ED%88%AC%EC%9E%90/


10. 웨스트버지니아, 55개 카운티에 블록체인 부재자 투표 시스템 도입
웨스트버지니아 주가 블록체인 모바일 투표 앱을 55개 전체 카운티에 제공한다고 7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주는 지난 5월 예비 선거 당시, 해리슨 카운티와 모넌갈리아 카운티의 일부 군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투표 앱의 파일럿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시 웨스트버지니아 주 보좌관 맥 와너(Mac Warner)는 파일럿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11월 중간 총선 기간에 투표앱을 주 전역에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https://tokenpost.kr/article-3700


11. 프랑스 기업 "항공기엔 블랙박스, 스마트시티엔 블록체인"
고드프루아 조르당 스마트합 대표는 최근 “항공기 블랙박스가 운항 정보를 수집하듯 스마트시티에도 데이터 관리 장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스마트합은 프랑스 블록체인 스타트업이다. 2016년 문을 열었다. 스마트홈에 도입 가능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선보였다. 조르당 대표는 “스마트시티를 둘러싸고 30억개 이상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작동한다”며 “블록체인을 통해 수많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http://www.etnews.com/20180807000186


12. 이뮤직(eMusic) "블록체인으로 음악산업의 공정한 수익구조 만들 것"
20년 간 4,700만 명의 이용자들이 이뮤직에서 새로운 음악과 아티스트, 음반사를 접할 수 있었다. 약 2,600만 곡이 10억 회가량 다운로드됐다. 작년 트라이플레이(TriPlay)에 인수되면서 기존 할인 스토어에서 다기능의 디지털 음원 서비스로 탈바꿈했다. 이뮤직은 대형 음악 서비스업체 최초로 블록체인을 도입해 아티스트와 서비스업체, 그리고 이뮤직 이용자를 위한 지속 가능한 음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공정하고, 간편하고, 투명한 음원 배급 플랫폼으로 균형을 잃은 음악 업계를 개선해가고자 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3687


13. “블록체인 기존 기술로 얼마든지 해킹 가능해”
심준보 HARU 이사장, "블록체인, 탈중앙화·확장성·보안 충족 못해"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0


14. 다인리더스, 동국대 블록체인 연구센터와 블록체인 경력개발 시스템 공동 추진
이번 협약으로 다인리더스와 동국대 블록체인 연구센터 양 기관이 갖고 있는 자원 및 인프라를 상호 교류한다.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 학력 또는 기타사항을 인증하는 개인별 포트폴리오 검증 플랫폼(Career PASS 3.0)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캐리어 패스 3.0은 다인리더스가 지난 6월 중소벤처기업부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 R&D지원 사업 제품서비스화 부문으로 진행 중인 프로젝트다. 블록체인 기술을 대학생 경력개발 시스템에 적용, 채용 플랫폼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http://www.etnews.com/20180807000240


15. 정부,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지원…수강생 모집·무료
표준협회·월튼교육원, 오는 19일까지 총 50명 선발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6개월 동안 하루 8시간 수업
서울·대전 각 25명씩…이론·실무에 프로젝트도 진행
헤드헌팅사·엔젤투자자와 연계해 취업·창업 지원
http://www.sedaily.com/NewsView/1S39OOIB43


16. '성숙시장 뚫는다' 중국 블록체인 스마트폰 돌풍
탕궈 창훙 레노버 HTC 등 대형 업체 주도
세계 최초 기술 채택, 신개념 폰 출시 잇달아
http://www.newspim.com/news/view/20180807000416


17. 디센트레-시큐어스, 보안·블록체인 제휴 체결
디센트레는 이번 제휴를 통해 준비 중인 ICO플랫폼 보안솔루션 및 블록체인 결제솔루션 구축 등에 시큐어스와 협업할 계획이다. 시큐어스는 10여년 간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에 보안 인프라 구축과 네트워크 및 시스템 컨설팅, 유지보수 사업을 진행했다. 최근 정부 긴급신고 통합시스템, 인터폴 전용통신망 보안장비 유지관리 등을 수행했다.
http://www.etnews.com/20180807000079


18. 리밋, 블록체인 기반 국경 없는 송금·거래 가능 플랫폼 개발 진행
레밋은 해외 송금을 진행하고자 하는 참여자들에게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적용한(활용할 수 있게 하는) 레밋 플랫폼을 제공해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더 안전하고 더 빠르고 더 저렴하게 국경 없는 송금을 가능하게 한다. 레밋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은 거래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고 전용 메시지 채널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으며 최적화된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http://www.inter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3060


19. 바이오테크 거대 기업, 블록 체인에서 유전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할 계획
한국에 기반을 둔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바이오테크 거대 기업이 해킹이나 환자의 사생활 침해 위험 없이 유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블록 체인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서울에 본부를 두고 있는 DNA 시퀀싱 서비스 제공 업체인 마크로젠(Macrogen)은 월요일 빅 데이터(Big Data) 회사인 빅스터(Bigster)와 협력하여 2019 년 6 월까지 완료 될 계획인 게놈 정보의 배포를 위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개발하기로 했다고 언론에 보도했다.언론에 따르면 의료 분야에서는 게놈 데이터를 맞춤형 환자 진단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반면, 의약 분야에서는 신약과 치료제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263


2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 ‘아프리유니온 코인(Afriunion Coin)’ 나온다
아프리유니온 프로젝트는 아프리카에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형 디지털 통화 화폐를 제공하기위한 것으로, 아프리카 지역의 필요와 요구에 맞는 진보적이고 새로운 디지털 화폐인 ‘아프리유니온 코인(AUC)’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위해 현재 디지털 결제솔루션을 개발하는 중이다. AMBC는 이것이 단순한 지불 시스템을 넘어서 아프리카 블록체인의 미래전망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264


21. 마이토큰, 암호화폐계의 위키백과
왜 마이토큰은 암호화폐 산업의 “위키백과”로 불릴까? 마이토큰은 24시간 암호화폐 산업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상승장과 하락장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는 거래소를 떠나더라도 마이토큰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암호화폐 시세동향을 주시하게 될 것이다. 즉 마이토큰은 시장의 상승과 하락을 초월하는 플랫폼으로 암호화폐 산업의 정보 외에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770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