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8월 15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바이낸스, 블록체인 교육 플랫폼 공개
바이낸스 아카데미는 블록체인과 애플리케이션, 암호화폐와 보안 모범 사례 등 다양한 주제를 무료로 제공한다. 커리큘럼은 산업 특성을 고려해 상황별 시나리오와 전략을 곧바로 반영할 수 있게 확장할 예정. 사용자는 글로서리를 통해 빠르게 늘어나는 블록체인 용어도 실시간 학습할 수 있다. 또 자체 콘텐츠 외에도 커뮤니티가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아카데미에 제출하는 걸 장려하고 독자 피드백도 적극 수용할 계획이다.
http://www.venturesquare.net/767384


2. 팬스타임 “엔터 산업과 블록체인 만나면…”
팬스타임 측은 이 같은 구조가 기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문제점을 해결해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연예인과 팬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수익을 나눠가지는 모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선 연예인을 통해 얻은 수익은 모두 엔터 기업으로 집중됐다. 하지만 블록체인 인프라를 이용하면 연예인은 자신의 브랜드를 모두 상품화할 수 있고 팬은 이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연예인이 직접 자신의 브랜드로 상품을 관리하고 투명하게 거래할 수 있어 저작권 거래를 양성화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http://www.venturesquare.net/767388


3. 은행권 블록체인 인증 '뱅크사인' 반쪽짜리로 출시
오는 27일 출시를 앞두고 있는 은행권 블록체인 공동인증 서비스 '뱅크사인'이 모바일에서만 제공되고 PC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반쪽짜리'로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15일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당초 서비스를 계획할 때는 모바일과 PC에서 동시에 이용 가능할 수 있도록 추진했지만 준비 과정에서 모바일을 우선적으로 하다보니 PC 쪽은 뒤로 밀린 은행들이 많다”며 “PC용 서비스 출시 시기는 지금으로서는 확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15/2018081500702.html


4. WDNA, 하버드대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반 유전자 실험실 설립
싱가포르에 본부를 둔 블록체인 기반 유전자 데이터 서비스 전문기업 '세계유전자공유체인(WDNA)'이 미국 하버드대 유전자 연구센터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반 유전자 연구에 박차를 가한다.  15일  WDNA아시아태평양 본부 측은 WDNA가 미 매사추세츠대학 산하 '혁신과 기업가정신 센터' 주최로 지난 12일 하버드대에서 개최됐던 세계경제혁신포럼에 블록체인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초청받아 관심을 모았다고 밝혔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815_0000391258


5. 티엔엑스, '티-네트워크'로 프리미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한다
티엔엑스에 따르면 최근 중국 벤처캐피털 고비파트너스로부터 티-네트워크에 대한 투자 확답을 받았다. 중국 최대 크립토펀드 중 한 곳과도 투자확약이 가시권이다. 중국 2위 사물인터넷(IoT) 제조사 파이컴은 티엔엑스와 기술제휴하고 자사장비에 티엔엑스 모듈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협력을 확대키로 했다. 중국으로부터 티엔엑스 서비스모델 활용범위에 대한 문의도 급증했다. 정 대표는 “중국 투자자들은 한국코인은 경쟁력 있지만 상장이 어렵고 중국코인은 상장은 쉽지만 수익이 없어 고민하고 있다”면서 “투자환경이 어려워지고 있는 중국에서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은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http://www.etnews.com/20180814000420


6. 의료에 블록체인 접목, 메디피디아 ICO 추진
메디피디아는 탈중앙화로 표현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의료관광 서비스 및 의료 매칭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플랫폼 개발 회사다. 현재 세계 특허를 준비 중이다. 신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이를 검증하는 개념증명(PoC)도 마쳤다. 프라이빗 세일과 프리세일은 이 달 20일부터 진행하며 ICO는 10월에 진행할 예정이다.
http://www.etnews.com/20180814000429


7.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소니, 3200만달러 투자 유치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소니가 골드만삭스, 니카 파트너스 주도 아래  32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안드레센 호로위츠, JP모건, 웰스파고, Y콤비네이터, 디지털 커런시 그룹 등도 참여했다. 액소니는 2016년말 웰스파고 주도로 18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7


8. 中 선전시, 텐센트와 협력해 첫 블록체인 송장 발행
10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선전시 세무국과 SNS 위챗을 개발한 텐센트가 협력해 첫 시범 블록체인 송장을 발행했다. 이는 중국 정부와 세무국의 승인을 거친 송장으로, 사업체 및 시민들이 중국 내에서 소비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영수증을 블록체인에 기반해 출시한 것이다. 해당 시스템에 따르면 신청서를 내는 즉시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해 자동적으로 송장 고지가 이뤄진다.
https://tokenpost.kr/article-3765


9.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업체 '다윈KS', 자체 개발 암호화폐 DPEC 출시
이종명 대표는 “세상을 바꾸는 위대한 기술의 가치창출과 발현을 위해, 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정신의 기업가 정신으로 중무장하고 뼈를 깎는 노력과 열정으로 탄생시킨 암호화폐 지불 · 결제 · 환전이 가능한 시스템과 자체 개발한 암호화폐‘DPEC(Digital Payment Exchange Coin/D코인)’ 을 세상에 내놓게 되어 정말 기쁘다."면서, "생활 밀착형 공간에서 신용카드 결제와 더불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DPEC 등 암호화폐 결제가 공존할 수 있는 신개념의 지불결제 시스템을 전국 700만 소상공인 사장님들께 바친다.” 라고 출사표를 던졌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786


10. 제주도, 아시아의 블록체인 허브...한국은 여전히 ICO 규제
제주도가 자치 구역으로서 ICO를 허용하는 블록체인 허브가 되기 위한 제안서를 제출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여전히 국내 ICO를 금지하고 있다. 중앙일보에 의하면 제주도지사는 한국 중앙정부가 제주도를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를 위한 특별 구역으로 지정해야한다는 제안서를 제출한 바 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791


11. 중국, 송장 관리에 블록체인 적극 이용
중국 인민 일보 기사에 따르면 중국은 세금 목적으로 송장의 관리를 혁신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2017년 13,000만 개의 전자 송장이 유통되었다. 연간 그 성장률이 100%이상에 이른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 수치는 2022년에는 545억 5천만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항공 관련 한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전자 송장 서비스 엔드 투 엔드 서비스로서 국가 납세자 및 당국에 대하여 발급, 배달, 서류철 정리, 검사, 상환을 포괄하고 있다. 이 회사는 현재까지 약 25억 개의 송장을 발급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788


12. 엘솔컴퍼니, 블록체인 플랫폼 '인플리움' 공개
엘솔컴퍼니(대표 최준호)는 8개 탈중앙화 앱(Dapp) 기반의 블록체인 개방형 브랜드 퍼블리싱 플랫폼 ‘인플리움’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멘토링 서비스 ‘레딩크’를 비롯해 조합형 제휴 마케팅 ‘레디토’, 체험리뷰 ‘레디체크’, 지급결제 ‘소큐’ 등 8개 앱을 기반으로 브랜드 퍼블리싱 과정에서의 모든 참여자에 대한 가치를 측정하고 분배하도록 구성됐다.
http://www.the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302


13. 블록체인 신생 기업, 플레이보이에 사기로 고소당하다
한 캐나다 블록체인 신생 기업은 사기 및 계약 위반으로 플레이보이에 의해 고소당했다. 플레이보이는 자사 플랫폼에 바이스 인더스트리 토큰(VIT)을 통합하는 데 글로벌 블록체인 테크놀로지 (GBT)가 도움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3월에 이 신생 기업과 서로 양해 각서(MOU)를 체결한 것으로 보인다. 비디오 시청과 관련하여 사용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플레이보이는 이 토큰을 이용할 계획이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795


14. 금투업계, 소상공인 성장 돕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한다
한국금융투자협회는 소상공인연합회, 서강대학교 스마트 핀테크 연구센터와 소상공인 전용 디지털광장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지난 13일 체결했다. ‘소상공인 전용 디지털광장’은 소상공인들의 자생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거래장터, 스마트계약, 금융서비스, 정책자금지원 서비스와 소통수단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http://www.fntimes.com/html/view.php?ud=20180815125807229f09e13944d_18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