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말종합] 2018년 09월 09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치열해지는 AI허브 경쟁…삼성·LG는 미국으로, 구글·아마존은 미국밖으로
삼성전자는 지난 7일 뉴욕 맨해튼 첼시에서 인공지능(AI) 연구센터를 신설하고 개소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자의 인공지능 연구를 총괄하는 삼성리서치(SR)와 소비자가전(CE) 부문을 총괄하는 김현석 사장과 세바스찬 승 삼성전자 최고연구책임자(CSO) 부사장 겸 미 프린스턴대 교수 등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54949


2. 회계사가 인공지능에 일 뺏기지 않으려면
인공지능(AI)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인공지능 컴퓨터인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에서 보았듯이 인간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에 걸쳐 출현해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그렇다면 전문직인 회계사는 어떻게 될까. 나에겐 올해 50세 된 회계사 삼촌이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전문직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삼촌도 본인의 직업을 인공지능에 빼앗겨 자신의 노후가 불안해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53250


3. AI평가 개발자·HR 담당자 "인공지능은 거들 뿐"
“인공지능(AI) 서류평가 적용으로 자기소개서 확인에 걸리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듭니다. 똑같은 조건과 기준으로 평가해 객관성을 확보하고 HR(인사관리)부서는 디테일을 챙겨 결과에 공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AI를 파트너로 활용, 업무 보완에 중점을 두는 것이죠.” 최근 SK주식회사에서 만난 AI 서류평가 솔루션 '에이브릴 HR 포 리크루트' 솔루션 개발파트 조형준 수석과 HR(인사관리)파트 백지영 수석은 이 같이 말했다. AI를 서류전형 평가에 도입해 객관성과 신속성을 확보, 효율성과 평가 품질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http://www.etnews.com/20180907000134


4. "인공지능 판사? 기술 발달이 던지는 잔인한 질문"
내비게이션, 인공지능 스피커.. 일상으로 들어온 AI
AI 개발 목적은 상용화, 기술도 상품가치 범위 벗어나기 힘들어
인간도 잘 모르는 개념을 AI 스스로 학습할 가능성 보여
인공지능 판사가 모든 판결하는 사회? 과연 삶이라고 할 수 있나
국가와 사회는 단순한 기계 아냐, AI에 다 맡길 수는 없을 것
http://www.nocutnews.co.kr/news/5028681


5. 삼성 '승·리 콤비' 뉴욕 AI 센터 신설…인공지능 올인
(상보)2020년까지 전문인력 1000여명 확보 박차…스타트업 투자 등 차세대 성장산업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90914245637743


6. 인공지능 산업 급성장하니 음성인식 스타트업 `상한가`
손가락 소리전달·소음제거 기술
오르페오·이놈들연구소 각광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37&year=2018&no=568181


7. SKT 조직개편, 인공지능 사업-연구 '하나로'
김윤 AI리서치센터장, 통합조직 이끌어
서비스·기술위원회 신설, '고객 눈높이'
http://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18/09/09/0003


8. AI스피커 활용도 '글쎄' 가성비는 '굿'...날씨·음악감상 많이 써
글로벌 IT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AI스피커 수는 지난해보다 2.5배 늘어난 1억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는 미국(점유율 64%), 중국(10%), 영국(8%), 독일(6%), 한국(3%)에 이어 전세계 5위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올해 AI스피커 시장 규모는 300만대로 예상되며, 이는 1인 가구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약 2000만 가구의 15% 수준이다. 국내 업계 추산 기준으로도 지난해 50만대 규모에서 올 1분기 150만대를 돌파했고, 연내 3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53861


9. AI로 사원 채용 바람...지원자 표정도 읽는다
인공지능이 정교해지면서 주요 기업들이 채용 과정에서 AI를 잇달아 도입하고 있습니다. 서류 전형과 면접 등에서 지원자의 다양한 모습을 빠른 시간 안에 분석하는 AI가 채용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http://www.ytn.co.kr/_ln/0102_201809090541566686


10. 삼성전자, 뉴욕에 로봇센터… 완성되는 JY 'AI 생태계 지도'
6번째 글로벌 AI센터
실리콘밸리 이어 美에 두 번째
명문 공대 밀집 … 인재영입 쉬워
대니얼 리 부사장이 센터 이끌어
세계적 석학을 '야전 사령관'으로
글로벌 거점별로 특화 연구 
AI 생태계 주도권 확보 나서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956871


11. AI 면접, 채용평가 객관성·신속성 확보
올해 상반기 일부 기업 중심으로 공개채용 평가에서 인공지능(AI)이 활용되기 시작했다. 일부 기업은 실제 채용전형에 AI를 적용했고 몇몇 기업은 기존 지원 데이터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통해 AI 평가체계를 준비했다. AI로 객관성을 확보해 평가 공정성은 높이고 신속성을 담보해 채용시즌 HR(인사관리) 부서 격무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상반기 공채에 처음 인·적성 AI 면접을 도입한 JW중외제약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기존에 실시하던 오프라인 인·적성 검사의 비효율적 업무와 30%에 달하는 결시율, 지방 응시자 부담 등을 한 번에 해결하는 대안이 됐다.
http://www.etnews.com/20180907000135


12. 'AI에 꽂힌' 이재용…'신성장 엔진' 연구·인재영입 가속페달
6개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 유망 스타트업 잇따라 인수·투자
반도체·TV·스마트폰 이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전략 구체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9/09/0200000000AKR20180909020900003.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