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9월 28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가트너, 올해 주목할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으로 ‘옵스’ 선정
가트너가 올해 주목할 블록체인 기업으로 이스라엘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기업 ‘옵스(Orbs)’를 선정했다. 옵스는 블록체인 플랫폼 '이더리움'의 단점을 해소하겠다는 프로젝트로, 최근 한국에 사무소를 열고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옵스는 가트너가 올해 주목해야 하는 블록체인 기업으로 ▲미디어 분야의 ‘시빌(Civil)’과 ▲보안 분야의 ‘에버님(Evernym)’ ▲블록체인 기반 브라우저 프로젝트 ‘브레이브(Brave)’ 그리고 ▲블록체인 플랫폼 ‘옵스’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http://www.itworld.co.kr/news/110899


2. 라인 암호화폐 '링크' 10월 공개...블록체인 생태계 본격 공략
라인은 지난 27일 일본 도쿄 롯폰기에서 ‘라인 토큰 이코노미(LINE Token Economy)’를 주제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신규 디앱(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5종을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라인은 또 오는 10월 16일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에서 라인이 자체 개발한 범용 암호화폐인 링크(LINK)를 독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8/2018092802512.html


3. 퍼블릭형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탄생이(비트코인) 중앙집권형 금융시스템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탈중앙적인 사상을 담고 있다. 때문에 인프라 구축을 특정 중앙이 주도하지 않고 자발적 참여로 개개인을 통해 완성된다. 따라서 참여를 위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중앙집권적인 사업은 회사나 국가가 중심이 돼 인프라 확대가 가능하다. 하지만 개인 또는 회사가 자발적으로 해당 인프라 운영 및 확대를 하도록 유도하려면 이들에게 제공할 이익을 명확하게 구성할 수밖에 없다. 또 결과적으로 이익만큼 명확한 동기 요소도 드물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72313


4. 블록체인 TTC프로토콜, 테스트넷·모바일 월렛 공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TTC프로토콜(대표 정현우)은 테스트넷 메라피를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TTC프로토콜은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모바일 및 온라인 서비스에 간편하게 연동 가능하도록,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파트너 플랫폼 내 모든 참여자들에게 기여도에 맞는 TTC토큰을 제공한다. TTC 프로토콜 생태계 내 2천3백만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8092832


5. 中 중재위, 온라인 재판에 블록체인 시스템 개설
난징 중재위원회가 블록체인 기술이 내장된 온라인 판결 시스템을 발표했다. 해당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법률 분쟁 관련 자료를 증언·진술 기록 플랫폼, 금융기관, 기타 중재위원회 등 참여 노드 전체에 분산 저장 및 관리한다. 중재위원회는 "증거 자료의 조작 가능성을 차단하고, 모든 참여자가 분쟁 관련 디지털 증거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중국은 1995년 제정된 중재법을 통해, 시정부 중재위원회가 사업, 금융, 부동산 계약 관련 분쟁을 다룰 법적 권한을 갖도록 하고 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310


6. "암호화폐, 합법도 불법도 아닌 무법"…법제화 이뤄질까
"한국에서 암호화폐는 합법도 불법도 아닌 무법 상태다. 정부는 암호화폐공개(ICO)를 금지한다고 선언했지만 법적 근거는 없다. 블록체인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이제라도 제도권으로 흡수해 관리해야 한다." 블록체인산업 진흥기본법 등 관련 법률 제정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민관 입법협의체'가 이달 출범했다. 암호화폐·블록체인 법제화를 위해 결성된 첫 비영리단체로 블록체인의 바람직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입법 논의가 속도를 낼지 관심이 모아진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004867


7. AT&T, 공급망·의료 분야에 블록체인 솔루션 제시
AT&T는 제조, 소매,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개선할 수 있는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제시하며, 새로운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여러 참여자가 정보를 안전하게 추적·관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제조업체의 원산지 파악 및 상품 추적, 의료업계의 진료기록 보관, 소매업체의 재고 관리, 배송 추적 등 AT&T 블록체인의 여러 활용 방안이 강조됐다. AT&T의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BaaS)은 IBM의 블록체인, 마이크로소프터 애저 등 다른 유명 블록체인 플랫폼과 연결 가능하며, 자체 사물인터넷과도 결합돼 자동화 및 감시 기능 또한 제공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4306


8. 이탈리아, 유럽 블록체인 파트너십 가입...총 27개국 참여
미렐라 리우찌 이탈리아 국회의원은 “블록체인 파트너십 가입으로 블록체인의 기술적 발전을 위한 이탈리아만의 독자적인 노선을 정할 수 있게 됐다”고 자평했다. 유럽 블록체인 파트너십은 올해 4월 유럽연합(EU) 회원국 간 블록체인 산업 관련 기술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결성됐다. 초기 22개국이 참여했으며, 뒤이어 그리스, 루마니아, 덴마크, 키프로스가 합류했다. 이탈리아가 참여하게 되면 총 27개국으로 늘어난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3


9. "블록체인으로 디지털 콘텐츠 산업 판 바꿀 것" 배승익 픽션 대표
이를 돌파하기 위해 한 스타트업이 발 벗고 나섰다. 픽션 네트워크(Piction Network)가 그 주인공. 겉으로 보면 디지털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듯 하지만 여기에 블록체인(Blockchain)을 접목함으로써 창작자와 독자들을 연결하고자 했다. 플랫폼이 창작자를 보유/발굴하고 이들의 콘텐츠를 독자에게 서비스하는 구조와는 사뭇 다르다. 과연 어떤 부분이 다른 것인지 배승익 대표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다.
http://it.donga.com/28209/


10. 몰타, 암호화폐·블록체인 법률 11월1일부터 발효
ICO 시행 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백서 먼저 제시해야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8083956&type=det&re=zdk


11.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 ‘엔진코인’ 빗썸 상장
유니티+엔진의 블록체인 게임 개발 기술력...30일까지 1% 페이백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9280


12. 중국교통은행, 블록체인 기반 13억 달러 '디지털 모기지' 발행한다
27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중국 5위 규모를 자랑하는 중국교통은행이 독자 개발한 'Juicai Chain' 플랫폼을 활용해 93억 위안(미화 약 13억 달러)에 달하는 주택저당담보부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주택저당담보부채권은 주택담보대출을 기초 자산으로 발행된 자산유동화증권으로, 부동산담보증권의 일종이다. 중국교통은행이 블록체인 기반 주택저당담보부채권을 발행하는 것은 블록체인으로 모든 참여자들의 자산을 추적하고 현금 유동성을 관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4300


13. 中 바이두도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 본격화…슈퍼체인 백서 공개
지난 6월 공개한 슈퍼체인의 백서 발표
BaaS 및 주요 6개 앱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내용도 포함
http://www.sedaily.com/NewsView/1S4T7R1I5E


14. 블록체인 스타트업 “콘텐츠 생산자에게 이익 분배”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럭버스터는 여행을 즐기는 모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블록체인 기반 여행 커뮤니티 및 플랫폼 ‘트래블 디네이션(Travel dNation)’을 2019년 1월 선보인다는 목표다.  트래블 디네이션은 블록체인 기술과 여행 서비스 모델을 접목한 신개념 프로젝트다. 당장 여행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각자 능력에 따라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방법을 제시한다. 수행 결과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한 인센티브로 보상해 가치를 생산하고 높은 성취감과 소속감을 부여한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7/2018092702895.html


15. 세계 최초 블록체인 서바이벌 블록배틀, “국내 제도 방향 가늠할 수 있는 시간 될 것”
먼저 블록배틀은 전 세계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로 경쟁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최근에는 힐스톤파트너스와 50억원 규모의 투자의향서 체결하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문경미 실장은 “현재 블록배틀은 30여명의 전문가들이 백서 검토를 통해 사전심사까지 마무리 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후에는 프리젠테이션을 통한 10개의 팀이 최종 본선에 진출하게 되며 각 단계별 미션 수행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리게 된다.
http://www.ak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31


16. 글로벌 주요은행 75곳 참여한 JP모건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시동
JP모건은 독자적인 블록체인를 구축 및 개발해왔으며, 작년 캐나다 로열은행, 호주·뉴질랜드 은행그룹(ANZ)과 팀을 꾸려 R3 컨소시엄과 경쟁하는 위치에 자리했다. 주요 은행 75곳을 추가로 포섭하면서, 모든 은행이 접근할 수 있는 공동 원장을 통해 국경 간 지불 네트워크 간소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 기존 국경 간 지불 처리는 중개기관을 최소 3곳 이상 거치며, 충돌 방지를 위해 약 2주 가량이 소요됐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85


17. 오스트리아 정부,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 통해 국채 발행
오스트리아 정부가 13억5000만달러 규모의 국채 발행에 따른 공증을 위해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을 사용하기로 했다. 국채 공매는 10월 2일(현지시간) 진행될 것이라고 오스트리아 현지 언론인 클레이네 차이퉁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채 공매에 필요한 공증 서비스는  2017년 기준으로 260억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유한 오스트리아 최대 은행인 OeKB(Oesterreichische Kontrollbank)가 운영을 담당할 것으로 전해졌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0


18. 인도국립증권거래소, 블록체인 투표 플랫폼 시범 도입
27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인도국립증권거래소가 '투표권의 토큰화'와 함께 상장 회사, 등록‧전송 대리업체, 규제당국을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투표가 토큰화되면 결과 전송과 프록시 연결이 보다 손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시범 테스트는 블록체인을 도입한 투표 과정의 편의성 평가를 목표로 한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99


19. 원희룡 제주지사 선거법 위반 혐의 조사, 블록체인 특구 정책에 악영향 미치나
경찰은 지난 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2014년 지사 취임 직후 모 고급 골프장 주거 시설의 특별 회원권을 받았다는 금품수수의혹을 밝히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선거 당시 문대림 후보가 도의회 의장 시절 드림타워 개발사업에 관여했다는 발언에 대한 허위사실 공표혐의와 지난 5월 제주관광대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 일자리 공약을 발표한 부분에 대한 사전선거운동 혐의 진위 여부도 가려낼 예정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4303


20. 블록체인계 ‘안드로이드’ 나올까…플랫폼 ‘춘추전국시대’ 주도권 싸움 ‘본격’
- 두나무, 카카오, 라인 등 플랫폼 메인넷 선점 경쟁
- 국내 벤처기업도 플랫폼 경쟁 가세
- “개방성 관건, 국내 기업 경쟁력 확보도 시급”
http://heraldk.com/2018/09/27/%EB%B8%94%EB%A1%9D%EC%B2%B4%EC%9D%B8%EA%B3%84-%EC%95%88%EB%93%9C%EB%A1%9C%EC%9D%B4%EB%93%9C-%EB%82%98%EC%98%AC%EA%B9%8C%ED%94%8C%EB%9E%AB%ED%8F%BC-%EC%B6%98/


21. 오하이오 주, 블록체인 사용을 권장하는 법안 서명
미국에서 다섯번째로 큰 금융 시장인 오하이오 주는 블록체인 기술 사용을 지원하는 법적 틀을 세우고 있다. 오하이오 주 지사 존 카시치(John Kasich)는 지난 금요일, 블록체인 사용에 관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정한 법안에 서명함으로써 미국에서 첫번째로 금융 서비스, 부동산, 공급망 관리 및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주가 되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273


22. 아이블록체인 서밋 2018(iBlockchain Summit 2018) 광저우에서 11월 2일에서 이틀간 열려
iBlockchain Summit 2018 ( "iBS 2018")을 위해 2018 년 11 월 2-3 일 중국 광저우의 광저우 바 이윤 국제 컨벤션 센터에서 업계 지도자들이 모여 아시아의 개발중인 블록 체인과 흥미 진진하고 변형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발견하십시오. 이틀 간의 이벤트는 투자자, 업계 관계자, 전세계의 블록 체인 및 암호 애호가가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통찰력을 공유하면서 동시에 블록 체인 생태계의 모든 측면을 하나의 놀라운 위치에서 분석 할 수있는 빠른 속도감과 몰입 형의 기회입니다. Summit 주최측은 다양한 기조 연설자, 스폰서 및 출품자의 뛰어난 라인업과 최신 트렌드 블록 체인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61


23. 블록체인 스타트업 '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2500만 달러 투자유치
블록체인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스타트업인 빔은 골드만삭스를 포함한 다수의 투자사로 부터 25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골드만삭스를 포함해서 GV(前 구글벤처스), 트렌드포워드캐피털, 엑스톨캐피털, 클라이너퍼킨스, 판테라캐피털 등 다수의 투자사가 참여했다. 빔은 중소 규모 비즈니스의 결제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스타트업으로 국제 송금시스템의 속도가 느린것에 대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110


24. 中바이두, 블록체인 백서 발표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바이두가 블록체인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바이두의 블록체인 연구소(Blockchain Lab)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슈퍼체인(XuperChain)' 백서를 27일(현지시각) 발표했다.  바이두에 따르면 슈처체인은 1초당 1만건 이상의 트랜잭션(transactions )을 수행한다. 슈퍼체인은 멀티코어 병렬 연산을 사용해 처리 용량을 늘렸고, 사이드체인(sidechains)을 이용해 네트워크 속도를 높였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8/2018092802119.html


25. 페이뱅크, 중국블록체인협회와 밋업-컨퍼런스 연다
페이뱅크가 최근 업무협력을 추진중인 타이 그룹(Tai Group)은 중국에서 가장 먼저 ICO(가상화폐 기업공개)를 성공한 기업이다. 현재 임직원 약 400여명이 암호화폐거래소 'BCEX'과 '올코인(AllCoin)'을 운영하고 있고 블록체인 펀드를 운영하는 회사로 알려져 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284276v


26. "블록체인과 음악산업 간 시너지 찾는다"
서울시·서울경제 주최 ABF in Seoul '블록체인과 음악산업의 만남' 무대 공연 아티스트 8팀 모집
10월 27~28일 마포 서울창업허브, 29~31일 장충동 신라호텔, 11월 1일서초구 세빛둥둥섬 행사 무대
공연 아티스트 대상 멜리펀트의 블록체인 기반 아티스트 정산 플랫폼 '스플릿(SPLIT)'베타서비스 개시
http://www.sedaily.com/NewsView/1S4TALZQCJ


27. 블록체인 TTC프로토콜, 테스트넷·모바일 월렛 공개... "올해 4분기 중 정식 메인넷 런칭할 것"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TTC프로토콜(대표 정현우)이 테스트넷 메라피를 공개했다고 28일 전했다.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알려져 있는 TTC 프로토콜은 모바일 및 온라인 서비스에 간편하게 연동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파트너 플랫폼 내 모든 참여자들에게 기여도에 따라 TTC 토큰을 부여한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49


28. "이더리움 대체 않고 보완"...옵스, 한국 공략 가속
이스라엘 기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옵스(orbs)의 한국 시장 공략에 가속도가 붙었다. 카카오 블록체인 자회사인 그라운드X와 기술 제휴를 맺은데 이어 최근에는 서울 사무소를 열고 5명의 풀타임 직원을 투입했다. 또 경북코인 프로젝트와 관련해 경상북도와 손을 잡는 등 옵스의 국내 시장 공략은 최근들어 더욱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옵스는 이더리움을 보완하는 것을 표방하는 퍼블릭 블록체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아이콘이나 EOS 등 이더리움 대체제 성격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비교해 슬로건에서 차이가 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28


29. 클라우드 서비스도 이젠 블록체인 시대
일찌감치 블록체인 분야의 기술을 연구하면서 블록체인 업계 기술 표준을 지향하고 있는 IBM의 경우는 리눅스 재단과 ‘하이퍼레저’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으며 모든 산업영역에서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한다는 게 목적이다. 오라클, 아마존, MS와 같은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에서도 일찍이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신규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반의 앱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개발 툴킷을 제공하는 등의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https://kr.acrofan.com/detail.php?number=115444


30. 트루체인, 연내 메인넷 론칭..."첫 상용화 블록체인 3.0 목표"
이달 국내 가상화폐거래소인 빗썸에 상장된 트루체인이 올해 메인넷을 론칭한다고 27일 밝혔다. 퍼블릭 체인을 지향하는 트루체인은 보안과 초당거래속도(TPS)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독특한 합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미네르바(Minerva)라고 불리는 이 매커니즘은 작업증명(POW) 방식과 플랙티컬 비잔틴 장애허용(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PBFT) 방식을 합쳤다.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057


31.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파트너십과 엔트레이드 IO 블록체인 기술 공동 개발에 합의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더해 폐기물에서 에너지로의 전환, 태양광 및 전력 스토리지 등에 이르기까지 공동 개발작업은 북미주에서 처음 개시될 예정이며 추후 전세계적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이번 파일럿 프로그램은 증강현실(AR) 기술을 통해 시스템 개발, 모니터링,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재생가능 에너지 솔루션을 탐색할 예정이다. 새롭게 결성된 엔트레이드 IO 파이낸싱 플랫폼은 미국 이외 지역에서 이미 가동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프로젝트 필요가 가장 높은 지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되고 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101


32. 리텀 재단, 국내 실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내놔
리텀 재단은 2018년 싱가포르에 설립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국내 암호화폐 시장 활성화를 위해 리텀 코리아와 마케팅 협력 및 댑(dapp)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개인사업자 혹은 중소 비즈니스 운영자들을 ‘스몰리스트’라는 이름으로 통칭하여 다수의 스몰리스트가 올린 바운티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들이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현금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노력하고 있다.
https://kr.acrofan.com/detail.php?number=115484


33. 블록체인업계, 헬스케어 서비스 공략 ‘주목
’스타트업 중심 비즈니스 생태계와 환자 커뮤니티 구축 프로젝트 등 다방면 활동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0852


34. 라인, 블록체인 디앱(Dapp) 공개 … 시장 선도 나선다
네이버 라인과 카카오가 블록체인 서비스를 공개하며 큰 기대를 모은 바 있다. 거대 IT기업의 블록체인 진출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라인이 먼저 블록체인 서비스의 윤곽을 드러내며 앞서 나가는 모양새다.라인이 27일 도쿄 롯폰기에서 ‘라인 토큰 이코노미(LINE Token Economy)’를 주제로 신규 디앱(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5종을 공개했다. 또한 오는 10월 16일 라인이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에서 라인이 자체 개발한 범용 암호화폐인 링크(LINK)를 독점 공개할 예정이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968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