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0월 16일 자율주행차 관련 뉴스


1. 전남대 농생명대 학생들, 공대생 제치고 자율주행자동차경연대회에서 우수한 성적 거둬 화제.
지난 12~14일 개최된 ‘2018 영광 국제스마트e모빌리티 엑스포에서 전남도지사상 받아.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762787&code=61121111&sid1=soc


2. 자율주행차·드론경비 … 도쿄 전체가 '혁신 실험장'
신산업 규제는 모두 동결
하루 4번 자율주행 택시 시험
'하늘 나는 택시' 5년 내 운행
드론 활성화위해 법 개정 나서
국가특구 디지털화폐 도입 추진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1613141


3. 자율주행차 ‘두뇌’·‘눈’ 공략 본격화하는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차량용 반도체 브랜드를 처음 출시한 건 이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겠다는 얘기다. 삼성은 지난 8월 중장기 투자·고용 계획을 발표하면서 인공지능(AI), 5세대(5G) 이동통신, 바이오, 전장부품 등 4대 신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선정하고 2020년까지 25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전장 부품 분야는 첫 브랜드 공개와 함께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74449


4. 4대 그룹, 자동차 전장 선점 경쟁 치열…자율주행차 성장 기대감
자율주행차 시장이 열리면서 자동차용 전장부품 시장을 선점하려는 주요 그룹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이다. 반도체를 제외하면 자동차와 스마트폰·가전, 조선·철강 등 기존 주력사업이 성장 한계에 직면한 가운데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재계 총수들의 간절함이 담겨있어서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101602109932781008


5. KT-연세대, 5G 상용망 기반 '드론­자율주행차' 검증환경 제공
신촌-송도캠퍼스 연결하는 5G 상용망 구축
5G 오픈플랫폼 통해 국내외 산학연 협력 확대
차별화된 5G 융합 서비스 발굴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41846619373576&mediaCodeNo=257


6. 5분만에 보는 네이버 데뷰 2018 키노트…사라지는 기술의 핵심은 ‘지도’
정리하면 빅데이터, 머신러닝, 딥러닝, 추천 알고리즘 등 네이버가 개발하고 있는 기술들이 클로바, 파파고, 실내자율주행 로봇 등의 서비스가 되어 생활 속 깊숙이 자리하고, 결국 눈에 띄지 않게 사라져버린다는 뜻입니다. 영어 Ambient는 ‘생활’이라고도 하지만 ’주변’이라는 말로 번역하기도 하는데요. 쉽게 말해 ‘배경음악’ 같은 걸 Ambient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인은 아니지만, 어떤 배경음악을 쓰냐에 따라 동영상의 느낌이 확 달라지는 경우가 있죠. 송 CTO가 말하는 ‘Ambient Intelligence’가 바로 이런 겁니다.
http://www.techsuda.com/archives/12165


7.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에너지 문제 해결
문제는 그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이다. 미국 에너지청의 2017년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40년 필요한 에너지는 2015년 대비 28%나 증가할 전망이다. 에너지 수요 증가는 환경에도 악영향을 준다. 국제 에너지 기구(IEA)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68%가 에너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0%80%EC%83%81-%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EC%9C%BC%EB%A1%9C-%EC%97%90%EB%84%88%EC%A7%80-%EB%AC%B8%EC%A0%9C-%ED%95%B4%EA%B2%B0


8. 한국 커넥티드카 솔루션 기업, 독일 다임러 전략적 공급 협력 업체로 선정
엔지스테크널러지가 다임러의 전략적 공급 협력 업체에 선정 배경에는 커넥티비티 솔루션(통합형 IVI 플랫폼), 차량용 OTA(Over The Air,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솔루션 및 미래차 핵심 주행정보 표시장치인 디지털 클러스터 솔루션 등 커넥티드카, 자율주행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점이 인정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원천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북미, 유럽 및 일본 소재 글로벌 자동차 회사에 대한 공급 실적 등도 평가받은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04651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