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1월 26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홈팟 신통치 않지만" 애플, 차세대 인공지능에 투자 확대
애플 홈팟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CIRP이 지난 7일(현지시각) 발표한 자료를 보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스마트 스피커는 아마존 에코로서 설치 대수의 70%를 차지했다. 이어 구글 홈이 25%, 애플이 5%로 뒤를 이었다. 그리고 인공지능(AI) 비서 '시리'는 이해능력과 정확도 측면에서 구글 어시스턴트에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럼에도 애플은 인공지능을 차세대 먹거리로 낙점하고 전사적으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IT전문매체 더 인포메이션 보도를 보면 애플은 인공지능 스타트업인 '실크 랩스'를 비밀리에 인수했다. 인수 금액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글로벌 데이터 분석 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약 400만 달러(약 45억 2000만 원)로 추정된다.
http://thegear.co.kr/16464


2. '하이 빅스비'와 만난 NHN벅스, 인공지능 기반 음악 서비스 협력
NHN벅스는 삼성전자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음악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양사는 빅스비(Bixby)를 비롯해 ▲셰프컬렉션 패밀리허브 ▲QLED TV ▲Car mode(for Galaxy) 등 삼성전자의 전방위 플랫폼과 연동하며 인공지능 기반의 기술 확장에 협력한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6/2018112602337.html


3.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탄력·왓슨도 의료기기 허가 가능
오제세의원 발의 '제약산업육성법·의료기기법' 국회 본회의 통과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7331&thread=22r01


4. 인공지능이 제조업 살린다
0.2초 만에 품질검사 끝내는 프론텍처럼
AI기능은 생산·수주·판매에 자신감 높여
디지털 전환서 나아가 'AI전환' 서둘러야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2642721


5. '인공지능(AI) 무한경쟁' 시대, 우리 미래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알파고와 함께 다가온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했다. 최근에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모방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산업계는 주축으로 사회근간까지 뒤흔드는 중이다. 인공지능의 대표적 응용 분야는 무엇일까? 인공지능의 대표적인 분야는 단연 개인 비서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인공비서'다. 애플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IT 기업은 물론 온라인 쇼핑으로 유명한 아마존까지 저마다 인공비서를 개발하고 있다.
http://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36214


6. 글로벌 제약사, 신약개발 인공지능 시대
올해 다국적 제약사 등 15곳 AI 채용, 비용 시간 줄여 성공확률 높인다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51312


7. 인공지능(AI), 의료기기에 들어가다
삼성의 영상진단기기 제품군은 초음파, 디지털 엑스레이,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이다. AI 기반 진단기기는 인구 1000명당 의사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개발도상국 병원 또는 의료진을 지원하고 진단이 까다로운 병변의 오진율을 줄이기 위해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삼성은 이 같은 의료환경을 감안, 제품군별로 활용도가 높은 기능을 중심으로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 학계 전문가들이 AI 기반 진단보조기능들을 집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https://www.kipost.net/news/articleView.html?idxno=10200


8. 다국적 회계법인 '언스트앤영', "블록체인‧인공지능 인력 2,000여명 충원"
23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언스트앤영 인도 지사는 3년에 걸쳐 블록체인, 인공지능 신규 인력을 확장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언스트앤영 인도 지사의 컨설팅 부문을 이끄는 람 사르베팔리(Ram Sarvepalli)는 인도의 공공 및 민간 분야가 디지털화·자동화를 향하면서, 언스트앤영이 블록체인을 비롯한 첨단 기술 개발을 추진하게 됐다고 전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966


9. 무시못할 말레이시아 토종차 실력... 멀티 뷰 카메라에 AI(인공지능)까지
http://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6295


10. ‘한마디면 알아서 척척’ 농사도 인공지능 시대
농사하면 힘들게 직접 몸으로 일 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지금 농촌에서는 농사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이 빠르게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음성으로 명령만 내리면 농삿일을 알아서 척척 하는 시스템까지 개발됐습니다.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81126004700038/


11. 진화하는 인공지능…자산 관리는 언제쯤?
"아직 걸음마 단계…규제 줄이고 투자 늘려야"
http://news.mtn.co.kr/v/2018112611003619295


12. 中, 남중국해에 최초 AI 해저식민기지 건설 계획
중국이 남중국해에 과학 및 방위 임무를 수행할 무인 심해 해저 기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고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가 26일 보도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이 계획에 관여하고 있는 중국 관리들과 과학자들은 말했다. 그리스 신화에서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신 하데스의 이름을 딴 이 계획은 지난 4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하이난(海南)성 싼야(三亞)의 심해연구소를 방문한 후 이달 들어 베이징의 중국사회과학원에 의해 시작됐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155151


13. 풀러스, 'AI 푸시·운전자 이익 환원' 전략 통할까
서영우 신임 풀러스 대표는 26일 서울 성수동 카우앤독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풀러스의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풀러스는 새 핵심 가치를 ‘풀러스 투게더'로 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 카풀 ▲플랫폼 성장 이익 나눔 ▲소통 강화 등 전략에 대해 공개했다. 간담회에서 풀러스는 지난 2년 반 축적한 주행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고도화해 운전자-승객 매칭에 접목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택시 업계와 공존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해 상생방안도 찾는다. 이익 환원과 관련해 풀러스는 운전자에게 풀포인트 인센티브제를 운영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풀러스 주식을 10%까지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26181825&type=det&re=zdk


14. 필립스, AI 연구 활용 '인포매틱스 플랫폼' 강화
의료기기 사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필립스가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공지능(AI)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인포매틱스 플랫폼을 강화한다. 로열 필립스(이하 필립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제104회 북미영상의학회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Meeting, RSNA2018)에서 AI 접목 플랫폼을 소개한다.  의료계는 환자 임상 결과를 개선하면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을 요구한다. 필립스는 지난 2년간 전체 영상진단 포트폴리오 중 70%를 개편했다. 의료진의 워크플로우를 개선하고 임상 결정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솔루션 전반에 AI를 접목했다.
http://www.etnews.com/20181126000087


15. “로봇이 조리하고, AI가 관리한다”
주문과 조리, 서빙 등이 기계화, 시스템화 된 이 레스토랑에는 일본 파나소닉과 중국 인공지능(AI) 기업 커다쉰페이(科大讯飞, 아이플라이텍iFLYTEK)의 기술이 적용되었다. 음식을 만들고 분류하는 로봇 팔은 파라소닉이, 인공지능 부분은 커다쉰페이가 맡았다. 특히 자체 개발한 운영시스템(IKMS : Intelligent Kitchen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모든 항목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해 재고와 유통기간, 생산 상태 등을 관리한다. 그리고 서빙로봇은 상하이 로봇 기업 키논(Keenon)이 하이디라오의 매장 상황에 맞춰 로봇을 공급했다.
https://platum.kr/archives/111510


16. 클라리파이, AI 기반 CT 노이즈 제거 솔루션 출시
지능형 의료영상 솔루션 전문업체 클라리파이는 최근 인공지능(AI) 기반 컴퓨터단층촬영(CT) 노이즈 제거 솔루션 ‘클라리CT.AI(ClariCT.AI)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솔루션은 이달 25~30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18 북미방사선의료기기전시회(RSNA)’에 전시된다. 클라리CT.AI는 시중 모든 CT 장비와 호환되는 CT 노이즈 제거 솔루션이다. CT 검사 시 환자 방사선 피폭량을 기존 대비 최대 20분의 1로 줄여줘 초저선량 검사를 가능케 한다. CT 영상 품질도 획기적으로 높여 의료진 진단을 도와준다는 설명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26104242


17. 대구시, 블록체인‧AI 등 첨단기술 주제로 '대구시-SKT IoT 포럼' 개최
대구시와 SKT가 공동 주최하고 경북대학교가 주관하는 '대구시-SKT IoT 포럼'이 오는 27일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포럼은 일반 학생 및 시민들에게 IoT 관련 기술 이해도를 높이고, 기업인들에게는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왓 이즈 넥스트(다음은 무엇일까)?-AI, 블록체인, 넥스트 미디어'를 주제로 AI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미디어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조건과 새로운 미디어 트렌드에 대한 전문가 강연이 이어질 예정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496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