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1월 27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쇠고기 유통, 블록체인이 감시
과기정통부 주도… 축산물 관리 시스템 구축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7%A0%EA%B3%A0%EA%B8%B0-%EC%9C%A0%ED%86%B5-%EB%B8%94%EB%A1%9D%EC%B2%B4%EC%9D%B8%EC%9D%B4-%EA%B0%90%EC%8B%9C%ED%95%9C%EB%8B%A4


2. 블록체인 기술의 현재와 미래 공유...'데브스탬프' 주목
블록체인의 진입 장벽은 사용자에게만 높은 것이 아니다. 개발자들에게도 블록체인으로 들어가는 문은 좁으면서 높다. 쉽게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정착된 웹이나 모바일앱 분야와 달리 블록체인 쪽은 개발자가 뭐라도 만들어 보려고 하면 처음부터 직접 해야 하는 것들 투성이다. 기술 자체가 갖는 불확실성이 큰데다 진입 장벽까지 높으니 다수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하는걸 머뭇거리고 있다는 후문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33


3. 비탈릭 부테린 "IBM 등 기업 블록체인 서비스는 시간낭비"
26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등의 보도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은 쿼츠와의 인터뷰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오용이 시간낭비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또 ‘Devcon4 블록체인 컨퍼런스’에서도 "현재 산업계 내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적절히 활용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부테린은 단지 블록체인을 마케팅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사례를 지적하며 "블록체인을 이용해 디지털 신원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지만 현실화 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블록체인이 실제 세계에서의 100% 안전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라며 IBM 등의 기업이 진행하고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내놨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44


4. 안필용 LG CNS 블록체인기술팀장 “블록체인, 업의 본질을 바꾸는 기술”
"블록체인은 2016년 ‘부풀려진 기대의 정점’을 통과해 최근 ‘환멸의 계곡’에서 허우적 대고 있지만, 3~5년 후에는 AI·IoT 기술과 결합해 ‘업의 본질을 바꾸는 기술’이 될 것입니다." 안필용 LG CNS 블록체인기술팀장은 27일 서울 중구 씨스퀘어빌딩 라온 강연장에서 열린 조선미디어그룹 정보통신기술(ICT) 전문 매체 IT조선의 오프라인 강연 ‘테크위크 2018’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암호화폐 가격 하락 등으로 침체 분위기지만, 결국 가까운 미래에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7/2018112702479.html


5. 블록패치,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소개한 ‘블록서프’ 행사 성료
블록체인 컨설팅 전문 업체 ‘블록패치’가 지난 21일 ‘블록서프’ 행사를 성공리에 마쳤다. 블랙서프는 블록체인 시장의 급변화 속에서 흐름을 확인하는 자리로 아시아와 스위스 등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소개가 주목을 받았다. 이날 소개된 요타 체인 (YottaChain)은 독점적인 특허 기술로 블록체인 스토리지 오픈 플랫폼을 구축하고 생태 건설과 번영을 촉진하는 스토리지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이 프로젝트가 채택한 트루프라시(TruPrivacy)라는 기술이 다른 블록체인 스토리지 프로젝트들과 차별화됨을 소개했다.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019


6. AWS에 블록체인 '아이콘' 개발 도구 등록
아이콘루프(대표 김종협)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켓플레이스에 아이콘 개발도구인 '아이콘 디벨로프먼트 네트워크'를 등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마켓플레이스 등록으로 개발자들은 AWS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아이콘 기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개발 및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27110538&type=det&re=zdk


7. 팍스넷, 종합 블록체인 서비스 기업으로 거듭나
팍스넷이 선보인 팍스넷360은 미래 블록체인 생태계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도약하겠다는 팍스넷 신사업 비전이다. 팍스넷은 이날 기업설명회에서 팍스넷360° 실현을 위해 현재 준비 중인 ▲메인넷 '팍스넷 체인' ▲탈중앙화 암호화폐거래소 '비트팍스DEX' ▲코인 전문 '포털서비스' 등을 선보였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7/2018112701127.html



8. 디지털 헬스케어 블록체인 엠블리마, 다국적 제약사 협력해 한국 진출
엠블리마는 28일 서울 강남 르 메르디앙 호텔에서 첫번째 한국 밋업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엠블리마는 대형 제약사와 제휴 추진 현황 및 개발 로드맵 등을 설명하는 한편 엠블리마 프로젝트 비전과 사업모델을 포괄적으로 소개한다. 또 국내 의료·제약업계 파트너십 유치 계획도 발표한다. 로버트 추 대표는 또 공식 밋업 후 국내 크립토 펀드와 개인 투자자, 벤처캐피탈 등과도 미팅을 가질 예정이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7/2018112702216.html


9. 아부다비 은행, 블록체인 기반 ‘이슬람 율법 준수’ 채권 거래 성공
26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Al Hilal 은행은 샤리아 율법을 준수하는 채권 ‘수쿠크(Sukuk)’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성공적으로 거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채권 거래는 100만 달러 상당의 규모로 개인 투자자가 참여했다. 수쿠크는 투자자들에게 이자가 아닌, 이슬람 율법에 반하는 사업을 제외한 특정 사업에 투자해 얻은 수익을 배당금 형태로 지급한다. 즉, 투자자들은 이자 대신 배당금으로 수익을 배분받게 된다.
https://tokenpost.kr/article-4977


10. 링카,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 지형 바꾼다..."처리속도와 보안, 프라이버시 우선"
탈중앙화 유지하면서 동등한 권리 갖는 분산화된 토폴로지 채택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2068


11. 귀금속의 블록체인 InnovaMinex의 ICO를 시작하다
InnovaMinex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귀금속의 추적을 보장하는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InnovaMinex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귀금속이 채굴 광산을 떠나 상업화될 때까지 전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추적할 수 있다. 귀금속 및 기타 제품은 InnovaMinex 매장(전자 상거래 및 ATM)에서 뿐만아니라 상점에서도 직접 구매할 수 있다. 구매자는 획득한 귀금속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있으므로 귀금속의 진품여부에 확신을 가질 수 있다.
http://cointoday.co.kr/all-news/23407/


12. 현대오토에버, 블록체인 활용 디지털 인증*데이터 기술 특화한다
현대오토에버는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아 상장을 통한 R&D 투자자금 조달 및 기업 인지도 제고, 우수인재 확보 등으로 디지털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밝혔다. 현대오토에버는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성 강화 △모빌리티 등 디지털 서비스 발굴 확대 △오픈 이노베이션을 활용한 해외시장 개척 등을 통해 미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는데 적극 나설 계획이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4155


13. 블록체인·AI… `신기술 혁명시대` 미래를 예측하다
블록체인, 자율주행, 인공지능, 로보틱스 등 개개인의 일자리와 생활방식, 나아가 기존의 산업 구조를 획기적으로 바꿔놓을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세계미래보고서 2019'는 현재 우리 삶의 여러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술 변화와 적용 사례, 앞으로의 변화상 까지 전망하는 미래 예측서 '세계미래보고서' 시리즈의 최신판이다. 이 책은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한국지부 대표와 세계적인 미래연구기구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회장인 제롬 글렌이 썼다. 박영숙 대표는 현재 글로벌 블록체인 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20여개 국제 블록체인·미래연구기구의 한국 대표로 있다. 제롬 글렌 회장은 지난 40년간 정치, 교육, 과학, 산업, 정부 등의 미래를 연구해 왔으며 'CIA 2020 리포트'와 미국 주요 기관의 미래 프로젝트에 참가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112802101931102001


14. IBM “블록체인, 신뢰 기반 차세대 인터넷…600개 이상 프로젝트 진행”
엄경순 한국IBM 전무는 27일 “현재까지 IBM에서 완료했거나 진행 중인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의 수가 600여 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엄 전무는 이날 서울 삼성동에서 열린 ‘2018 그랜드 클라우드 콘퍼런스’에서 “무역·금융 분야를 시작으로 증권, 의료 등 모든 산업에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구체적으로 ▲금융 리스크 축소 ▲식별·고객파악(KYC) ▲식품 안전 ▲탄소배출 관리 등이다.
http://www.hankookblockchainnews.com/news/view.php?idx=126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