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2월 24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한국계 천재 개발자가 만든 블록체인 코스모스, 왜 주목받나
내년엔 블록체인이 실생활에 쓰일 수 있을까. 이미 많이 알려진 것처럼 블록체인 기술의 태생적 한계인 '성능' 문제를 뛰어넘어야 가능한 일이다.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가 모든 거래를 기록하도록 설계돼 있다. 덕분에 일부 노드에서 데이터 위변조가 일어나도 분산된 다른 노드가 이를 검증할 수 있지만, 성능 면에선 전체 네트워크 처리 능력이 단일 노드의 처리 능력으로 제한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일명 '확장성' 문제라고 한다.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4151801


2. 디센트럴랜드-체인파트너스, 블록체인 커뮤니티 지원 맞손
디센트럴랜드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현실 플랫폼으로, VR 기기를 통해 접속하여 게임, 쇼핑,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스타트업과 개발자들의 성장과 공유를 함께하고자 지난 10월 신사동 가로수길에 공유오피스 'DCLX'를 출범했다.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4093736


3. 과기정통부, 2019년 블록체인 사업 통합설명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와 함께 12월26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민간 사업자 대상 2019년도 블록체인 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국내 블록체인 산업 진흥을 위하여 민간 사업자가 정부의 블록체인 지원 사업을 한 눈에 이해하고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2019년도에 추진하는 공공선도 시범사업,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 기술개발 사업, 전문기업 육성 사업 각각의 세부 추진방향, 지원 대상, 내용, 규모 등을 설명한다.
http://www.bloter.net/archives/326975


4. 바이낸스, 아키오랩 등 블록체인 스타트업 8곳에 투자
선정된 8개팀은 블록체인 데이터 업체인 아키오랩, 블록체인 기반 예측 업체인 Deaux, 블록체인 플랫폼 디코어, 탈중앙화거래소 인젝티브 프로토콜(Injective Protocol), 인터넷 솔루션 Nym,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술에 주력하는 패스(Path), 암호화폐 지갑업체 세이퍼팔, 인증 솔루션 업체 토어러스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69


5. 2019년 블록체인 공공 시범사업 2배 확대... 민간 프로젝트도 추진
2019년도에 추진하는 △공공 선도 시범 사업 △민간 주도 국민 프로젝트 △기술개발 사업 △전문기업 육성 사업 각각의 세부 추진 방향·지원 대상·내용·규모 등의 안내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하며,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들에게 적합한 지원 사업을 제시하고 일부 사업은 해당 사업 종료 후 후속 지원 사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2019년도에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 전략(2018.6)’에 따라 2018년보다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신규 사업을 지원해 블록체인 기술·산업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5737


6. 독일 철도 운영업체 "철도, 여행산업의 토큰화를 위해 블록체인 도입 고려 중"
21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의 보도에 따르면 유럽 내 최대 철대 운영업체 중 하나인 Deutsche Bahn AG는 탈중앙화 솔루션을 통해 철도 운영비를 삭감하고 유럽 여행산업 내 타 기업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Unibright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사실을 밝혔다. 이에 따라 Unibright는 자유여행, 여행사 마일리지, 여행사 서비스, 식사, 호텔 예약 및 교통편 등 '여행'이라는 카테고리 내 다양한 부분을 블록체인을 통해 하나로 체계화시킬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개념증명(PoC)에 나섰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5256


7. 블록체인 개발사 알투브이, 자사 플랫폼 확장 위해 파트너십
블록체인 플랫폼 ‘이그드라시’ 개발업체인 알투브이(R2V)는 실제 환경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실제 서비스(dApp) 개발 지원을 위해 글로스퍼, 이킴컨설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이그드라시는 멀티체인 구현을 위해 고안한 플랫폼으로,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서 여러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알투브이는 이그드라시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개발해 사업화할 수 있도록 돕는 ‘인큐베이션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37446619441800&mediaCodeNo=257


8. 블록체인전문방송 TVCC, ‘장학 블록체인 퀴즈 쇼’ 참가자 모집
TVCC(티브이씨씨)는 4차 산업의 초석이 될 혁명적인 보안기술 블록체인과 블록체인 크립토 생태계가 사기와 투기로 퇴색된 한국의 인식과 문화를 바로잡고 블록체인 기술개발을 육성하고 장려하기 위한 퀴즈 콘텐츠로 ‘장학 블록체인 퀴즈 쇼’를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http://www.policyfund.kr/news/articleView.html?idxno=1986


9. 네오위즈플레이스튜디오, 블록체인 게임 ‘솔리테어 듀얼’ 출시
솔리테어 듀얼은 자사가 서비스 중인 모바일 게임 ‘월드 오브 솔리테어’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새롭게 출시한 1:1 대전 게임이다. 윈도우 기본 게임으로 유명한 카드게임 ‘솔리테어’의 게임 룰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용자는 일정 금액의 암호화폐인 이오스(EOS)를 사용해 대전에 참가할 수 있으며 이는 승자에게 상금으로 지급된다. 현재는 1:1 모드만 가능하나 이후 토너먼트 방식도 가능하도록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5549


10.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유니버셜그룹 "광주시에 블록체인 특화지구 요청"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와 ‘유니버셜그룹’ 대표자 1000여명은 12월 27일 (토) 오후 2시 ~ 5시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1홀에서 비전선포식을 갖고 이용섭 광주지사에게 광주시를 세계 크립토밸리 특화지구로 선포해 일자리 창출에 나서줄 것을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협회의 이한영 상임부회장과 유니버셜그룹의 김인기 대표이사는 입장문을 통해 “광주시를 자유로운 암호화폐 특별자치 도시로 발전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이용섭 광주시장을 만나 대표자들의 건의서를 공식 전달하고, 세계 크립토밸리 특화지구 선포를 건의하며, 김동찬 광주시의회 의장도 만나 협조를 구하겠다”고 발표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746338


11. 스위스,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클라우드 플랫폼 등장
스위스 부동산 거래 플랫폼 블로키모(BlockIMMO)가 올해 12월부터 1000 스위스 프랑(한화 113만원)부터 투자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했다. 일본 가상화폐전문지 앱타임즈 24일 보도에 따르면 블로키모의 서비스는 규제가 가능한 2개의 관할구역 내에서 이뤄지며 세계 최초의 부동산 자산 토큰화 프로젝트 승인 사례로 기록됐다.
https://www.thedailypost.kr/news/6526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