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9년 01월 25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모두가 블록체인의 겨울을 이야기했다
신 대표에 이어 무대에 오른 치아 혹 라이 싱가포르 핀테크협회장은 HBO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겨울 이미지를 보여주며 발표를 시작했다. 스타크 가문의 가훈인 ‘Winter is coming’ 시점은 이미 지났고 ‘Winter has come’의 시점이라는 뜻이다.
https://www.coindeskkorea.com/%EB%AA%A8%EB%91%90%EA%B0%80-%EB%B8%94%EB%A1%9D%EC%B2%B4%EC%9D%B8%EC%9D%98-%EA%B2%A8%EC%9A%B8%EC%9D%84-%EC%9D%B4%EC%95%BC%EA%B8%B0%ED%96%88%EB%8B%A4/


2. IMF, “몰타 블록체인 개발, 자금세탁·테러자금 등 상당히 위험”
몰타 의회는 3건의 암호화폐·블록체인 법안을 통과시키는 등 관련 산업을 지원하는 규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조지프 무스카트 몰타 수상은 UN총회에서 암호화폐가 미래 화폐라고 알리며 정치, 민간, 기업 전반에 블록체인 기술의 강점을 강력히 피력하기도 했다. IMF 사절단은 몰타 당국에 “암호화폐 업체들이 자금세탁방지법을 준수하도록 감독하고, 관리와 규제 집행 시스템의 부족한 부분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5602


3. '블록체인 이용한 공급망 프레임워크 제공··'· 리눅스 기반 그리드 프로젝트 등장
리눅스 재단은 “공급망은 가장 전도유망한 블록체인 사용례 중 하나이며, 이들 용도의 많은 실제 구현 사례가 공유 플랫폼이 제공할 수 있는 역량들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며, “이 프로젝트는 전 산업군을 대상으로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 간 지급 문제와 함께 공급망 관리는 최고의 분산원장 기술 활용 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거대 운송회사인 머스크나 다이아몬드 회사인 드비어스,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 등은 화물 컨테이너부터 다이아몬드까지 상품을 추적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에 착수한 바 있다.
http://www.ciokorea.com/news/115659


4. 英 표준협회, 블록체인 스타트업과 공급망 개선 위해 협력
24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영국표준협회(BSI)는 기업의 공급망 규제 준수 입증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1901년 설립된 영국표준협회는 2017년 기준 1,600만 달러의 매출을 보고했다. 표준협회의 하워드 커(Howard Kerr) 회장은 언론보도를 통해 “오늘날 전세계의 상호 연결이 증가하고 있다. 공급망의 투명성, 추적가능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5604


5. IBM, 대형 의료기업과 블록체인 개발 협력 나서
IBM왓슨헬스의 바바라 헤이즈 총괄은 진료 및 행정 부문의 비효율성과 정보 파편화 문제가 의료 경험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IBM과 의료기업의 협력은 이러한 문제를 블록체인 기술의 불변성, 투명성을 이용해 해결하려는 기대를 나타낸다. IBM은 앞으로 더 많은 관련 업체들이 헬스유틸리티네트워크에 합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5605


6. 튜링상 수상 미칼리 MIT 교수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
튜링((Turing)상 수상자인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가 블록체인 업계 난제로 불리는 트릴레마(trillemma, 3중 딜레마) 해결을 자신했다. 25일 블록체인 컨설팅업체 블록72(Block 72)에 따르면 미칼리 교수는 지난 23일 강남 N 타워에서 열린 모임에서 "확장성, 보안, 분산화를 동시에 이루지 못한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하고자 알고랜드 프로젝트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5/2019012501414.html


7. 금융위, 금융규제 샌드박스 도입…블록체인 안건엔 물음표
오는 4월 1일부터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시행
블록체인 기업, 규제샌드박스 지원에 관심 고조↑
https://www.sedaily.com/NewsView/1VE6AZSZ6D


8. 텔레그램, 3월 중 블록체인 플랫폼 출시 계획
세계적인 블록체인 기반 메신저 텔레그램이 블록체인 기반 텔레그램 오픈 네트워크(TON) 플랫폼의 메인넷과 토큰을 3월 중으로 출시할 계획임을 밝혔다. 24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의 보도에 따르면 텔레그램 창립자인 파빌 두로프(Pavel Durov) 측근 소속 정보통은 TON 플랫폼의 출시를 대략 3월로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플랫폼이 현재 90% 개발완료된 상태이지만 '혁신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출시일이 연기될 수 있음을 밝히기도 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5578


9. 메타디움, 2월 28일 ID 블록체인 메인넷 출시..."4개월 앞당겨"
탈중앙화된 신원(ID) 플랫폼 블록체인을 개발중인 메타디움테크놀로지(대표 박훈)가 올해 2분기로 말로 예정되었던 메인넷 출시 일정을 2월 28일로 앞당겼다. 4개월 가량 일찍 내놓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박훈 메타디움 대표는 24일 저녁 ‘메타디움의 TMI: 블록체인과 자기주권 신원(SSI)’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밋업 행사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사용 사례는 실제 서비스와 제품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메인넷 출시를 앞당겼다”며 “조만간 MVP 형태로 앱도 공개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56


10. 블록체인 기반 예측 서비스 어거 UI 개선 빨라지나?
어거 UI 스타트업 베일, 검색 서비스 업체 프리딕션닷글로벌 인수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61


11. 버뮤다, 암호화폐·블록체인 친화적 은행 출범 계획
중남미 국가 버뮤다의 데이비드 버트 총리가 암호화폐 친화적인 은행 출범 계획을 밝혔다고 24일(현지시간) 크립토코인뉴스(CCN)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경제포럼(WEF)의 한 토론에 참석한 버트 총리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산업이 버뮤다의 주요 관심사라면서 이 같은 소식을 알렸다. 이 자리에서 버트 총리는 “다음 주에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업들을 위한 은행 출범을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63210


12. 중국 블록체인 정보 서비스 관리 규정의 반포와 시사점
중국 국가 인터넷 정보 사무처는 2019년 1월 10일 블록체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중국 최초의 포괄적인 관리 감독 규정인 블록체인 정보서비스 관리규정(이하 “규정”이라고 약칭합니다)을 반포하고 2019년 2월 15일부터 시행에 들어갑니다.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50383


13. 인도 은행기술연구소, 블록체인 수용 청사진 제시
인도 은행 기술 개발연구소(IDRBT)가 은행부문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수용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고 파이낸셜 익스프레스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 중앙은행(RBI)에 의해 설립된 IDRBT는 다양한 앱을 출시할 수 있는 공동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블록체인 구축을 위해 인도 정부, 은행, 산업계와 공동 작업을 벌여왔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63200


14. 튜링상 수상자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알고랜드, 국내 밋업 개최
지난 23일 강남 N 타워에서 알고랜드의 국내 첫 밋업이 개최되었다. 알고랜드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로 알려진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해법을 제시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알고랜드의 수석 엔지니어 나비드와 함께 밋업에 참석한 실비오 미칼리 교수는 현재 블록체인의 한계로 지적되는 블록체인 트릴레마에 대해 “확장성, 보안, 분산화를 동시에 이루지 못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알고랜드는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하고자 탄생한 프로젝트이다"라고 밝히며 프로젝트의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699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