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9년 01월 29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바이낸스가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발굴한다
바이낸스 랩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력이 우수하고, 탄탄한 기술진과 설득력 있는 사업 모델을 갖춘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이낸스 랩에 따르면 선정된 기업들은 10주 동안 ▲10%의 지분과 토큰 판매 풀의 10%에 해당하는 투자금 지원 ▲멘토링 ▲네트워킹 ▲법률, 고용, 기술, 마케팅, 자금 조달 등 지원을 받는다.
https://www.coindeskkorea.com/%EB%B0%94%EC%9D%B4%EB%82%B8%EC%8A%A4%EA%B0%80-%EB%B8%94%EB%A1%9D%EC%B2%B4%EC%9D%B8-%EC%8A%A4%ED%83%80%ED%8A%B8%EC%97%85%EC%9D%84-%EB%B0%9C%EA%B5%B4%ED%95%9C%EB%8B%A4/


2. 네슬레, “IBM 식품 추적 블록체인, 올해 신규 공급사·매장으로 확대할 것”
28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네슬레 글로벌공급망 디지털전환부의 벤자민 뒤부아(Benjamin Dubois)는 올해 블록체인 식품 추적 프로그램을 신규 공급업체와 소매업체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월마트, 유니레버가 참여하는 IBM푸드트러스트 블록체인은 2016년 가을 시작됐다. 같은 해 12월 월마트 중국지사가 첫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네슬레는 2017년 8월 테스트를 진행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5637


3. 中 정부 '블록체인 사업 허가' 시스템 운영 개시
블록체인 기업 관리 나선 중국 정부
http://www.zdnet.co.kr/view/?no=20190129083432


4. 멀티코인 캐피털, 블록체인 데이터 색인화 작업에 28억 원 투자
멀티코인을 비롯한 투자자들의 투자를 받아 발족한 더 그래프(The Graph)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모든 정보를 색인화하는 오픈소스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계획이다.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라면 누구나 블록체인에 있는 정보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소프트웨어의 주된 목적이다. 블록체인에는 유용한 정보가 많이 축적된다. 그러나 데이터를 수집해 활용하기에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자체가 매우 복잡하다. 더 그래프가 개선할 수 있는 지점으로 꼽은 부분도 바로 여기다.
https://www.coindeskkorea.com/blockchaindataindex/


5. 블록체인 기반 ‘AI 프로젝트’ 출시 잇따라
김종현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블록체인·융합 PM은 지난 1월 17일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19 소프트웨어 컨버전스 심포지움'에서 '블록체인 혁신과 데이터 공유'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신뢰할 수 있을 지가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데 블록체인을 통하면 이는 간단히 해결된다”며 “AI가 발전하고 데이터가 쌓일수록 블록체인이 더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5630


6. 후오비 그룹, 중국 하이난성 블록체인 특구(RSC)의 상징 기업으로 떠올라
중국 매체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IT 기술 허브로 거듭나기 위한 중국 하이난성의 계획과 현황을 28일(현지시간) 밝혔다. 중국은 블록체인 관련 특허보유 1순위 국가인 만큼 블록체인 기술 지원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 중 하나로 손꼽힌다. 하이난성의 하이코우시는 시진핑 주석에 의해 중국의 12번째 자유 무역 지대(Free Trade Zone)로 지정되었으며, 2018년 9월 하이난성 공신청이 받아들여져 기존에 운영하고 있던 RSC(Resort Software Community, 이하 RSC)중심으로 블록체인 특구를 운영하기 하이난성의 블록체인 특구가 후오비 그룹(Huobi Group)을 입성시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이끄는 주축 기업으로 삼게되었다.
https://tokenpost.kr/article-5626


7. 미래를 위해 움직인 강원도, 블록체인 평창포럼 2019 개최
"강원도는 많이 변화하고 있다. 파괴의 땅에서 평화의 올림픽 게임이 열린 땅으로 변했다. 이제 블록체인의 땅으로 변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투명과 평등성을 의미한다. 전 세계 사람들과 우정을 쌓고 번영을 꿈꾸도록 바꾸고 싶다. 이는 블록체인이 있어 가능할 것이다. 우리는 이 땅에서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
http://it.donga.com/28668/


8. 나스닥,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낙관적인 견해로 블록체인 투자 유치
최근 나스닥이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도입에 있어 한 걸음 더 나아가,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벤처 스타트업에 상당한 금액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공식 보도에 따르면, 나스닥 벤처스(Nasdaq Ventures)는 마이크 노보그라츠의 갤럭시 디지털, 시티, 레토르 그룹(Raptor Group) 등의 투자자들을 포함한 라운드를 이끌어 약 2천만 달러 규모의 심비온트(Symbiont) 시리즈 B 자금 모집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http://cointoday.co.kr/all-news/25484/


9. 알고랜드, 블록체인 딜레마 극복? 과연 그럴까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가상화폐(암호화폐·코인)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신생 코인들은 저마다 차별성을 내세우고 있죠. 특히 속도에서 1초당 수천~수십 만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 코인이 많은데요. 초당 7건을 처리하는 비트코인과 초당 15건을 처리할 수 있는 이더리움의 처리량이 초라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716579


10. 암호화폐로 즐기는 블록체인 보드게임? '크립토마블' 공개
크립토마블은 암호화폐로 경쟁하는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보드게임이 될 것이다. 사용자는 개성 있는 전 세계의 유명인들을 자신의 직원으로 고용하여, 이들의 능력을 이용한다. 크립토마블은 모노폴리와 유사한 규칙으로, 사용자는 매 턴마다 주사위를 던져 나온 값으로 자신의 말을 움직여 해당 지역의 땅을 구입한다. 사용자는 구매한 땅에 각종 건물(차고, 사옥 등)을 짓고, 다른 사용자가 해당 지역에 멈추면 통행료를 획득한다. 자신의 건물을 독점하여 통행료를 거두고, 다른 사용자의 지분이나 건물 등을 빼앗고, 자금을 회수해 결국 파산에 이르게 하여 승리를 거둘 수 있다.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14381


11. 탕젬, 마셜제도 암호화폐 위한 ‘블록체인 실물 지폐’ 발행
28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탕젬은 인터넷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가 공정하게 암호화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의 실물 지폐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기업은 실물 SOV는 마셜 정부가 화폐 발행을 조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진다고 밝혔다. 마셜제도의 데이빗 폴(David Paul) 장관은 “탕젬이 섬 외곽과 오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모두가 SOV를 통한 거래를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5636


12. 현대BS&C-한라홀딩스, 블록체인 기반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블록체인 사업관련 포괄적 협력 ▲블록체인 관련 기술, 인력, 정보 교환 및 공유 ▲블록체인 관련 공동 프로젝트 및 기술개발 ▲마케팅 및 홍보 등의 분야에서 각 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적, 사업적 역량을 토대로 고객에게 보다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사업을 확장하는데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7384


13. 세종텔레콤,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블루브릭(BlueBrick)’ 공개
유무선 종합 통신기업 세종텔레콤이 28일~29일 개최되는 ‘블록체인 평창 포럼 2019’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경제 활성화’ 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무한 확장형 블록체인(BaaS) 플랫폼, ‘블루브릭(BlueBrick)’을 첫 공개한다. ‘블루브릭(BlueBrick)’은 세종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이더리움 기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메인넷이다. 핵심 컨셉은 멀티 사이드 체인 구조로 설계되어, 필요 시 사이드체인의 무한 확장 및 서비스 별 맞춤형 블록체인 지원이 가능하다.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214


14. 잠잠하던 한빛소프트 블록체인자회사 브릴라이트, 새해 광폭행보
메인넷 준비 궤도 올랐다…"성과 나올 것"
코인마켓캡 미등재, 티커 변경 등은 과제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290971g


15. 모인, 샌드박스 신청 1호 블록체인 기업..."정부 전적으로 신뢰"
서일석 대표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신속, 투명, 낮은 수수료 강점"
"국민, 은행 모두에 이익..서비스-규제 합의선 만들 수 있어"
과기정통부 3개월 안에 결과 내야..업체와 긴밀한 논의
https://www.sedaily.com/NewsView/1VE83UVNEG


16. 암호화폐도 풀릴까? 정부, 블록체인 허브 조성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 "4차 산업혁명 기반 혁신 도시로 만들 것"
"지역 불균형… 과거 혁신미흡으로 자립적 성장·재도약 기반 한계 有"
http://ebn.co.kr/news/view/970711


17. 벨라루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토큰화증권 거래 플랫폼 출시
람다(Lambda)가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인프라 스타트업으로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에 무제한의 데이터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람다는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한 수평적 확장성과 높은 거래 처리율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혁신적이고 안전한 블록체인 패러다임인 IOST와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람다와 IOST의 파트너십은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거래 능력과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해 분산 노드의 검사와 컨센서스를 통한 유저와 스토리지 사이드 사이의 신뢰 문제를 해결한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677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