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9년 01월 29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올림픽 앞둔 일본, 정부가 민간 IoT 해킹할 수 있게 됐다
2016년과 2018년의 올림픽 당시 일어났던 해킹 공격 반복되지 않도록
사물인터넷은 공공 안전과 직결...개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위협도 우려돼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6511


2. 日 정부, IoT 기기 감시한다… 국민들 '반발'
도쿄올림픽 앞두고 보안 강화 목적
http://www.zdnet.co.kr/view/?no=20190129075818


3. 포스코건설,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활용해 '더샵' 스마트홈 구현
포스코건설은 삼성전자와 함께 두 회사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연계한 스마트홈을 구현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각 기기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가동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포스코건설은 자체 사물인터넷 플랫폼인 ‘더샵 클라우드(Cloud)’과 삼성전자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스마트씽스(SmartThings)'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홈을 구현한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12333


4. IoT, 가격·저전력 난제 뚫고 5G랑 뜬다
텔릿, LTE 캣 M1 모듈 SKT 인증…스마트시티 확산 기대
http://www.zdnet.co.kr/view/?no=20190129163014


5. 레비톤, ‘통합배선 솔루션’, ‘에너지 절감 조명제어 솔루션’으로 세계 IoT, PoE 시장 이끈다
IoT의 핵심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 교환을 통해 에너지 모니터링, 상태 감시 등 인터넷을 통한 사물의 완전 자동화일 것이다. 더불어 광범위한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PoE의 활용으로, 사용자와 IoT에 적용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빌딩 제어 지원 및 설치 용이와 비용 절약 등의 장점들로 그 요구가 점점 더 느는 추세다.
http://www.etnews.com/20190121000406


6. 국내 나노인프라, 나노기술 적용 IoT 센서·소자 공정플랫폼기술 개발 전력투구
국내 나노인프라 기관이 나노기술 활용 사물인터넷(IoT) 센서·소자 공정플랫폼 기술 사업을 통해 개발한 플랫폼 기술을 전면 개방, 기업과 연구자 연구개발(R&D)를 지원한다. 나노종합기술원·한국나노기술원·나노융합기술원 등 국내 나노인프라 기관은 인하대, 한양대와 함께 '나노인프라 기반 IoT 구현을 위한 5대 공정기술 개발사업(선행공정·플랫폼기술 R&D사업)' 1단계 사업을 마치고 개발한 기술을 기업 등에 지원하는 2단계 사업에 돌입했다.
http://www.etnews.com/20190129000332


7. [IBK투자증권] 머큐리 -사물인터넷 확산 대표수혜기업·목표가 미제시
머큐리(코스닥 100590)는 정보통신장비(AP 광케이블 교환위성장비 등)를 개발 생산 판매하며 국내 3대 통신사업자(KT SKB LGU+)를 대상으로 가정 내 단말장비의 제조 공급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해왔다. 통신용 광케이블을 유럽 아프리카 등 해외시장에도 판매 중이며 기존 유선전화 교환기를 IP화한 TDXAGW 및 군위성통신장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018년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국내 3대 통신사업자에게 WiFi AP를 공급하는 유일한 사업자다.
http://www.betanews.net/article/967001


8. 무선랜으로 스마트폰 충전하는 시대 열린다
사물인터넷(IoT)이 발달하면서 전자제품 대부분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다. 대부분의 집이나 공공시설, 건물 내에는 어디에나 무선랜 신호가 잡히도록 중계기가 촘촘히 설치돼 있다. 만에 하나 무선랜에서 전기를 얻는다면 전자제품이 따로 전기를 얻기 위한 충전설비가 필요 없어진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6547


9. 일본, 일반 기업 및 가정 상대로 IoT 기기 감시하는 법안 통과
일본 정부가 전국에 있는 2억 대 이상의 IoT(사물 인터넷) 기기를 대상으로 정부 기관에서 감시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25일(현지시간) 지디넷에서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해당 조치를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보안이 취약한 IoT기기를 사이버 공격에서부터 차단하기 위한 사전 조치라는 설명이다.
https://kbench.com/?q=node/195727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