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9년 03월 19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전문 개발자 없어도 블록체인 서비스 만들 수 있는 시대 연다"
두나무 산하 블록체인 연구소, 루니버스 정식 출시
루니버스 토큰 `루크(LUK)’ 신규 발행
https://www.mk.co.kr/news/view/economy/2019/03/164704/


2.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 베타 테스트 진행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은 자체 개발한 메인넷 `퓨처피아(Futurepia)`의 1호 디앱(DApp)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진행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스낵은 `SNS의 경제민주화`를 목표로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의 SNS 메신저다. 콘텐츠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운영주체가 독점하는 대부분의 기존 SNS와는 달리,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소비자를 포함한 메신저 회원 모두에게 활동 기여도에 따른 공정한 보상을 지급하는 민주적인 시스템이 특징이다.
https://www.mk.co.kr/news/view/economy/2019/03/164796/


3. TTC프로토콜, 31일 소셜 블록체인 메인넷 '리기' 공개
TTC메인넷 리기의 론칭으로, TTC 파트너 서비스들 또한 순차적으로 SDK연동 및 보상 지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중국 내 1500만명 가입자를 보유한 타타유에프 (tataUFO), 비디오 공유 플랫폼 얼라이브, 국내 블록체인 커뮤니티 코박 등 총 3200만 명 유저가 TTC로 매일 소셜 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게 된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17


4. 네오플라이, EOS VC와 공동 육성할 블록체인 스타트업 모집
EOS VC는 EOS를 개발한 블록원(Block.one)의 투자 프로그램으로, EOS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EOS 디앱(DApp)을 만드는 팀에 투자와 기술 지원을 해오고 있다. EOS VC가 투자한 기업으로는 EOS 버전 위키피디아인 △에브리피디아, AR 접목 마켓플레이스 하이피델리티, 인사채용기반 디앱, 인스타포, 위치기반솔루션인 플라틴, 미씨컬게임, 굿머니 등이 있다.
https://platum.kr/archives/118100


5. ‘자칭 사토시 나카모토’ 라이트, 블록체인 특허 155건?…독점 우려도
호주 컴퓨터 과학자인 크레이그 라이트 박사와 그가 이끄는 회사가 블록체인 특허 155개를 제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라이트 박사는 자신이 비트코인의 개발자 사토시 나카모토라고 주장해온 인물이다. 19일(현지시간) IT매체 TNW에 따르면 라이트 박사와 그가 이끄는 이티아이시홀딩스(ETIC holdings)는 현재까지 155개의 블록체인 관련 특허를 제출했다. 이는 지난 19개월간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제출한 특허 신청을 합한 개수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4972


6. 미 콜로라도 주의회, 블록체인 기술 농업에 접목하는 법안 발의
해당 법안은 다양한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이른바 ‘농장에서 식탁’까지 식품의 생산 및 유통 전 과정을 추적하는 기술부터 재고 관리, 날씨나 토질 등 농장의 여건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기술까지 다양하다. 또 생산과 수송 장비에 관한 기록을 유지하고, 유기농 제품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나 증명서를 확인하며, 비료나 종자 같은 원재료를 추적하고 주문하는 시스템 등도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개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소개됐다. 의원들은 이런 영역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실질적으로 접목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https://www.coindeskkorea.com/coloradoagriculture/


7. 금융결제 네트워크 ‘IBM 블록체인 월드와이어’ 가동…부산은행 참여
예컨대 IBM 블록체인 월드와이어를 활용하면 기존의 복잡한 코레스 뱅킹 같은 중계은행을 거치지 않고 상대방 은행으로 직접 송금이 가능한 스텔라 프로토콜을 사용해 보다 효율적인 국가 간 결제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과정을 줄이고, 사용자의 정산 시간을 수초로 단축하는 등 전반적인 금융 거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https://www.coindeskkorea.com/%EA%B8%88%EC%9C%B5%EA%B2%B0%EC%A0%9C-%EB%84%A4%ED%8A%B8%EC%9B%8C%ED%81%AC-ibm-%EB%B8%94%EB%A1%9D%EC%B2%B4%EC%9D%B8-%EC%9B%94%EB%93%9C%EC%99%80%EC%9D%B4%EC%96%B4-%EA%B0%80%EB%8F%99-%EB%B6%80/


8. 국민 눈높이에 맞는 블록체인 서비스 본격 추진한다
‘국민참여평가단’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기초 지식과 관심을 보유한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총 30명 규모로 선발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공공·민간 시범 사업 서비스(공공 12개, 민간 3개) 개발·체험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시범 사업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홍보대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국민참여평가단의 임기는 올해에 한하며, 우수 활동자에 대해서는 연말에 표창을 수여할 계획이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7937


9. 코인플러그, 웹과 앱 모두 지원하는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 개발
회사측에 따르면 기존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은 모바일앱 기반으로 웹과의 호환이 불가했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함에 따라 KB국민카드는 앱과 웹 브라우저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게 돼 보다 다양한 인증 채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코인플러그는 기대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13


10. 미 돈육협회, 돈육 공급망 블록체인 시범 운영
미국 돈육협회가 블록체인 스타트업 라이프닷 아이오와 손잡고 돈육 공급망 블록체인 플랫폼을 시범 운영한다. 이번 협력으로 돈육협회는 블록체인 기반 돈육 공급망 생태계 플랫폼을 활용하여 가축 건강, 환경 보호, 음식물 안전 표준, 지속성 실행 여부를 평가하거나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시범 플랫폼은 공급망 생태계 참가자들이 돈육 생산환경을 상호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급 투명성을 제고하고 인증과 검증 절차를 확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공급망 내의 모든 정보는 익명으로 처리된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09


11. 호주, 국가 블록체인 로드맵 발표…정부 지원 늘린다
로드맵은 블록체인 관련 규제, 기술, 역량, 혁신, 투자, 국제 경쟁력, 국제 협력 등의 내용을 아우른다. 7만1200달러 상당의 기술 지원금도 추가됐다. 앞서, 정부 지급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통합하기 위해 디지털전환부에 50만 달러를, 국제 블록체인 표준 개발을 위해 스탠다드 오스트레일리아(Standards Australia)에 25만 달러를 지원한 바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6225


12. 분산 장부라 안전하다…‘블록체인’의 패권전쟁
블록체인은 중앙집중식 시스템을 해결하고자 ‘탈중앙화’를 목적으로 탄생했다. 서버로 어느 한 장소에서 관리되는 데이터가 아닌 개인의 컴퓨터로 분산된 장부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해킹이 불가능 한 시스템이다. 암호화폐의 핵심기술도 블록체인이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415129


13. 박재현 람다256 대표 "스마트폰 블록체인 키스토어 보완 필요"
삼성전자는 지난달 갤럭시 S10을 출시하며 블록체인 키스토어 기능을 스마트폰에 담았다. 블록체인 키스토어에는 암호화폐 자산 접근에 필요한 개인 키(Private Key)를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월렛'을 갤럭시 스토어에서 다운 받아 이용하면 디앱과 월렛을 이용할 수 있다.
http://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727


14. 블록체인 기술, 학력위조 막을까
사회적 비용 막대한 학력위조·논문표절 논란…블록체인 기술로 해결 시도 봇물
빠른 시간 진위 여부 확인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대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83098


15. 블록체인 미디어 플랫폼 '퍼블리시 프로토콜', 한빗코 거래소서 IEO 실시
퍼블리시(주)는 퍼블리시 프로토콜을 “이오스 블록체인 기반으로 개발된 ‘언론사에 의한, 언론사를 위한’ 뉴스 생태계 솔루션이다. 언론사 자체 생태계에 지속적으로 현물 가치를 유입시킬 수 있는 언론사 고유의 토큰 경제 모델 구축을 지향한다”고 소개했다. 기업은 “뉴스 생산과 소비 과정에 기여하는 모든 참여자에 공정하고 실질적인 보상을 보장하며, 이를 통해 생태계 참여 명분을 강화할 수 있다. 분산된 뉴스 생산, 구독자 확대를 위한 성공적인 견인책을 제시할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http://www.coinreaders.com/3737


16. 블록체인 기업들이 강조하는 '메인넷' 도대체 뭐길래…
메인넷이 구축됐다는 말은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는 의미다. 대다수 블록체인 업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백서를 공개하는 것으로 사업을 시작한다. ‘사업 설계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투자자는 가상화폐를 사들이는 방법으로 해당 업체에 투자한다. 이를 ICO(initial coin offering·암호화폐 공개)라고 한다. 자금을 모은 업체들은 이를 기반으로 메인넷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31917241


17. 서울시, AI·블록체인 등 혁신 아이디어·기술에 최대 2억원 지원한다
도시문제해결+기술발굴 300일 대장정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31819465380058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