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9년 06월 24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사물인터넷+주거시스템 '래미안 IoT 플랫폼' 본격도입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4/2019062401250.html

 

사물인터넷+주거시스템 '래미안 IoT 플랫폼' 본격도입

삼성물산은 올해 분양하는 단지부터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주거시스템을 결합한 '래미안 IoT 플랫폼'을 도입해 거주민의 편의를 극대화할 예정..

biz.chosun.com


2. 화재 취약 인천 지하도상가 '늦어지는 IoT(사물인터넷) 감시시스템'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90624010009295

 

화재 취약 인천 지하도상가 `늦어지는 IoT(사물인터넷) 감시시스템`

市직영 제물포·배다리 우선 추진개보수 공사 지연탓 일정 연기돼올해 구축 마친 서울시와 대조적``가능한 곳부터 설치를`` 목소리대표적인 재난 취약시설인 지하도상가에 사물인터넷(IoT)..

www.kyeongin.com


3. 첨단 IoT 아파트 열풍, 서울에서 지방으로 확산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1906243210e

 

첨단 IoT 아파트 열풍, 서울에서 지방으로 확산

서울이나 수도권에 집중됐던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이 적용된 아파트가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 IoT 기술을 지원하는 집안 시스템과 가전제품이 늘어나면서 허브가 되어줄 아파트 또한 첨단 기술이 적용될 필요가 있어서다. IoT가 적용된 아파트는 안팎에서 집을 콘트롤할 수 있다. 외부에서 원격으로 집 안의 조명이나 가스 · 난방 등의 조절이 가능하다.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청소기나 공기청정기 등의 가전제품을 음성명령만으로 작동시

www.hankyung.com


4. 한국IT직업전문학교, 다음달 지능형 IoT페스티벌 개최
http://m.etnews.com/20190624000247?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한국IT직업전문학교, 다음달 지능형 IoT페스티벌 개최

한국IT직업전문학교 융합스마트계열은 다음달 19일 교내 다산아트홀에서 제 1회 지능형 사물인터넷(IoT)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융합스마트계열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드론·로봇, 컴퓨터공학, 사물인터넷, 소...

m.etnews.com


5. 애완동물 질병진단부터 IoT 보안까지...한국 4차산업 참가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5919

 

애완동물 질병진단부터 IoT 보안까지...한국 4차산업 참가 - 비아이뉴스

[비아이뉴스] 장정우 기자=5G를 비롯한 AI, IoT 등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한 곳에 확인할 수 있는 MWC19 상하이에 한국 기업들도 참가할 예정이다.KOTRA 상하이 무역관과 KICTA(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가 이달...

www.beinews.net


6. 똑똑한 에너지 소비…원주시 '우리집 전기저금통 사업' 추진
https://www.yna.co.kr/view/AKR20190624048400062

 

똑똑한 에너지 소비…원주시 '우리집 전기저금통 사업' 추진 | 연합뉴스

똑똑한 에너지 소비…원주시 '우리집 전기저금통 사업' 추진, 김영인기자, 정치뉴스 (송고시간 2019-06-24 10:31)

www.yna.co.kr


7. “화웨이 블랙리스트가 中기술 자립 촉진”…퍼져가는 對中 압박 무용론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624/96161835/1

 

“화웨이 블랙리스트가 中기술 자립 촉진”…퍼져가는 對中 압박 무용론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미국의 대(對)중 압박이 오히려 중국 기업들의 기술 독립을 촉진시키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미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FA)는…

www.donga.com


8. 신일, IoT 선풍기로 ‘2019 대한민국 혁신대상’ 수상
http://liberalmedia.co.kr/news/article.html?no=10427
불러오는 중입니다...


9. IOT, 드론 등 지능정보기술 농·어촌 지원 확대...강원 삼척·전남 무안 '스마트빌리지 사업' 선정
http://www.ilyoweekly.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3146330711

 

IOT, 드론 등 지능정보기술 농·어촌 지원 확대...강원 삼척·전남 무안 ′스마트빌리지 사업′ 선정

[일요주간=하수은 기자] 강원 삼척시 근덕면과 전남 무안군 무안읍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

www.ilyoweekly.co.kr


10. 한화시스템, 무기의 두뇌·전투기 눈…방산 4차 산업혁명 주도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62431161

 

한화시스템, 무기의 두뇌·전투기 눈…방산 4차 산업혁명 주도

한화시스템은 무기체계의 두뇌와 감각기관에 해당하는 정보기술(IT) 기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위산업기업이다. 1978년 야간투시경 제작을 시작으로 방위산업에 진출했다. 한화그룹에 2015년 합류해 다른 방산 계열사들과 시너지를 내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8월 그룹 정보통신기술(ICT)업체인 한화S&C를 합병했다. 기존 레이더와 센서 개발 역량에 ICT 부문의 시스템통합(SI) 역량을 결합해 기존 사업의 고도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드론,

www.hankyung.com


11. 리콘바이크-벡셀, 스마트 배터리 MOU 체결
http://www.zdnet.co.kr/view/?no=20190624140625

 

리콘바이크-벡셀, 스마트 배터리 MOU 체결

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 회원사인 리콘바이크(대표 이효근)와 벡셀(대표 박훈진)이 스마트 배터리 제작 및 스마트 모빌리티 관련 배터리 공급 계약에 대한 업무협약(MOU)를 6월 17일 백셀 사옥에서 체결했다고 24일 ...

www.zdnet.co.kr


12. 세일즈포스 "1억달러 펀드 조성해 한·일 SW기업 투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624171127

불러오는 중입니다...


13. LG전자, 서비스직원 현장 출퇴근제 도입 外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90624012600038/

 

[비즈&] LG전자, 서비스직원 현장 출퇴근제 도입 外

[비즈&] LG전자, 서비스직원 현장 출퇴근제 도입 外 경제계 소식을 알아보는 비즈& 시간입니다.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LG전자, 서비스직원 현장 출퇴근제 도입 LG전자는 가전제품 수리 요청이 몰리는 8월 말까지 신속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현장 자율 출퇴근제’를 시행합니다. LG 측은 엔지니어들이 현장으로 바로 출근하고, 바로 퇴근해 더 많은 고객에게 발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

www.yonhapnewstv.co.kr


14. 삼성重, 한국해양대와 손잡고 자율운항선박 개발 나서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4/2019062402303.html

 

삼성重, 한국해양대와 손잡고 자율운항선박 개발 나서

삼성중공업이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자동화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에 나섰다.삼성중공업은 24일 한국해양대..

biz.chosun.com


15. 앱 하나로 통합제어… 아이파크만의 '스마트홈 시스템'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4/2019062401268.html

 

앱 하나로 통합제어… 아이파크만의 '스마트홈 시스템'

HDC현대산업개발의 주택 브랜드 '아이파크' 입주민은 아이파크만의 IT 첨단시스템으로 일상에서 편리함을 경험할 수 있다.HDC현대산업개발의 스마..

biz.chosun.com


16. 건설 계열사 경영진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中東 스마트시티 수주, 발 빠르게 움직이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62450291

 

건설 계열사 경영진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中東 스마트시티 수주, 발 빠르게 움직이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경영 보폭을 넓히고 있다. 삼성전자 등 전자 계열사에 이어 24일엔 삼성물산 등 비(非)전자 계열사 경영진을 만나 ‘사업 확장’과 ‘혁신’을 주문했다. 내부 결속을 다지면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겠다는 이 부회장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3년5개월 만에 건설 경영진 만나 이 부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상일동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옥을 방문했다. 이영호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등과 함께 건설 설계

www.hankyung.com


17. 비젠트로, ‘비젠트로 디지털라이제이션 플랫폼' 선보여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82765

 

비젠트로, ‘비젠트로 디지털라이제이션 플랫폼' 선보여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비젠트로(대표 김홍근)는 6월 20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9 서울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엑스포'에서 ‘비젠트로 디지털라이제이션 플랫폼(BIZENTRO Digitalization Platform)’을 공개했다.비젠트로 디지

www.ddaily.co.kr


18. 대신정보통신, SI·모바일 넘어 산업용 PDA 제조…사업영토 확장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62430851

 

대신정보통신, SI·모바일 넘어 산업용 PDA 제조…사업영토 확장

대신정보통신은 시스템통합(SI) 사업을 하는 정보기술(IT) 서비스 기업이다. 정부와 공공기관, 금융,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 유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987년 대신전산센터로 출범한 이후 1992년 대신정보통신으로 상호를 바꿨다. 199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2012년 정부와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정보자원 이전 및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SI 사업에 진입했다.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www.hankyung.com


19. 인텔, 세계 첫 3D 시스템온칩 상용화 박차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62449101

 

인텔, 세계 첫 3D 시스템온칩 상용화 박차

인텔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메모리칩 등 다른 종류의 칩을 하나로 모아 3차원(3D)으로 쌓는 신개념 칩 상용화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초의 3D 시스템온칩(SoC)이다. 인텔은 올 하반기께 노트북용 SoC인 ‘레이크필드’를 노트북에 장착하는 형태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자사의 10나노 서니코브 CPU 아키텍처(설계)와 아톰 CPU 4개, 11세대 그래픽 등을 층층이 쌓는 형태다. 10나노, 7나노, 5나노 등 ‘크기를 줄

www.hankyung.com


20. 에프티랩, 미국 '센서 엑스포 2019'에 범용 소형 라돈센서 'RS9A' 출품
http://www.etnews.com/20190624000316

 

에프티랩, 미국 '센서 엑스포 2019'에 범용 소형 라돈센서 'RS9A' 출품

에프티랩(대표 고재준)은 25일부터 27일까지 미국 세너제이에서 열리는 센서 전시회 센서 엑스포 2019에 범용 소형 라돈센서 RS9A를 출품한다고 24일 밝혔다. 신형 라돈센서 RS9A는 소형 육면체 모양으로 공기청...

www.etnews.com


21. '밀리테크 4.0 시대'…8대 국방기술로 미래 전쟁 대비한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9062431421

 

'밀리테크 4.0 시대'…8대 국방기술로 미래 전쟁 대비한다

‘무기’는 지난 수만 년간 인류의 삶과 죽음을 결정지었다. 신석기라는 신형 무기의 등장이 그랬다. 구석기에 의존하던 수많은 종족은 절멸했다. 고고학적 증거물들이 이를 증명한다. 혁신적인 무기들은 때로 역사의 흐름을 바꿔놓기도 했다. 몇 날 며칠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몽골 기마병의 말이 대표적이다. 요즘으로 치면 초고속 탱크부대를 몰고 칭기즈칸은 유럽을 정복했다. 이 같은 역사는 앞으로도 되풀이될 것이다. 미래의 혁신을 누가 먼저 수용하느냐가 국가의

www.hankyung.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