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공지능에서 어쩌면 가장 현실성 있는 AI 스마트 시티가 아닐까 합니다.
사실 돈이 되는 것은 B2C보다는 B2B가 더 현실적인 수익이 담보되기도 하고 빠르게 확대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런 스마트 시티는 여러 건설관련 곳에서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엔비디아의 플랫폼을 알리바바와 화웨이가 채택을 했다는 점이 향후 주도권 싸움에서 엔비디아에게 유리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AI 스마트 시티의 의미는 향후 자율주행자동차 등 AI 관련 인프라를 선도하는 것으로 중국기업이 채택했다는 점은 빠른 시일내 AI 스마트 시티가 착수될 것이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AI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는 중국의 입장에서 선점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까지 더해질 것으로 예상되어서 최초의 AI 스마트 시티는 중국에서 만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네요.

[관련기사]
알리바바·화웨이,엔비디아 메트로폴리스 AI 스마트 시티 플랫폼 채택
엔비디아는 알리바바와 화웨이가 인공지능(AI)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엔비디아 메트로폴리스 플랫폼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또한, 실시간 동영상 분류를 돕는 엔비디아 딥스트림 SDK를 새롭게 탑재했다고 발표했다
http://betanews.heraldcorp.com:8080/article/750001.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