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2월 21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국립중앙박물관, 인공지능 전시 안내 로봇 ‘큐아이’ 시범 서비스 시작
큐아이는 AI(인공지능) 기반 로봇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화진흥원)이 추진하는 ‘2018년 ICT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추진하고 한컴MDS/아이브릭스가 제작했다. 큐아이는 음성인식 자동 응대 시스템을 통해 박물관 기본 정보 및 각종 편의시설을 소개한다. 관람객이 질문하면 질문을 이해하고 편의시설의 위치 및 이용 방법, 주변 볼거리 및 교통 정보 등 관람정보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안내한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5696


2. 애플, 구글 출신 인공지능 전문가 경영진에 합류시켜
애플이 구글 출신의 인공지능(AI) 머신러닝 전문가를 경영진에 합류시켰다고 CNBC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아이폰 메이커인 애플과 안드로이드 진영인 구글 간의 그동안 관계를 고려하면 이례적인 발탁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애플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 존 지아난드레아(53)를 경영진에 합류하게 했다면서 그가 최고경영자(CEO)인 팀 쿡에게 직접 보고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066950


3. 서울대에 첫 AI·빅데이터 전문대학원
데이터 과학자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전문대학원이 처음으로 문을 연다. 21일 과학계에 따르면 서울대는 2020년 봄 학기부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가르치는 데이터사이언스 전문대학원을 설립한다. 일부 대학의 일반대학원에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학과를 개설한 적은 있었지만, 전문대학원의 설립계획과 구체적인 예산안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5903


4. SK텔레콤, 인공지능·자율주행 탑재 '5G 협업 로봇' 시연
20일 SK텔레콤이 경기도 안산시 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서 5G 다기능 협업 로봇, 5G 소형 자율주행 로봇 등 5G와 첨단 ICT를 접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5종을 시연했다. SK텔레콤이 시연한 솔루션 5종은 사람과 협업을 통해 전체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으며, 5G,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된 것이 특징.
https://kbench.com/?q=node/194584


5. 맥스트, ‘CES 2019’서 인공지능(AI) 접목한 AR 기술 공개
국내 증강현실(AR) 원천기술 보유기업 맥스트가 내달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9’에서 AR기술에 인공지능(AI) 엔진을 결합한 차세대 AR 기술 ‘AI-powered AR’을 공개한다. AI-powered AR은 슬램(SLAM)과 객체인식(Object Recognition), 클라우드인식(Cloud Recognition)을 강화하는 핵심기술로 게임,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http://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26


6. 중국 게임판호에 인공지능 도입, 하이난에서 먼저 시작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12월 21일, 하이난성 공산당 상임위원회와 샤오 유지 선전부 부장이 2018년 중국게임산업컨퍼런스(中国游戏产业年会)에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하이난성이 먼저 3단계 메커니즘을 통해 새로운 게임 승인 방식(판호 발급 방식)을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죠. 또한, 게임산업개발 투자펀드를 설립하기 위해, 하이난에 국제 e스포츠 대회를 열고, 게임 전시회도 개최할 것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263/?n=89891


7. 네이버, AI로 해외 시장 뚫는다
개인 최적화 뉴스·장소 추천 시스템 내년 일본 잇달아 진출
쇼핑상품 추천 시스템도 AI 이용해 고도화…소상공인 경쟁력↑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22115373346626


8. 아마존 AI스피커 '에코', 이용자 음성 기록 유출 사고
21일(현지시각) 미국 IT전문매체 더버지에 따르면 한 독일 이용자는 에코에게 자신의 녹음 데이터를 들려달라고 요청했는데, 정작 에코는 해당 이용자의 기록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녹음 데이터 1700건을 제공했다.  더버지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시행 중인 유럽 연합(EU)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일반 법률규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에 의해 EU 지역 거주자는 기업이 수집한 자신의 개인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기업에 요청해 받을 수 있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21/2018122100822.html


9. 인간보다 똑똑한 구글 인공지능 ‘BERT’, 어떤 특징 있을까
기존과는 다른 접근·학습법으로 최첨단 성능 보유
http://www.kidd.co.kr/news/206319


10. 플로·바이브 'AI'추천으로 멜론 아성에 도전장…음원시장 격전 속으로
네이버, SK텔레콤, 인공지능(AI) 추천 서비스 중심 개편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 스포티파이 등 해외 음원 진출도 주목
내년부터 음원 전송 사용료 인상, 창작자 몫 65%로 올라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220_0000509093


11. 한류뱅크, 한류AI센터 인수 완료…최대주주 올라
한류AI센터(구 바이오닉스진(222810))는 한류뱅크가 제3자배정 유상증자 대금 납입을 모두 완료하며 최대주주 변경 절차를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한류뱅크는 한류AI센터의 지분 10.08%(총197만4865주)를 보유하게 돼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총 인수금액은 약 200억원 규모로, 한류뱅크는 앞서 지난 7일 진행된 한류AI센터 주주총회에서 양성우 대표이사 신임을 비롯해 신규 이사진을 선임하는 등 경영권 확보도 마친 상태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2683046619440816&mediaCodeNo=257


12. AI·자율주행 기술 적용된 ‘서비스 로봇’ 뜬다
고객 쇼핑 지원부터 제조 현장에 이르기까지 인간 생활 보조 … 향후 수출도 기대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707


13. 'CES 2019'의 미래 비전은 '5G·AI·디스플레이·IoT·스마트카'
CES 측은 이번 2019 CES에서 155개 나라에서 4천500여개의 업체가 참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ES 2018에 비해 전시 업체는 약 500여개의 업체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전시 제품은 약 1천200개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CES 2019에서는 33개 분야의 1만921개 제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CES 측은 관람객 수도 CES 2018에 비해 1만명이 증가하여 18만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http://www.inews24.com/view/1147132


14. 2025년, 경비·캐셔·청소원 일자리 절반이 AI로봇한테 넘어간다
실리콘밸리에서 본 인공지능 기계의 습격… 우리 곁으로 다가온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20/2018122003648.html


15. 中 알리바바, 농업 용수 절약하는 IoT 기술 개발
내몽고서 테스트...물 필요한 곳에만 정확히 공급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1090111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21일 AR, VR, MR 관련 뉴스


1. 같이 읽고 함께 살다·가상현실의 탄생
달동네 야학에서 맺은 작은 인연으로 1982년부터 같이 책을 읽은 서울 시흥의 '상록독서회', 충남 홍성의 한 시골 마을에서 1985년부터 서른 해 넘게 같이 책을 읽는 '할머니독서모임', 한 해 만에 마흔한 곳 독서 모임이 생겨나는 기적을 이룬 강원도 홍천의 홍천여고, 국토 최남단 제주도 남원에서 귀촌자들이 함께 책을 읽으며 시작해 지역 문화를 공부하고 기록하는 시민 조직으로 발전한 '남원 북클럽' 등등.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23&year=2018&no=797158


2. VR가 현실과 닮아갈수록, 인간은 발전한
‘가상현실 아버지’재런 러니어
실리콘밸리서의 쓰라린 경험담
52개 질문 통한 가상현실 해설
“VR, 정교해져 혼동 일으켜도
뇌는 꿰뚫어보는 법 알아낼것”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122101032712000002


3. “VR 아바타가 내 표정이랑 똑같네!”
임창환 전기·생체공학부 교수가 개발 중인 가상현실(VR)용 표정 인식·재현 기술을 시연하던 중이었다. VR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상현실 속 풍경은 점점 자연스러워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게 있다. 바로 플레이어 자신의 표정이다. 미래에는 페이스북 등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VR와 결합해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통해 대화를 나누게 될 가능성이 높아 실제 표정을 자연스럽게 재현하는 기술이 필수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5884


4. “환상이자 인간 연구장치”…VR의 미래를 보다
- 1980년대 가상현실 창안한 저자
- 상용화 과정·52개 정의 보여줘
- 오락·의료·국방까지 무한 확장
- 우정·가족·사랑의 창조 강조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81222.22012009308


5. 제이씨현, HTC VIVE VR 스페셜 오퍼 이벤트 진행
고성능 룸스케일 VR기기, HTC VIVE(바이브)의 국내 공식 공급원인 제이씨현시스템은 12월 20일(목)부터 아듀2018 해피2019, VIVE X-mas & New year 스페셜 오퍼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https://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51598


6. GPM, '광주 AR/VR제작지원센터' 개장
GPM이 광주광역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산업 기반 구축을 위한 '광주 AR/VR제작지원센터'를 오픈했다.  GPM이 광주광역시,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함께 설립한 광주 AR/VR제작지원센터는 호남선 광주역사 내 150평 규모로 설립됐다. VR과 AR에 특화된 복합적인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http://www.etnews.com/20181221000096


7. 中 알리바바, 농업 용수 절약하는 IoT 기술 개발
내몽고서 테스트...물 필요한 곳에만 정확히 공급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1090111


8. 국립부산과학관, 크리스마스 맞아 신나는 행사 '풍성'
이와 함께 과학관은 개관 3주년을 맞아 신규 체험 전시물 6종을 도입했다. 전시물은 22일부터 일반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회차별 선착순으로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상설전시관 1관 자동차·항공우주관에는 회전축을 유지하는 과학적 원리를 가상현실로 체험해볼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VR’가 도입됐다. 2관 선박관의 ‘4D영상관’은 더욱 입체적으로 미래 과학을 느낄 수 있도록 3면 스크린으로 업그레이드됐다. 3관 에너지·의과학관에는 빛의 과학 원리를 느낄 수 있는 실감형 체험존 ‘라이토리움’과 생명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DNA가 여는 미래’가 설치 완료됐다.
https://sedaily.com/NewsView/1S8JW5PPZN


9. 미래 건강을 책임질 AR/R 기반 의료기술
서울 강남구 모 병원에서는 환자들의 디스트레스(distress·고통, 괴로움) 개선을 위한 가상현실(VR) 애플리케이션인 `힐링유 VR(Healing U VR)`를 출시했다. `힐링유 VR`는 프랑스, 사이판과 같이 해외 관광명소나 에버랜드의 사파리월드, 우주관람차 등 놀이공원을 가상현실로 구현했고, 이를 통해 암 진단과 치료 과정 중 사회적·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고단한 병원생활을 잊고 활력을 얻도록 도와 심리적 안정을 되찾도록 하는 것이다.
http://www.chuksannews.co.kr/news/article.html?no=136462


10. 의료산업에 접목되는 AR·VR, 관련 특허출원도 활발
증강·가상현실(AR/VR)과 접목된 의료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 증강·가상현실(AR/VR)이 접목된 의료기술 관련 특허출원은 총 277건이 출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6년 간 연평균 특허출원 증가율은 49.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http://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32


11. 중심부 내려오는 아동관…유통업계 "패밀리 고객 잡아라"
경기불황에도 뛰는 유아동 매출…평균 신장률 크게 웃돌아
고층부 차지하던 아동관 접근성 쉬운 저층부로
아웃렛, 단순 키즈카페 넘어선 가족고객 테마파크로 변신
집객효과 넘어서 전반적인 매출 증대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22109515440164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19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인간동물원' 만들겠다던 인공지능, 어디까지 왔나
시나리오 데이터 읽는 수준에서 스스로 판단까지
자율주행 택시, 보험·법률 상담 등 인공지능 적용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172635g


2. 지금컴퍼니, 인공지능 스마트 홈 IoT 솔루션 출시
지금컴퍼니(대표 최희재)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고 개입해 제품을 제어하지 않아도 개인과 가족의 성격과 생활 패턴을 스스로 학습해 개인과 가정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해 주는 인공지능(AI) 스마트 홈 IoT 플랫폼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JIOT(JIGUEM IoT) 플랫폼은 현재의 설정 방식으로 동작하는 IoT 솔루션보다 앞선 기술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데이터와 가정 내의 IoT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신경망 구조의 알고리즘으로 분석 후 사용자의 패턴을 파악하고, 이해해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스피커 등으로 제어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기술이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575


3. AI윤리 제정에 앞다퉈 나서는 美中日
일본 정부가 이달 13일 ‘인간 중심의 AI 사회 원칙 검토회의’를 열어 총 7개의 기본원칙을 제시했다. ‘인간 중심’과 ‘기업의 책임’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일본은 이를 토대로 AI 윤리에 대한 국제 논의를 주도하겠다는 방침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달 초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일본은 AI 보급의 새로운 규칙 만들기를 주도하겠다”고 말하며 향후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정할  AI윤리를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5791


4. 클라우드 거치지 않는 진짜 인공지능 스피커, ‘온 디바이스 AI’를 위한 연구
이날 퀄컴 AI 한국 연구소 황규웅 이사는 클라우드를 통해 이용하는 AI가 아니라, 디바이스 자체 AI 기능인 ‘온 디바이스(On-device) AI’ 연구에 대해 발표했다. 황규웅 이사는 “발전된 AI 기술이 집에 있는 로봇청소기, 세탁기, 냉장고 등에 포함될 수 있다”며 “주변의 더 많은 디바이스가 인텔리전트하게, AI가 가능하게 하는 일을 연구 중이다”라고 말했다. 황 이사가 꼽은 AI 디바이스의 세 가지 핵심 기능은 ▲음성인식·센서 등을 통해 주변 상황을 잘 파악하고 ▲상황을 이해해 예측한 뒤 ▲적절한 리액션을 하는 것이다.
http://www.kidd.co.kr/news/206293


5. 리걸테크 스타트업 로클릭, 소액소송 위한 인공지능 문서작성 서비스 출시
AI 기술을 기반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걸테크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AI 변호사’라는 타이틀을 달고 법률시장에 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는 중에 민사소송 소장까지 AI 변호사가 자동 작성하는 서비스가 생겨 눈길을 끈다. 리걸테크 스타트업 로클릭은 AI 기술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을 객관식으로 선택하면 누구나 쉽게 민사소송 소장을 완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IYZGHOZ


6. 알리바바 인공지능 '미래호텔' 개장…안면·음성인식 등 최첨단 기술 적용
알리바바 관계자에 따르면 페이주부커 호텔 내 대부분의 서비스는 무인으로 작동한다. 호텔 로비에는 체크인 카운터가 없으며, 호텔에 들어 선 고객은 안면인식 또는 스마트폰 전자신분증을 이용해 체크인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호텔의 엘리베이터는 고객의 얼굴을 인식해 투숙객의 객실이 있는 층까지 자동으로 안내한다.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81219010006760


7. KT, 효성중공업과 '인공지능 아파트' 구축 협력
평택소사벌 효성해링턴 코트 447가구에 스마트홈 서비스
http://www.bigt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9


8. 기술윤리가 글로벌 경제 좌우하는 세상…"AI 기술 규제 공론화 필요"
지능정보화 시대에는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규제 등 윤리적 문제가 무역갈등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 활용과 규제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분석이다.  권헌영 고려대 교수(정보보호대학원)는 19일 오전10시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지능정보화 시대, 신뢰와 안전 대책’이란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지능정보화 시대에는 기술 패권이 글로벌 경제 시장의 블록화 현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19/2018121902070.html


9. 5G 타고 달린 자율주행차, 빈틈없으면서 허술한 'AI 아이러니'
바로 어제죠. 18일 한양대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ACE랩)와 LG유플러스가 손잡고 선보인 자율주행차가 서울시내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를 달렸습니다. LG유플러스의 5세대(5G) 통신망을 활용해 자율주행을 ‘실증’한 의의가 큽니다. 상용화 첫 걸음을 뗀 셈이지요. 자율주행차는 움직이는 정보통신기술(ICT)의 집약체입니다. 통신망으로 교신하는 커넥티드카에 판단·제어를 맡는 인공지능(AI)을 얹었습니다. 이날 자율주행 관제는 장애물 회피, 경로 변경을 하며 운행하는 시나리오로 진행됐어요. “5G망을 타고 달렸다”는 표현이 단순 레토릭(수사)만은 아닌 이유죠.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191409g


10. IBM의 인공지능 툴킷, AI 편향을 완화해 줄까
AI의 발전이 가속됨에 따라 우리의 일상적 삶의 더 많은 부분이 눈에 보이지 않는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결정을 소프트웨어에 맡기면 맡길수록 이들이 작용하는 방식과 이들이 내린 결론의 이유를 조사할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
http://www.ciokorea.com/news/40245


11. 로봇과 AI 결합한 '지능형 서비스봇', 공공부문에서 포문 연다
NIA, 19일 광화문에서 '활성화 방안' 세미나
"로봇은 AI, ICT와 융합해야" 한 목소리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 산업 활성화 시급
류석상 본부장 "공공부문이 마중물 역할할 것"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IYSQNBQ


12. AI가 ISA 계좌운용…국내서도 씨워킹·수중스쿠터 탄다
정부, 현장밀착형 규제혁신방안 확정
가족형 영화관 생기고, 전자오락실서 신용카드로 결제해
http://m.nocutnews.co.kr/news/5078089


13. 몬드리안 AI, 전문가용 머신러닝 개발·설계용 워크스테이션 AI Box 출시
데이터 시각화 전문기업이 내놓은 전문가용 머신러닝 개발·설계용 머신
소규모 개발자 및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워크스테이션
http://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786


14. 삼성 종기원, AI·전장부품 등 성장사업 연구 중심 전환…기존 인력 계열사 배치
AI·5G·바이오·전장부품 강화...성과 예측 어려운 분야는 축소
http://www.etnews.com/20181219000347


15. 몬드리안AI, AI 개발·설계용 워크스테이션 ‘AI박스’ 출시
소규모 개발자·스타트업·중소기업 환경에 최적화…HW·SW 측면 모두 고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600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18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롯데정보통신, 블록체인 글로벌 기업 ‘데이터메트레스 AI’와 사업협력
이날 MOU 체결식에는 마이클 대나허 주한 캐나다 대사 지명자, 선자 펜데이 온타리오 주정부 대표를 비롯해 롯데정보통신 마용득 대표이사, 데이터메트레스 AI 앤드류 류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캐나다산 축산물 이력제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롯데정보통신과 데이터메트레스 AI뿐 아니라 캐나다 현지 축산협회와도 긴밀한 협조를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소비자들은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축산물 구매가 가능하다. 제조 및 유통 과정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누구나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기 때문이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6083


2. 부산항·소고기에도 ‘블록체인’ 물결…내년도 공공영역서 블록체인 확대
이렇게 공공 분야에서 불필요하게 시간과 비용, 인력이 소모되던 일들이 내년부터 일부 개선된다. 일등공신은 ‘블록체인’ 기술이다. 과학기술정통부는 18일 “내년부터 6개 공공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한 시범 사업을 통해 불편 사항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해운 물류▶소고기 이력관리▶개인 통관 간편 부동산 거래▶온라인 투표▶국가 간 전자문서 등 6개 분야다. 단 전면적이 아니고 일부 지역이나 특정 대상에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219429


3. UAE 은행 연합 자문위원회, 블록체인 도입 검토 중
UBF의 Abdul Aziz Al Ghurair 회장은 "활발한 금융 생태계 구축 및 유지를 위해 블록체인 도입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또한, UBF의 디지털 뱅킹 위원회 의장인 Aref Al Ramli는 분산원장기술을 통한 소속 은행들 간 다양한 작업절차에서 발생되는 이점에 대해 위원회가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 크로스 보더 결제, 컴플라이언스 보고, 커스터머 온보딩 등 은행 내 다양한 작업에서 큰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5199


4. IEEE-알리바바 세계 금융 블록체인 표준 마련
최근 세계 전기전자학회(IEEE)에서 '공급망 금융의 블록체인 표준' 항목이 금융업 블록체인 표준으로서 심사 평가를 처음으로 통과했다. 이 표준은 블록체인 공급망 금융 일반 프레임, 역할 모델, 전형 업무 프로세스, 기술 요구, 보안 요구 등에 기반해 정의된다. IEEE는 '전기 및 전자 엔지니어 학회'로서 글로벌 최대 비영리 전문 기술 학회다. 주요 학술 및 국제 표준 제정으로 글로벌 권위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번 표준 제정은 의미가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8070433&type=det&re=zdk


5. ‘블록체인 섬’ 몰타에 암호화폐 은행 생길까…오케이코인과 금융기관 손잡아
1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ccn에 따르면, 오케이코인의 투자 부문을 맡는 오케이 블록체인 캐피털 리미티드(OK Blockchain Capital Limited)는 몰타 기반의 금융업체 RnF 파이낸스 리미티드(RnF Finance Limited)의 초기 투자에 참여했다. 양사는 이를 통해 몰타 은행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RnF는 규제 승인이 통과되면 내년 중순 은행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 은행은 영업 첫 해 블록체인 기술과 인공지능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위험 기반 규정 준수 하에 고객을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1476


6. 보스코인-GG56-페이익스프레스, 키오스크에 블록체인 결제 장착
블록체인 기반 퍼블릭 파이낸싱 프로젝트인 보스코인(대표 최예준, 기업명: 블록체인OS)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솔루션 업체 페이익스프레스(대표 김재향), 관광 키오스크(kiosk) 솔루션 업체 GG56(대표 차승혁)와 업무 제휴를 맺고 키오스크에 보스코인을 활용한 블록체인 결제 솔루션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98


7. 블록체인 해외송금 서비스 레밋, 필리핀 송금업체와 업무 협약 체결
블록체인 해외송금 플랫폼 프로젝트 레밋이 필리핀 송금업체 블룸(BLOOM INC.)과 레밋 플랫폼 활성화 방안 및 공동 마케팅 진행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블룸은 필리핀 송금업계 ‘빅3’ 중 하나로 한국, 홍콩, 베트남 등 10여개국에서 서비스 중이다. 블룸은 필리핀 내 송금 서비스 외에 비트코인을 이용한 해외 송금 업무를 진행 중이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18/2018121800938.html


8. 애플협력사 만들고, 삼성 뛰어들 '블록체인폰'…어떤 기능 담았나
가상화폐 지갑 탑재는 기본, 분실시 '되찾는 기능'까지
'스마트폰 공룡' 삼성전자·애플 향후 행보에 시장 주목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187447g


9. 블록체인 기반 AI 프로젝트 ‘마인드AI’, REDDS 캐피탈로부터 투자 유치
마인드AI는 인공지능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공지능 엔진 및 생태계다. 병렬 처리, 슈퍼컴퓨터 및 대용량 자료가 있어야 하는 구조를 구축하기보다는 캐노니컬(Canonical)이라는 명칭을 부여한 국제적으로 특허 받은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 구조에 기반한 핵심 추론(Reasoning) 엔진을 만들었다. 혁신적이고 국제적으로 특허를 받은 데이터 구조를 이용해 텍스트에 불완전한 데이터가 포함돼 있어도 AI가 자연 언어를 이용해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했다.
https://platum.kr/archives/113243


10. 韓 헬스케어, AI·VR·블록체인 품었다
올해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아직 시장 규모나 수익 모델은 미약하지만 의료산업을 혁신하는 신성장 분야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보였다. 그 필두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질병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가 있다. 올해 국내 첫 의료기기 허가를 받은 AI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도 등장했다. 이외에도 가상현실(VR),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 블록체인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품들이 속속 시장에 선을 보이고 있다. 재활이나 일상 속 건강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기술을 이용해 더 효과적으로 치료나 건강 증진을 돕는 것이 목표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04095555&type=det&re=zdk


11. 獨 국영은행˙부르키나 파소 재무부, ‘공공 자금 관리’에 블록체인 앱 시범 활용
독일 국영은행 KfW와 부르키나 파소 재무부가 공공재정관리를 위해 블록체인 앱을 시범 활용할 예정이라고 18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총자산 기준 독일 3대 은행인 KfW는 용수 공급 및 위생 부문 지원을 위해 올해 6월 부르키나 파소 정부와 790만 달러 규모의 신용 계약을 체결했다. KfW는 해당 자금 관리에 은행이 개발한 오픈소스앱 ‘트루버짓(TruBudget)’을 부르키나 파소에서 시범 활용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컨설팅업체로 액센츄어와 베이링포인트(BearingPoint)가 참여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5202


12. '나만의 컬러' 뷰티 블록체인 큐포라, 다음달 공식 서비스 출시
17일 진행한 공식 브랜드 밋업서 밝혀..1월 25일 론칭
암호화폐 실사용자-보유자 이원화 현상 해소할 전략도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12406619439832&mediaCodeNo=257


13. 토큰포스트, ‘퍼블리시 소프트’ 솔루션을 통해 토큰 이코노미 확대
지난 3월, 토큰포스트는 전세계 언론사 최초로 자체 암호화폐인 '토큰포스트코인(TPC)' 을 발행한 바 있다. 해당 TPC는 그 동안 각각 3월과 10월에 거쳐 진행된 1차, 2차 국민인식 설문조사, 행사 에어드랍 이벤트 참여 등을 통해 참여회원에게 보상차원에서 지급되었으나, 앞으로는 토큰포스트 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TPC를 지급해 본격적인 TPC의 유통 생태계가 구축될 예정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5193


14. 스위스, 기존 금융법 테두리 안에서 블록체인 규제 희망
스위스 연방위원회(Federal Council)는 지난 14일 분산원장기술(DLT)의 법적 틀을 제공할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스위스의 현재 법률은 블록체인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을 다루는데 적합하지만 일부 수정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밝혔다. 알트코인투데이에 따르면 위원회는 먼저 크립토 토큰의 법적 확실성을 키우기 위한 스위스의 유가증권법 개정을 제안했다. 스위스 최고 행정기구인 연방위원회는 “이해 관계자들이 접근 가능한 탈중앙화된 장부에 기록되는 것은 유가증권 소유와 유사한 공공성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화폐 등록에 있어서 비슷한 법적 효력을 첨부하는 것이 정당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57760


15. 포르셰, 블록체인 사용해 1억7000만달러 대출
세계적 자동차 메이커 포르셰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1억7000만달러의 대출을 마무리지었다고 뉴스BTC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포르셰는 스페인 은행 방코 빌보아 비즈카야 아르겐타리아(BBVA)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대출 작업을 마무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57766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13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AI as a Service로 인공지능 도입 앞당긴다, 애피어 찰스 응 부사장
애피어는 원래 AI 로보틱스 등 인공지능을 연구하던 기업으로, 현재는 디지털 마케팅 분야에 이러한 인공지능을 접목하고 있다. 찰스 응 부사장은 "우리는 인공지능 기업으로, 디지털 광고에서 시작해 현재는 디지털 마케팅으로 인공지능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영역에도 인공지능을 접목해 기업의 비즈니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고 말했다.
http://it.donga.com/28481/


2. 미래 국방R&D, 인공지능 활용 등 민·관 협력한다
국방 미래도전기술 사업은 과제책임자(PM) 기술기획, 기술경진대회, 과제경연대회 등으로 실시한다. 민간 전문가를 신기술·신개념 무기체계 연구 프로그램을 기획·관리·평가하는 PM으로 영입한다. 기술경진대회에서 드론 등 국방R&D 현안 창의 솔루션을 찾고, 과제경연대회에서는 미래전에 대비할 신기술·신개념 무기를 제안한다.
http://www.etnews.com/20181213000196


3. 한국미래기술교육硏, ‘인공지능의 눈’ - 비전 AI 세미나 개최
첫째날인 17일에는 △'최신 OpenCV 라이브러리 특징과 활용 방안' △'딥러닝 기반 고성능 얼굴인식 개발과 적용기술' △'실시간 대규모 영상 데이터 이해·예측을 위한 고성능 비주얼 디스커버리 플랫폼 개발' △'AR 구현을 위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3D 얼굴 분석 엔진 개발기술' △'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영상복원 기술과 적용방안' △'HDR(High Dynamic Range Image) 영상 취득 및 처리를 위한 컴퓨터 비전 기술' 등의 주제가 다뤄진다.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112


4. 인공지능(AI)·3D프린팅 의료기술 '잠재가치' 평가
복지부, 신의료기술평가 규칙 개정…"문헌 근거 없어 진입 지체 방지"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8029&thread=22r01


5. 신한은행, 인공지능 기반 자산관리 '쏠리치' 출시
IPS본부 투자전문가의 시장 예측과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분석 결과를 결합해 은행권 최초 하이브리드형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해 쏠리치에 탑재했다. 또 펀드상품, 자산배분 비중 등 고객이 보유한 상품 현황을 매일 진단하고 최적의 모델 포트폴리오 추천 및 사후관리까지 제공한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21311005717612


6. 엔비디아-IBM, 기업의 AI 인프라 구축 돕는 새로운 통합 솔루션 출시
엔비디아 DGX가 적용된 IBM 스펙트럼AI(SpectrumAI)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머신 러닝과 딥 러닝 워크로드를 구축 및 교육하는데 사용되는 인프라와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과학 생산성의 핵심이 된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엔비디아와 IBM의 새로운 통합 인프라 솔루션은 데이터 준비부터 교육, 추론에 이르는 AI의 전체 수명주기를 지원하는 시스템이자 소프트웨어로, 기업들은 이를 통해 통합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을 활용할 수 있다.
http://www.ciokorea.com/news/113115


7. 뤼이드, "인공지능으로 인간 강사 수요 대체 최단 시간에 토익 목표 점수 달성"
AI 기반 교육용 SW·서비스 제공
'산타토익' 출시 1년만에 50만 다운
학원·문제집 대체재로 선택 호평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121402101631041001


8. 인텔이 그리는 반도체의 미래… 후공정·인공지능(AI)
시스템 반도체 업계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갖춘 곳은 '인텔'이다. 양산 경쟁에선 삼성전자와 TSMC가 승리했지만 인텔의 10나노 공정과 두 업체의 7나노 공정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보인다. 인텔은 내년 어떤 기술을 내놓을까. 10나노 공정 양산이 목록에 오른 가운데 후공정 기술과 인공지능(AI) 등에 적합한 설계구조(Architecture)까지 추가될 전망이다.
http://www.kipost.net/news/articleView.html?idxno=200067


9. 美 전문지 "알리바바, AI 분야서 구글 앞설수도"
"발전속도, 구글 느리지만 알리바바 빨라" 평가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3071738&type=det&re=zdk


10. 시만텍, 산업설비 보안용 USB장치 검사장비에 AI 접목
시만텍 ICSP뉴럴의 탐지엔진은 USB 장치 악성코드 탐지를 위해 시만텍이 설계한 신경망 기술을 품었다. 회사측은 탐지엔진의 최저 오탐율은 0.01% 수준이며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실시간 학습이 가능해 알려지지않은 위협을 방어한다고 주장했다. 또 탐지엔진은 시만텍 위협인텔리전스네트워크를 활용해 탐지 효율성을 최대 15% 높여주며 적대적 머신러닝 시도를 탐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3163719&type=det&re=zdk


11. IOT 전문기업 디지엔스, 네이버 AI ‘클로바’와 전략적 제휴
사물인터넷(IoT) 기업 디지엔스(대표 우인구)는 자사의 IOT 플랫폼 네콘과 네이버의 인공지능(AI) 플랫폼 클로바를 융합한 새로운 상품 출시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고 13일 밝혔다. 디지엔스는 IoT 개발을 위해 10년간 허브 및 각종 센서, 클라우드 서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핵심기술을 모두 자체 개발했으며, 4년간 보안시장에서 신뢰성 테스트와 검증을 거친 끝에 최근 사물인터넷 통합 플랫폼 ‘네콘 (NECON)’을 출시했다. 네이버의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는 자체 개발한 음성인식 및 합성 기술 등을 활용해 검색‧음악‧지식생활정보‧쇼핑 등을 지원하고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205838


12. 딥바이오, AI 전립선암 진단기기 공개.."연내 임상 신청"
조직세포이미지 분석해 10초안에 전립선암 판독..미국 시장 연구용 제품 론칭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6777


13. 아마존 촉발 AI 데이터 편향성에…IBM, 오픈스케일 해법 내놔
IBM이 인공지능(AI) 데이터 편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해법으로 'AI 오픈스케일'을 제시했다. 아마존은 2014년부터 지원자 이력서를 검토해 인재를 가려내는 연구를 했다. 채용 시스템에서 여성을 차별하는 문제가 발견됐다. AI 알고리즘 데이터 편향성이 원인으로 지목돼 AI는 신뢰성에 타격을 입었다.
http://www.etnews.com/20181213000084


14. AI가 도쿄대에 갈 수는 없겠지만…노동시장엔 충격 온다
그를 통해 AI의 실상과 미래, 그리고 시사점을 정리했다. AI에 대한 낙관론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시점에서 수학자는 그 한계를 분명하게 제시한다. 그와 동시에 AI의 일상화가 노동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도 냉철한 시각으로 전망한다. 이런 도전 과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경고 메시지도 담겨 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1325471


15. AI챗봇 기반 P2P자산 거래소 '마하' 론칭
게임아이템, 디지털 자산, 현물 거래까지 가능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https://www.cnet.co.kr/view/?no=20181212101310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04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와이파이와 사물인터넷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개선 시행된다
과기정통부, 와이파이(WiFi) 최대속도 1.7Gbps 채널 추가 확보
900㎒ 대역 사물인터넷(IoT) 센서 도입 기반 마련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5176


2. 성동구, 사물인터넷(NB-IoT) 전기 플러그 실증 추진
사물인터넷(NB-IoT) 플러그 사업은 서울IoT센터와 IoT 전문기업인 에이나인과 함께 지난 11월 3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성동구 마장동 SH빌아파트 주민과 일송경로당의 협조로 홀몸 어르신 등 1인 가구의 돌봄 서비스 실증 사업 23가구, 태양광 미니 발전소 발전량 모니터 19가구 등 총 42가구에 사물인터넷(NB-IoT) 플러그 54개를 설치해 원격검침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5156


3. 스마트시티·스마트공장 와이파이 속도 빨라진다
와이파이(WiFi)를 최대속도 1.7Gbps까지 구현할 수 있는 80㎒폭 채널이 5개에서 6개로 늘어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마트시티와 스마트공장 등에 사용되는 와이파이와 사물인터넷(IoT) 등 초연결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신기술 육성을 위해 5일부터 이 같이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https://m.yna.co.kr/view/AKR20181204045400017


4. e커머스 연 100조원 시대 열렸다...유통업계 영역 구분 없는 정면충돌
각 업체는 유료멤버십, 간편결제 서비스 등을 선보이며 채널 충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융합 서비스를 선보이며 신규 수요 창출에 속도를 낸다. 매일 상품을 사고파는 거래가 발생하는 유통 시장은 타 산업에 비해 빠르게 신기술 상용화를 추진할 수 있다. 유통가는 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사물인터넷(IoT) 기반 융합 서비스를 비롯해 온·오프라인연계(O2O) 및 공유물류 등을 속속 선보이며 기술 경쟁에도 합류했다.
http://www.etnews.com/20181204000311


5. 프로세스 HART 디바이스, ODVA EtherNet/IP와 통합 방법 발표
올리비아 볼프(Olivier Wolff) ODVA의 EtherNet/IP 기술작업그룹 회장은 “이 볼륨은 HART 계측제어 프로토콜을 산업용사물인터넷(IIoT) 인프라인 ODVA의 CIP(Common Industrial Protocol) 제품군에 통합하기 위해 표준 메커니즘을 정의하는 계장 분야에 신기록 갱신을 이룬 사건”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메커니즘을 통해 ODVA의 CIP 원본 장치는 마치 기본 CIP 장치인 것처럼 산업인터넷 장치가 HART 프로토콜 장치와 끊김없는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며, “그결과 기존 HART 프로토콜 장치와 산업제어 인터넷 시스템인 ODVA의 CIP 원본 장치가 별다른 시스템의 변경없이도 간단하게 HART 프로토콜 기반 장치간에 원활한 통신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https://icnweb.kr/2018/%ED%94%84%EB%A1%9C%EC%84%B8%EC%8A%A4-hart-%EB%94%94%EB%B0%94%EC%9D%B4%EC%8A%A4-odva-ethernet-ip%EC%99%80-%ED%86%B5%ED%95%A9-%EB%B0%A9%EB%B2%95-%EB%B0%9C%ED%91%9C/


6. 설계부터 IoT까지… 첨단공장 지원 늘린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은 올해 913억 원의 예산을 들여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하고 있다. 제품 설계, 생산 공정 개선 등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시술이 적용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자동화 장비 등의 구입을 지원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미 구축된 스마트공장의 고도화에 올 한 해 342억 원을 지원했다. 기존 스마트공장의 시스템 기능 개선, IoT화를 위한 설비 연동 등에 투자한다. 또 이들 기업으로부터 만들어진 생산품을 제품화하고 해외에 수출하는 데도 지원하고 있다.
http://bizn.donga.com/East/3/all/20181203/93138715/2


7. CMOS보다 효율 30배 높은 반도체 소자 나온다
CMOS는 소비하는 전력이 적어 컴퓨터 연산과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자로 쓰여 왔다. 최근 이런 소자를 쓰는 컴퓨터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일이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량 기술이 발달하면서 컴퓨터가 쓰는 에너지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1월 한국에서 도입한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만 해도 5.4㎿의 전력을 소모한다. 이는 동시에 2500가구에 전원을 공급할수 있는 전력량이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5546


8. 알리바바, '스마트 운전석' 컨셉 이미지 공개
알리 OS 기반..."버튼 사라지고 터치로 작동"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04075537&type=det&re=zdk


9. 동북아 3국 스마트시티 표준 위해 손잡는다
제17차 한중일 IT 표준협력회의에서 3국 대표들은 IMT, 무선전력전송(WPT), 정보보호, 네트워크 서비스 설계(NSA) 분야 등을 중심으로 3국간 표준화 추진 현안을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성공적인 대응을 위해 표준화기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략적인 협력을 위한 전략주제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특히, 5G와 정보보호, 사물인터넷(IoT) 등 핵심 기술들이 기반이 되는 ‘스마트시티’를 주제로 선정해 이에 대한 각 기관의 활동과 비전 등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5143


10. SKT “5G 단말기 1만개 항목·5회 테스트 거쳐야 출시”
분당사옥에 전용 테스트랩 문열어
“하나라도 통과 못하면 출시 보류”
중소 단말기 제조업체에 무료 개방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72964.html


11. IoT로 어린이·어르신 ‘안심케어’… 구로, 스마트도시 현실로
서울 구로구, IoT 기반 인프라인 ‘로라망’ 완전 구축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205015001&section=seoul_local&section2=&page=1


12. 머큐리, 국내 최초 '10기가 와이파이' 공유기 개발
머큐리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한 10기가 와이파이 공유기는 최고 1.7Gbps 속도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와이파이 구간에서 기존과는 다른 속도를 체감할 수 있고,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WAN(Wide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는 2.5Gbps를 지원한다. 최대 200개까지 와이파이 단말의 동시접속을 지원하는 이 제품은 기존 가정용 GIGA WiFi Wave2의 모든 기능 (MU-MIMO, BeamForming, Band Steering)을 지원하면서 WiFi 무선 속도가 최대 2배 빠른 제품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95136


13. ADT캡스, NSOK 합병 통합법인 출범
통합 법인 수장은 최진환 ADT캡스 대표가 그대로 맡는다. ADT캡스는 NSOK의 인력 및 물적 자원을 흡수해 조직을 대폭 개편하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ICT 기반 차세대 보안 사업을 위한 조직을 강화할 계획이다. ADT캡스는 통합 법인 출범 후 단기적으로는 NSOK 영업망을 공유하고, 양사간 사업적 시너지를 통해 양적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SK텔레콤의 ICT 기술과 결합해 기존 보안 사업을 더욱 고도화하고, 신규 사업 확대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04/2018120401083.html



14. LG유플러스, 5G 장애 실시간 파악 가능한 광선로감시시스템 개발
광선로감시시스템은 5G 기지국과 중계기간 구간을 파악하고 유선 기간망에도 동시에 적용이 가능하다. 최대 16만개의 광케이블의 장애를 감시하고 품질을 관리한다. 시스템은 5G망 기지국 장애 발생 시 광선로 단선·선로 품질저하 같은 문제를 즉시 파악해 망운영자에게 제공한다. 화재가 날 경우에도 신속하게 장애를 파악할 수 있다. 향후 사물인터넷(IoT) 기기와의 활용을 통해 신속한 대처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04/2018120400798.html


15. 종합대상 현대건설, Hi-oT 기술 적용… 조명·가스·난방·환기 스마트폰으로 제어
단지에는 IoT(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하이오티(Hi-oT) 기술이 적용돼 스마트폰 앱을 통해 조명, 가스, 난방, 환기 등을 단지 내·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을 위해 가구 에너지 관리 시스템(HEMS)은 물론 일괄소등스위치, 대기전력 및 가스차단시스템, 세대 및 공용부문 LED등, 지하주차장 지능형 조명제어시스템 등도 적용된다. 입주는 2021년 하반기 예정이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205022002


16. ‘맥킨더'로 신나게 로봇 조작… 코딩개념이 어느새 ‘쏙’80가지 명령어 맥코딩 로봇
강한 결착력 자석블럭 구성
정규 교과목된 ‘코딩’과정
쉽고 재밌게 학습대비 적절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7963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07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중소기업벤처부 '사물인터넷(IOT) 기반 화재감지시스템 사업', 170억 예산낭비!
회계년도 마감 두 달 남기고 뒤늦은 예산집행, 무사안일한 행정관리감독, 소방기술원 IOT 형식승인 받은 업체 전무, 올해 사업 불용액 처리될 처지에 놓여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605


2. ETRI, 정보 중심 고품질 사물 연결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앞으로 펼쳐질 사물인터넷(IoE)을 이용해 초연결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2건의 국제표준 후보에 채택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4390


3. 한중일, IoT 민간 네트워크 구축한다
한국사물인터넷(IoT)협회는 이달 중국통신공업협회(IoT 분회)·일본 IoT협회와 3국 민간 IoT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7월 한·중 공동 IoT 시장 전수 조사 착수에 이어 일본이 가세해 3국 협력 체계가 구축될 전망이다. 협회 관계자는 “IoT 시장 창출을 위한 3국 민간 IoT 협회 간 이해관계가 일치했다”면서 “IoT 수출과 3국 간 기술 협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www.etnews.com/20181107000283


4. 조폐공사 스마트카드칩 기반 암호모듈, 국내 최초 KCMVP 인증 획득
국가정보원으로부터 정부 공인인증 획득
스마트 수도‧전기 미터기, 사물인터넷(IoT) 등 공공 보안제품에 활용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29916


5. 슈나이더 일렉트릭, IoT 기반 디지털 보호 계전기 신제품 웹세미나 개최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 지사 대표 김경록)이 오는 8일 오전11~12 '스마트한 전력설비보호 구현: 강력한 전력설비 보호기능에 운용측면의 탁월한 효율성을 제공'을 주제로 사물인터넷(IoT) 기반, 디지털 보호 계전기를 소개하는 웹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웹세미나에서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사물인터넷 기반 디지털 기술 구현으로 스마트 전력 설비 보호는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어떻게 보다 손쉽게 구현하는지 설명한다. 또한 향상된 전력 및 전기 설비 보호 기능의 안정된 운영 성능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아크 사고로부터 인명과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의한다.
http://www.etnews.com/20181107000349


6. 알리바바, 광군제에 'AI 활용한' 물류 선보인다...기술력 과시
알리바바의 물류 자회사 차이냐오는 최근 중국 장쑤성 우시에서 중국 최대 스마트 로봇 창고를 개장했다. 무인운반 로봇 700대가 투입됐다. 스마트 창고에 적용된 사물인터넷(IoT) 기술은 무인운반 로봇이 운전부터 적재, 하역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무인운반로봇이 서로 충돌을 피하고 소포를 지능적으로 배포할 수 있는 맞춤 경로를 제시한다. 알리바바는 스마트 창고 운영을 통해 일반 창고보다 50% 이상 많은 주문을 처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알리바바는 올해 광군제를 위해 전세계에 3000만㎡의 창고와 300만명의 물류 인력을 배치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07/2018110701470.html


7. 서울시, 11조원 들여 '안전도시' 구축 계획
4대 분야의 첫 번째는 '미래 안전위협에 대한 선제적 대비'다. 노후 인프라에 대해 2020년까지 선제적 보수·보강·성능개선 체계를 수립하고, 2022년까지 도시철도, 도로 등 공공시설물 내진율 100%를 달성한다.
새로운 재난 유형으로 떠오른 미세먼지의 경우 2022년까지 초미세먼지 농도를 20㎍/㎥에서 18㎍/㎥로 감축하고, 서울시내 128개 침수취약지역을 단계별로 해소하며, 도시 열환경을 개선하는 근본대책으로 나무 2000만 그루 심기, 각종 녹화사업 등을 추진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07/2018110701545.html


8. 정부-통신사, IoT기기 해킹 문제 집중 논의
IP카메라·CCTV 초기 비밀번호 변경 의무화 내년 2월부터 도입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110616124678910


9. 맥심인터그레이티드, Go-IO IIoT 플랫폼으로 스마트공장 엣지 강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가 Go-IO 산업용사물린터넷 플랫폼(이하 Go-IO)을 새롭게 출시했다. Go-IO는 인더스트리 4.0 디지털 공장 장비에 인텔리전스를 제공하고, 공장 내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엄격한 크기와 전력 필요사항을 충족시킨다. 디지털 공장은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즉시 제조 라인을 조정해야 한다. 자동화된 장비는 완전한 산업 융합을 위해 자가 진단과 최적화 기능도 요구된다. Go-IO는 최첨단 인텔리전스를 지원해 장비 상태, 상황 정보를 모니터링 및 커뮤니케이션하고 처리량과 생산성을 높여준다.
https://icnweb.kr/2018/%EB%A7%A5%EC%8B%AC%EC%9D%B8%ED%84%B0%EA%B7%B8%EB%A0%88%EC%9D%B4%ED%8B%B0%EB%93%9C-go-io-iiot-%ED%94%8C%EB%9E%AB%ED%8F%BC%EC%9C%BC%EB%A1%9C-%EC%97%A3%EC%A7%80%EA%B0%95%ED%99%94/


10. 전기차 늘리고, 가정용 보일러 교체…서울시 ‘도시안전’ 계획 발표
초미세먼지 배출원별 순위가 높은 난방발전 분야(39%)에 대한 대책으로 가정용 친환경 콘덴싱보일러 설치를 지원한다.  보일러 설치 지원은 서울시가 경동나비엔·귀뚜라미·린나이 등 국내 6개 보일러 제조사 및 BC카드와 업무협약을 맺고 보일러 교체를 신청한 서울시내 모든 가구에 10% 가격을 할인해주는 방식이다. BC카드로 결제시 12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도 준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102826


11. 시총 2위 등극한 MS... 비결은 현업에서 이용하는 AI
나델라 CEO는 7일 서울 홍은동 그랜드힐튼 호텔에서 열린 'AI 퓨처나우' 행사의 기조 연설자로 참석해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사물인식, 언어인식, 문장독해, 번역 등에서 사람과 대등하거나 더 나은면이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 MS의 목표는 기업, 연구소, 개발자 누구나 인공지능을 이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민주화에 있다”며, “연구 단계에 머무르는 인공지능은 의미가 없다. MS는 기업이 현업에서 바로 이용할 수 인공지능 기술을 제공해 기업과 사회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it.donga.com/28343/


12. 세종텔레콤, 보안과 통신사업 결합한 통합보안서비스 구축 선도
영상 보안시장에도 진출했다. 올해초 글로벌 영상보안 선두업체 하이크비전의 시스템통합(SI) 국내 총판 사업을 확보했다. 하이크비전 하이엔드급 영상 장비와 자사 영상 보안장비 및 서비스도 함께 구비해 소비자 니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영상 보안 분야 전문 유통사업자와 제휴해 단기간내 영업·유통, 설치, 유지 보수 및 AS까지 아우르는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했다. 세종 CCTV는 매장, 사무실, 창고 등에 설치돼 도난사고를 방지하고 개인 주택에도 설치돼 독거노인, 아이, 반려동물 안전 지킴이로도 활용되고 있다.
http://www.etnews.com/20181107000210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07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나델라 MS 회장 “인공지능 시대에 프라이버시는 인권”
페이스북트위터공유스크랩프린트크게 작게
AI 컨퍼런스 기조연설서 강조
“프라이버시 보호규제 강화될 것
기술 적용 때 윤리적 자세 필요
AI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해야”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69232.html


2. 시총 2위 등극한 MS... 비결은 현업에서 이용하는 AI
미국의 경제지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이러한 MS의 약진을 두고 부침이 있는 페이스북을 제외하고 기술주의 새로운 대장주로 등극한 MS를 포함한 'MANG'에 주목해야 한다며 클라우드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기업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집중 공략한 나델라 CEO의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http://it.donga.com/28343/


3. 보이스피싱 막는 인공지능 ATM
5일 마이니치 신문에 따르면 일본 히타치와 옴론 합작사인 히타치 옴론 터미널 솔루션스는 ATM 내장 카메라를 통해 AI가 이용자의 모습이나 동작을 탐지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ATM을 통해 송금하면서 휴대폰으로 사기범과 통화하는 것으로 의심될 경우 ‘거래를 중지해주세요’ 등의 경고가 화면에 뜨게 된다. 또 출금자가 마스크나 선글라스를 착용해 얼굴을 가리고 있으면 ‘마스크를 벗어주세요’라는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기도 한다. 이 같은 요청을 따르지 않으면 거래가 강제로 종료된다.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81106/1213027


4. 하나은행, 인공지능 서비스 개편…음성·카메라인식 추가
KEB하나은행은 인공지능 은행 서비스인 '하이(HAI)뱅킹'을 개편했다고 7일 밝혔다. 개편된 서비스에는 고객 음성을 인식해 글로 전환하는 기술(STT), 외국 화폐를 촬영하면 원화 환전금액을 알려주고 공과금을 지로 촬영으로 납부하는 카메라 기술 등이 추가됐다. 또 고객 발언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3중 인공신경망 구조로 된 딥러닝 대화형 인공지능(AI) 엔진을 탑재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1/07/0200000000AKR20181107100300002.HTML


5. 빅브라더 중국 AI…"얼굴 안보여도 정체 파악"
베이징·상하이 거리서 대규모 감시에 활용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07083545&type=det&re=zdk


6. "인공지능 날개 달고 로보틱스 재활로 발전할 것"
박형준 네오펙트 팀장은 현재 재활치료 시스템의 문제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회사의 AI 기반 로보틱스 재활 플랫폼에 대해 발표한다.  네오펙트는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 높은 효용성을 확보한 AI 재활 플랫폼을 개발하는 회사다. 과거에는 물리치료사에만 의존한 아날로그 재활 시스템이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110802100931041002


7. 알리바바, 광군제에 'AI 활용한' 물류 선보인다...기술력 과시
알리바바는 오는 11일 열리는 중국 최대 소비축제인 ‘광군제(光棍節·독신자의 날)’ 참가 업체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6일 밝혔다. 물류에서부터 번역서비스, 상품 홍보 동영상 제작, 농산물 재배 등에 알리바바의 AI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07/2018110701470.html


8. '파업인가? 병원에 의사가 없네' 중국 AI 무인(無人) 병원 출범
빅데이터, 인공지능 첨단기술로 '무인 진료소' 구현
http://www.newspim.com/news/view/20181107000638


9. 인공지능 가진 골프 레슨로봇 등장
연구개발 8년의 성과, ‘레봇 8000’ 출시 준비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489785


10. 우주의 기원과 인공지능까지… 슈퍼컴 5호기 본격 개통
KISTI 누리온 개통식과 슈퍼컴 도입 30주년 기념식
누리온 국내 최대 규모이자 세계 TOP급 성능 갖춰
빅데이터 분석과 기계학습 등 과학 난제 해결 기대
4호기 12월 퇴역, 5호기 12월부터 본격 서비스 돌입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81107010002953


11. 표정 있는 얼굴 모양의 AI 스피커 나왔다
스웨덴 퍼햇 로보틱스, 소셜 로봇 '퍼햇’ 공개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07155616&type=det&re=zdk


12. 삼성전자 미래 먹거리 '폴더블폰·인공지능·증강현실' 한 자리에
삼성전자의 미래 먹거리를 엿볼 수 있는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SDC)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SDC는 개발자와 디자이너, 콘텐츠 제작자 등이 모여 신기술을 논의하는 자리로 2013년부터 개최됐다. 올해 SDC에서는 폴더블폰(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과 AI(인공지능), 증강현실(AR) 등이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http://www.g-enews.com/view.php?ud=20181107163604549796aa5dcdf1_1


13. 알츠하이머 치매, AI로 조기 진단 성공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에 AI를 처음 적용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지금까지 인공지능 모델 학습에 이용하지 않았던 바이오 마커에 주목했다. 알츠하이머 치매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뇌 영상 이니셔티브(ADNI,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데이터에 포함된 1002명의 환자에서 얻은 2109개의 FDG-PET 영상을 사용했다.
http://www.upinews.kr/news/newsview.php?ncode=1065595611151612


14. 딥러닝 기술 어디까지 왔나…16일 'AI 비즈니스' 포럼
한국경제신문사 블록체인·빅데이터연구소(한경 BBI)와 서울대 NCIA 연구실(서울대 NCIA)이 오는 16일 서울 중림동 한경 사옥 18층 다산홀에서 ‘한국 AI(인공지능) 비즈니스 포럼’을 연다.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술인 ‘AI 딥러닝 기술’과 비즈니스 융합을 통해 블루오션을 개척할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0715461


15. 네이버 지식인, 10년만에 PC버전 개편…AI 추천 기능 확장
네이버 관계자는 "화면 배치 최적화와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 구성으로 지식인 서비스 사용자가 ‘질문과 답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며 "글 별로 다른 글꼴, 크기, 색깔 등을 깔끔한 스타일로 정리해주는 열람방식 ‘권장모드’를 추가해 통일된 텍스트 환경에서의 질의응답을 경험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07/2018110701944.html


16. 첨단 검역시대…인공지능으로 ‘밀반입’ 꼼짝마
검역본부, 과거 3년간의 검역단속 정보 분석해 밀반입 단속강화에 활용
http://www.kenews.co.kr/news/article.html?no=10032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