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2월 28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기업 대상 설문,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 긍정 인식…비용·보안은 '부담'
인도의 대형 통신사 타타 커뮤니케이션(Tata Communications)이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업의 높은 블록체인 도입률이 확인됐다고 27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타타 통신이 발표한 보고서 ‘진보의 주기(Cycle of Progress)’는 전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첨단기술 설문을 바탕으로 작성됐다. 설문은 첨단 기술에 대한 조직의 인식을 확인하고, 글로벌 디지털 경제에서 첨단 기술이 가진 역량 및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됐다.
https://tokenpost.kr/article-5306


2. “가격 떨어졌어도 블록체인의 기술적 가치는 변하지 않아”
제19회 블록데일리AMA ‘클레이’ 서결 CSO와의 대화
https://blockdaily.com/2018/12/28/4482/


3. 블록체인 뷰티 SNS 코스미, 1월 일본어 버전 출시
코스모체인은 내년 1월 코인뷰의 신기능 ‘디앱(dApp) 브라우저’에서 코스미 일본어판 서비스를 선보인다. 디앱 브라우저는 코인뷰 내에서 다양한 디앱에 곧바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다. 코인진자는 디앱 브라우저 서비스 업데이트와 함께 코스미 일본서비스 운영 및 현지 마케팅을 도맡는다.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8145414


4.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상품권 공개
본 행사에서 한국조폐공사는 블록체인이 적용되어 높은 보안성과 편리성을 가진 모바일 상품권을 공개하는 동시에 상품권의 기반이 되는 플랫폼을 선보였다. 특히, 행사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1층에 마련된 '체험존'에서 직접 서비스를 체험하기도 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5296


5. 미국 국방부, 재난 구호활동에 블록체인 도입 검토
2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이더뉴스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 군수국(DLA·Defense Logistics Agency)은 최근 허리케인 피해 구제 상황을 예로 들며 블록체인 기술 적용 시 재난 구호과정의 개선 여부를 논의했다. 군수국은 2017년 가을 푸에르토리코를 초토화시킨 허리케인 마리아의 구조 임무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4만1000대의 전봇대, 8810만 개 분량의 식량, 1265기의 발전기가 투입됐다. 중개자 없이 피어 투 피어(P2P) 방식으로 검증하는 블록체인을 이같은 자원 주문 및 배송 추척 과정에 적용하면, 거래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1882


6. 엔진, 이더리움 블록체인 검색 서비스 엔진X 출시
엔진X, 15개 이상 언어와 각국 고유 통화표시 지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289986g


7. TTC프로토콜, 블록체인 결제 TTC 페이 출시
블록체인 TTC 프로토콜은 온·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간편결제 서비스 TTC페이를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TTC페이는 모바일 SDK 결제 기능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결제 기능을 이용하는 온오프라인 서비스도 TTC 모바일 SDK를 설치만으로 TTC 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8144122


8. 세븐스타즈, 블록체인 기반 패션 플랫폼 ‘실크로드’ 전략적 인수
세븐스타즈는 신규 법인임에도 불구, 안정적인 매출구조를 기반으로 빠른 변화의 시대에 대비하여 인력, 재무 구조의 최적화를 통한 내실경영을 약속했다. 또한 투명하고 체계적인 경영, 강한 경쟁력 확보에 따라 기업가치 제고, 정확한 시장 수요 예측을 통한 체계적 관리, 수익 위주의 견실경영을 통해 제조, IT, 마케팅, 엔터테인먼트 등 글로벌 비즈니스 그룹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platum.kr/archives/113791


9. 올해 문 닫은 영국 블록체인 기업, 작년의 2.5배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침체되면서 영국 내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의 도산이 줄을 잇고 있다고 영국 현지 매체 스카이뉴스(Sky News)가 26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올해 들어 영국에서는 암호화폐 관련 기업이 총 817개사(11월 기준)가 탄생했지만 이 가운데 342개사가 이미 문을 닫았다. 이는 지난해 139개사보다 약 2.5배 증가한 수치다.
https://blockdaily.com/2018/12/27/4478/


10. 네이버, 카카오 진입,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2018년 네이버와 카카오가 블록체인 시장에 진입했다. 네이버는 라인을 통해 링크(LINK)체인을, 카카오는 자회사 그라운드 X를 통해 클레이튼(Klaytn)을 공개했다. 블록체인 산업에 대형 IT 기업들이 진출하며 시장 활성화가 이어졌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7


11. 글로벌 게임 개발사 원컴즈, 브릴라이트 블록체인 플랫폼 합류
한빛소프트 자회사 브릴라이트는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 연동을 위해 원컴즈와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원컴즈는 홍콩·중국 등에 지사를 두고 글로벌 게임 서비스를 하는 회사다. 현재 스포츠 시뮬레이션과 롤플레잉 등을 개발하고 있다.
http://www.hankookblockchainnews.com/news/view.php?idx=1537


12. Quanta, 나이지리아 복권사 ILGL의 지분 인수로 '세계 최초' 복권 산업과 블록체인의 만남 실현
Quanta사가 나이지리아의 유명 복권회사인 ILGL(International Lottery and Gaming Limited)사의 지분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블록체인 회사가 복권회사의 지분을 인수하는 역사적인 첫 사례를 만들었다. 이번 인수계약은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힘을 복권 사업에 불어넣는 방식으로 '혁신기술과 전통산업의 공존 시대'를 여는 것을 의미한다. Quanta사는 이번 계약으로 ILGL사가 자리잡은 나이지리아를 기점으로 블록체인의 영향력을 점차 아프리카 대륙 곳곳으로 확장하는 야망을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5294


13. 시린 랩스(Sirin Laps), 첫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폰 출시
블록체인 중심의 전자제품 공급업체인 시린랩스(Sirin Laps)는 11월 29일 미국의 IT 및 비즈니스 기술 잡지인 Computerworld에서 오늘 11월 28일에 발표한 첫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폰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12월 ICO에서 1억 5700만 달러(약 1억5000만 원)를 조성한 데 이어 올 여름 스위스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2018년 11월에 블록체인 지원 스마트폰인 핀니(FINNEY)를 출시 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4825


14. 디올스국제거래소, 유럽 에스토니아에 블록체인기술 법인설립 허가 절차 진행
㈜디올스와 ㈜필립스멀티(대표 손용현) 최기재 회장은 “유럽 에스토니아에서 전자시민권증을 취득하고 블록체인기술 법인 설립을 하기 위해 절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블록체인 법인을 설립하면서 기존 거래소인 빗썸, 업비트, 바이낸스, 후오비 등 국내외적으로 유명 코인거래소와는 전혀 다른 기반으로 거래소를 완전하게 자체 기술로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135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24일 자율주행차 관련 뉴스


1. "공유경제 못 막아...승차공유·자율주행 동시 대비해야"
입법조사처 자율주행 토론..."2.0단계 전까지 기존업계와 갈등"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4180525


2. '자율주행차·혼합현실', 10년 안에 세상 바꾼다
"자율주행차 확산으로 도로·도시 개념 달라질 것"
"혼합현실 안경, 물건 위치·명함 등 정보 기억"
http://news1.kr/articles/?3508691


3. 미 텍사스 자율주행 택시의 교훈
텍사스주의 성공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명확하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거나, 제도를 바꿔 혁신을 이루려면 관(官)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텍사스주는 2017년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운전자가 없는 차량이 도로를 다닐 수 있게 허용했고, 2015년부터 텍사스 오스틴에서 구글이 자율주행차량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프리스코시와 알링턴시는 적극적으로 자율주행 스타트업과 협력해 업계 최초로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상용 서비스를 내놨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23/2018122301527.html


4. AI·5G·모빌리티…미래기술 격돌한다
CES 2019는 내년 1월8일(현지시간) 11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나흘 간 개최된다. 내년 CES에는 155개국에서 올해보다 500여개 가량 늘어난 4천500여개 업체가 참가하며, 18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을 전망이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5G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카 ▲블록체인 ▲헬스케어 ▲로봇 등 미래 산업의 발판이 될 차세대 기술 카테고리에서 부스를 차리고 관련 제품과 솔루션을 대거 선보이며 미래 먹거리 발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4164124


5. 네이버·카카오, 신기술·콘텐츠로 글로벌 ‘똑똑’
먼저 네이버는 기술전문 자회사인 네이버랩스가 내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19'에 참가해 자율주행차 기술을 비롯해 다양한 로봇 제품을 세계에 선보인다. 네이버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올 7월 400억원을 포함, 현재까지 총 1천200억원을 네이버랩스 투자했다. 이 같은 미래 먹거리가 되는 기술 투자에 대한 네이버의 행보는 내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4085622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11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중국, 지난 20년간 인공지능 논문 수 세계 1위"
네덜란드 '엘제비어 출판' 분석 보고서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09


2. 트위그팜, AI 기반 번역품질 검수기 개발
“GCON INSPECT 인적 오류 줄여줘”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1184734&type=det&re=zdk


3. 인공지능 경리 ‘자비스’ Virtual CFO 만났다
파인드어스는 CFO 채용이 어려운 기업에게 CFO 역할을 제공하는 Virtual CFO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재무관리 및 사업전략을 함께 수립하고 실행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시 지원하고 있다. 파인드어스는 창업, 전문투자사, 회계법인, 상장사 재무총괄, M&A/IPO자문 등으로 이뤄진 팀으로 기술기반, 핀테크, 컨텐츠, 커머스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ttps://www.venturesquare.net/772093


4. 인공지능(AI) 활용 신약개발·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4차산업혁명委, 범부처 대응 추진방향 및 향후 계획 등 심의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7904


5. SK텔레콤,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음악 플랫폼 ‘FLO’ 내놔
SK텔레콤은 11일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개인 취향을 정교하게 분석해 최적의 음악을 추천하는 신규 음악 플랫폼 ‘플로(FLO)’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플로(FLO)’는 ‘내가 원하는 음악이 물 흐르듯 끊임없이 흘러나온다’는 의미를 담는다. 플로는 출시된 11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베타 서비스로 제공된다. 이 기간 동안 정기 결제를 등록한 모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최대 3개월 동안 무료로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이 진행된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05914


6. 인공지능 챗봇 기반 P2P 자산 거래소 마하(MACH), 론칭
2019년 1월 게임 아이템 거래를 시작으로 클로즈 베타 오픈을 할 마하 자산 거래소는 지난 9월에 마하 토큰 및 월렛 개발을 완료했다. 마하는 1월 클로즈 베타 오픈 시 약 3,000명의 전 세계 게이머를 선 모집하여 수수료 없이 자산 거래에 참여하게 하며, 2019년 2분기에 최종적으로 시장에서 정식으로 오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2893


7. 카카오의 택시 달래기? “AI기반 택시요금 가변가격제 연구”
카카오모빌리티(카모)와 카카오의 인공지능 기술 전문 연구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은 공동연구를 통해 ‘택시수요예측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모델은 택시 승하차 현황의 공간·시간·의미론적 맥락을 분석한 것으로 택시운전자가 주관적인 경험에 따라 택시를 운행해 수요·균형이 맞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됐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73811.html


8. 인텔 인공지능(AI) 생태계, 연구개발(R&D) 돌입
인텔이 만든 인공지능(AI) 생태계가 연구할 과제 50건이 선정됐다. 인텔은 ‘인텔 뉴로모픽 리서치 커뮤니티(INRC)’에 참여하는 학계, 정부 및 기업 리서치 그룹을 선정하고 50개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INRC는 메인스트림 컴퓨팅 기기에서 신경망(nueromorphic) 아키텍처를 도입할 때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됐다.
https://www.kipost.net/news/articleView.html?idxno=200039


9. “AI 발전, 더 다양한 상상력과 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 요구”
본 토론에는 고학수 서울대학교 교수(좌장)의 진행으로 ▲테렌스 세노스키(Terrence Sejnowski) 캘리포니아 대학 샌디에이고(UCSD) 명예교수 및 솔크연구소(Salk Institute) 교수, NIPS재단 회장 ▲윌리엄 J 댈리(William J. Dally) 엔비디아(NVIDIA), CTO 및 수석부사장 ▲찬 체우호(Chan Cheow Hoe) 싱가포르 정부 최고디지털기술책임자 ▲오렌 크라우스(Oren Kraus) 페노믹(Phenomic) AI 창립자 및 CTO 등이 참석했다.
http://www.hellot.net/new_hellot/magazine/magazine_read.html?code=202&sub=002&idx=44121


10. 이마트 의왕점 13일 열어, 종이 사용 줄이고 인공지능 로봇 도입
트로이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로봇으로 대형 터치스크린을 접목했다. 트로이는 고객들에게 매장 안내, 입점 상품 안내와 함께 상품이 진열된 곳가지 자율주행으로 안내하는 에스코트 기능과 간단한 일상적 대화를 나눌 수 있게 설계됐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05975


11. 클라우드 중심된 MS "AI 보안으로 사용자 생산성 높여"
보안과 관련해서는 이미 바라트 샤(Bharat Shah) MS 보안 부문 부사장이 앞서 "매년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를 보안 관련 분야에 투자한다"며 "이 비용은 보안 관련 업체 인수합병(M&A) 비용과는 별개"라고 강조한 바 있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클라우드를 최전선에 내세워 강조하고 있다. 윈도(Windows) 운영체제(OS)는 물론 오피스 소프트웨어도 M365로 전환해 일종의 클라우드 상에서 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중 하나로 보고 있을 정도다. 사실상 MS의 주요 소프트웨어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만큼 보안이 중요해진 것이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11/2018121102185.html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11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코인원, 블록체인 해외송금서비스 출시..."수수료 1% 수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이 금융 서비스 자회사 코인원트랜스퍼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서비스 '크로스'를 선보였다. 코인원트랜스퍼는 크로스가 기존 스위프트망을 통한 해외송금과 비교해 수수료는 83%가까이 저렴하고, 송금에 걸리는 시간도 수일에서 10분 이내로 크게 단축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1121523&type=det&re=zdk


2. 왜 컨플럭스 블록체인 플랫폼을 주목하는가왜 컨플럭스 블록체인 플랫폼을 주목하는가
그러나 대개 순수한 비트코인 프로토콜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아직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못했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네트워크 보안성 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접근들과 달리 컨플럭스(Conflux)는 제네시스 블록 이후 약 10년간 한 번도 실패하지 않은 비트코인 프로토콜의 원리(Nakamoto Consensus; 나카모토 합의)를 기반으로 더 발전된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01


3. '5초 만에 지급' 중국 첫 블록체인 보험금 청구
11일 중국 언론 취둥즈자에 따르면 중국 첫 블록체인 보험금 지급 시도가 이뤄진 가운데 보험 신청부터 보험금 지급에 이르는 전 과정이 5초 만에 완료됐다. 이 보험금 지급은 전자영수증을 통해 이뤄졌으며, 전자영수증 발급 시간 까지 합하면 보험금 지급 시간은 총 1분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중국에서 1개월이 소요되던 보험금 지급 과정을 초, 분 단위로 줄인 것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1081750&type=det&re=zdk


4.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왓챠, 아틀라스 등과 파트너십 체결
클레이튼은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대규모 이용자를 확보한 블록체인 서비스가 등장해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와 유용성을 증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0월 ‘위메이드트리’, ‘픽션네트워크’ 등 9개 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왓챠’의 ‘콘텐츠 프로토콜’, ‘자나두’의 ‘아틀라스’, ‘웨이투빗(Way2Bit)’의 ‘보라(BORA)’, ‘우먼스톡(Womanstalk)’의 ‘스핀프로토콜(SPIN Protocol)’을 비롯 8개 업체와 추가로 파트너십을 맺었다.
https://platum.kr/archives/112784


5. 서울시의 고민..."블록체인 공공 혁신, 만만치 않습니다"
고 기획관은 장밋빛 전망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블록체인 기반 공공 서비스 혁신을 위해 현실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들을 제시하고 관련 업체들과 답을 찾아보자는 데 발표의 초점을 맞췄다.  그는 "작년 10월부터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준비해왔고 서울시가 테스트베드가 되어 공공에서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블록체인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 만만치는 않다. 다른 기관들과 합의 아래 해야할 일들이 많다 보니 중간중간에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해 스마트시티 선도 도시를 만든다는 것이 서울시의 비전이라는 점은 분명히 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06


6. 세계문제 해결 위한 블록체인…유니세프 투자한 스타트업 6곳 살펴보니
유니세프의 투자를 받는 스타트업은 금융자산 추적 플랫폼을 개발하는 아틱스랩(Atix Labs)과 오네스마트(Onesmart), 의료기록을 추적하는 프레스크립토(Prescrypto), 공급망 관리 플랫폼을 통한 안전한 예방 백신을 목표로 하는 스태드위그(Statwig)이다. 또 소셜 콜라보레이션이 가능한 툴을 제공하는 유토픽설(Utopixar), 오프라인에서 네트워킹을 개발할 수 있는 더블유쓰리엔지니어(W3 Engineers)도 유니세프의 선택을 받았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1224


7.  페이팔, 직원들에게 블록체인 기반 혁신 보상 시스템 도입
보도에 따르면 혁신 프로그램이나 아이디어를 제출해 직원들이 보상받은 토큰은 페이팔 시스템 내에서 사용가능 하며 공공원장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사용자 간에 거래가 가능하기도 했다. 페이팔의 혁신개발팀 담당자인 Michael Todasco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로 페이팔보다 앞서서 보상 시스템을 시도한 벤모(Venmo)의 사례를 예로 들며 "해당 프로젝트가 페이팔 내 혁신의 움직임을 일으킬 것"이란 기대를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5124


8. 페이스북, 블록체인팀에 신규 인력 충원…“새로운 정보저장·공유 방식 제공할 것”
10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블록체인팀의 데이터 사이언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마케팅 관련 구인 공고 5건을 게재했다. 페이스북은 블록체인 연구를 위해 지난 5월 전담팀을 꾸렸다. 메신저 앱부문의 부사장을 지낸 데이비드 마커스가 팀을 이끌고 있다. 지난 8월, 수석은 페이스북 블록체인 사업에 전념하기 위해 코인베이스 이사직에서 물러나기도 했다. 6월에는 페이스북 수석 엔지니어 에반 청이 블록체인 엔지니어링 수석으로 합류하면서 팀에 힘을 더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5128


9. 석유 관리를 블록체인으로…ADNOC•IBM, 테스트 성공
중동 지역에서 석유나 가스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려는 시도가 진행됐다. 코인텔레그래프, 비트타임즈 등 암호화폐 전문 매체들의 10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는 IBM 기술을 적용한 블록체인 기반 서플라이체인 관리 시스템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전날 발표했다. 서플라이체인 관리 시스템은 석유 및 가스의 생산 단계부터 고객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모든 거래를 추적해 검증하는 시스템으로, 이번 테스트에서는 석유 및 가스의 회계 처리와 기업간 거래량, 가격 등의 추적이 진행됐다.
https://blockdaily.com/2018/12/11/4111/


10. 제주도-블록체인법학회 MOU…블록체인 정책·법률 공동연구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이정엽 블록체인법학회장(대전지방법원 부장판사)은 지난 10일 서울 서초동 변호사회관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제주도와 블록체인법학회가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제도·정책 및 법적 해석에 관한 연구 △제주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과 연계한 가상화폐(암호화폐) 규제 방향 연구△블록체인 관련 학술행사 교류·지원 △블록체인 관련 해외 제도·정책·규제 동향에 대한 정보 교류 등에 상호 협력한다는 내용이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114459g


11. 라인플러스, 그레이해쉬 인수..."블록체인 보안 강화"
그레이해쉬는 오펜시브 리서치(Offensive Reserch, 공격 기법 연구)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취약점 점검과 보안 솔루션 개발 등 보안 분야에서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라인플러스는 이 회사를 그레이랩(GrayLab)으로 재편해 메신저, 핀테크, AI, 블록체인, 암호화폐 거래소 등 다양한 서비스에 최적화된 보안 솔루션을 개발 및 적용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16


12.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뷰티 전문 서비스 플랫폼 ‘더 조이’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뷰티 서비스 중개 플랫폼인 ‘더 조이(The Joy)’가 2백만 달러 규모의 초기 자금 조달을 마치고, 본격적인 플랫폼 론칭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더 조이 플랫폼은 소비자가 미용실 예약과 프리랜서 미용 전문가 섭외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중개한다. 사용자를 위한 로열티 제도, 추천인 보상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조이(JOY)코인으로 제공한다. 조이 코인은 한정 수량으로 발행되어 플랫폼의 서비스 지역이 확대될수록 희소가치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4250


13. 이뮤직(eMusic), ‘블록체인’으로 공정한 음원 사이트
이뮤직(eMusic), 음원 사이트 독과점 해결할 플랫폼 출시
이뮤직(eMusic) 창작자 보호 위한 음원 플랫폼 구축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4200


14. ‘아르고스(AGO)’, 내년 1분기 서비스 개시… “블록체인 시장 생태계 바꿀 것”
‘아르고스’는 데이터 기반 투자 서비스의 부재와 잦은 변동으로 조작된 정보에 현혹되기 쉬운 암호화 시장의 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됐다. 2017 년 12 월 인공 지능 알고리즘 개발을 완료했으며, 2018년 ARGOS ATM 종합테스트 완료 및 베타 개발했다. 2019년 1분기에는 분석 서비스를 오픈해 알고리즘 거래 기계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양질의 투자정보를 제공한다. 가상화폐 매매에 가장 중요한 핵심 분석 지표 들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모든 지표는 변동 시점마다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4217


15. “내년 블록체인·암호화폐 거품 꺼진다”
카스퍼스키랩 “암호화폐 외 블록체인 타당성 입증 못해…암호화폐 결제수단 활용 사례도 줄 것”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283


16. 전자 상거래 블록체인 '사이버마일즈 로드맵' 발표
사이버마일즈는 스마트 계약을 위한 차세대 블록체인으로 이더리움(Ethereum)의 스마트 계약보다 약 1만배 가량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내년에는 계획대로 1500만 이상의 미국 소비자 데이터를 사이버마일즈 블록체인으로 통합시킬 예정이다. 작은 기업을 위해서는 전자상거래장을 열어주면서 수수료도 낮추고 편하게 거래를 할 수있는 방법으로 찾은 것이 사이버마일즈 블록체인이다. 전자상거래 사용자들에게 전자상거래 특화블록체인 ’사이버마일즈‘로 지급하게 되면 수수료도 낮출 수 있다는 판단이 현실화 된다.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92176


17. "블록체인 기업에 초기 시드투자"…국내 첫 `VC+크립토` 하이브리드펀드 등장
[이정훈의 Crypto People]<5>황라열 힐스톤파트너스 대표<上>
中제휴 크립토펀드서 블록체인 초기투자 병행 `전략선회`
총 50억원 규모로 10여곳 블록체인 기업에 현금 투자
적정수준땐 크립토펀드 추가펀딩, 초기투자자 엑시트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49686619437536&mediaCodeNo=E


18. 美 보험사 스테이트 팜, 블록체인으로 보험금 처리 속도 높인다
보험 대위변제 단계서 블록체인 도입 위한 테스트 중
"오류 줄이고 속도 높여 보험사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될 것"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FA5HVBK


19. 아크로니스, 불가리아에 AI·블록체인 기반 보안 R&D센터
앞서 설립한 미주,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 보안 운영센터들과 마찬가지로 인근 지역 내 고객 환경의 데이터 보호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R&D 센터 소속 엔지니어들이 최신 위협 정보를 확보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나아가 AI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보안 기술 R&D를 통해 신기술과 전문인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인력 양성을 위해 아크로니스는 소피아대학과 산학협력 파트너십을 맺고 인턴십, 소프트웨어 공학 멘토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61766619437536&mediaCodeNo=257


20. 세븐체인, 노드브릭과 MOU…게임에 코인 도입
12일 개최하는 세븐체인 단독 밋업(Meetup) 행사에서 프로젝트 공개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0166


21. 버추얼텍 “52억 조달 완료…블록체인·바이오 신사업 본격 추진”
버추얼텍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주주우선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진행했으며 전체 청약률은 119.1%를 기록했다. 버추얼텍은 이번 증자대금을 활용해 엑세쏘바이오파마(舊 피토스)의 지분 투자에 나설 계획이다. 엑세쏘바이오파마는 △표적항암제 △치매 치료제 △패혈증 치료제 등 블록버스터 신약 파이프라인을 바탕으로 정부과제를 진행 중인 기술력 베이스 제약·바이오 전문기업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98317


22.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AI’ 서비스 개발 활발
미국 시장 조사 기관 BCC 리서치가 오는 12월 공개할 신규 보고서(‘Cognitive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Market in Healthcare’)에 따르면, 2017년 24억 달러(약 2조7000억 원) 수준인 글로벌 헬스케어 AI 시장은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43.9%를 기록하며, 오는 2022년 161억 달러(약 18조2000억 원) 수준까지 확장될 전망이다. 해당 보고서는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헬스케어 AI 시장이 2017년 320만 달러(약 36억2000만 원) 규모에서 오는 2022년 32억 달러(약 3조6000억 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이라 봤다.
http://www.dcoinnews.net/%EB%B8%94%EB%A1%9D%EC%B2%B4%EC%9D%B8-%EA%B8%B0%EB%B0%98-%ED%97%AC%EC%8A%A4%EC%BC%80%EC%96%B4%C2%B7ai-%EC%84%9C%EB%B9%84%EC%8A%A4-%EA%B0%9C%EB%B0%9C-%ED%99%9C%EB%B0%9C/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10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제이엘케이인스펙션, “RSNA 2018서 인공지능 올인원 메디컬 플랫폼 AIHuB® 세계 최초 공개”
‘AIHub®’는 AI통하여 인류를 이롭게(Humanity Benefit)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AIHub®’는 세계 최다 33개의 질환에 대한 인공지능(AI) 기반 진단보조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고, 기존의 다양한 의료기기인 X-ray, CT, MRI, MRA, CAM, Mammography, Ultrasonic 등을 활용한 다병변(33개 병변) 인공지능 올인원 메디컬 플랫폼에 대해 첫선을 보이는 자리가 되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907703&code=61141411&sid1=all


2. 올해 상반기 세계 AI 투자 70% 중국서 발생
9일 중국 장쑤에서 중국인공지능학회가 개최한 '우원준 인공지능과학기술상 수상식 및 2018중국인공지능산업연회' 행사에서 중국 정부 공업정보화부 산하 중국신통원 장쉐리 부원장은 "올해 상반기 인공지능 영역의 글로벌 투자액은 435억 달러(약 48조 8천287억 원)이며, 이중 중국 규모가 317억 달러(약 35조 5천832억 원)로 세계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0080848&type=det&re=zdk


3. 카카오의 택시 달래기? “AI기반 택시요금 가변가격제 연구”
카카오모빌리티(카모)와 카카오의 인공지능 기술 전문 연구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은 공동연구를 통해 ‘택시수요예측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모델은 택시 승하차 현황의 공간·시간·의미론적 맥락을 분석한 것으로 택시운전자가 주관적인 경험에 따라 택시를 운행해 수요·균형이 맞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됐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73811.html


4. 인공지능 기술을 어떻게 나누어야 하나
인공지능 기술이 날로 발전하면서 최근 정부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어떻게 분류해야 연구와 산업을 잘 분류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이에 내로라하는 여러 학자들이 모여서 인공지능 기술 분류를 위해 의견을 모으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는 모르나 현재 기술들을 바탕으로 잘 분류해야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과 정부 연구비 투자, 인력창출 등의 관련 정책수립 방향을 정할 수 있으므로 정부는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http://www.baby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40


5. 5G부터 인공지능, PC까지 노리는 퀄컴
기본 구조는 Kyro 485 기반 설계로, CPU에는 8개 코어가 들어간다. 애초 소문으로 돌았던 것처럼 절전에 무게를 둔 ‘실버코어’ 4개에 일반적인 작업에 쓰는 ‘골드코어’ 3개, 그리고 게임 등 멀티코어보다 작동 속도 자체가 중요한 작업에 쓰는 ‘골드 프라임 코어’ 1개로 이뤄져 있다. 이를 통해 전력 소비량은 크게 줄었고, 필요한 부분에서는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다.
https://byline.network/2018/12/10-46/


6. 현대차·MS·IBM, 그들에게 AI는 어떤 존재일까
ATS2018 한 무대에…'같은 기술, 다른 관점' 열띤 토론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0154914&type=det&re=zdk


7. 정부, 의료산업에 빅데이터·AI 활용 본격화
이에 맞춰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민간전문위원과 관련 정부부처와 합동으로 발전전략을 수립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기술로 누구나 건강한 사회 구현'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발전전략은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축으로 구성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195160


8. 인공지능 챗봇 앱 '헬로우봇', 올해를 빛낸 앱 2개 부문 우수상 수상
http://www.webdaily.co.kr/view.php?ud=20181210092439205401286bacad_7


9. 성균관대, 인공지능 안내로봇 '리보' 도입
성균관대는 12월부터 중앙학술정보관에 인공지능 기반 안내로봇 ‘리보’를 도입해 학술정보관을 비롯한 학교 안내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고 10일 밝혔다. ‘리보’는 도서관 로봇을 뜻하는 ‘Library Robot’의 약자로, 학교 주요 일정과 교내 편의시설 등의 정보를 알려주고 학술정보관 소장자료 검색 등도 도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리보를 이용하는 학생이 “배고파. 식당메뉴 알려줘”라고 말하면 교내 여러 식당의 메뉴를 보여주는 식이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12486619437208&mediaCodeNo=257


10. 삼성전자 AI센터, 글로벌 최대 AI학회서 실력 뽐내
모스크바 AI센터의 파블 오스챠코브(Pavel Ostyakov) 연구원은 3~8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뉴럴 인포메이션 프로세싱 시스템(NeurIPS, 옛 NIPS) 2018 행사에서 시상대의 1위 자리에 올랐다. NeurIPS는 기계학습과 신경과학 분야 연구원 8,000명 이상이 참가하며, AI 학회 중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파블 오스챠코브 연구원은 8개 부문으로 구성된 NeurIPS 2018 AI 대회에서 ‘인클루시브 이미지(Inclusive images)’ 대회에 참가해 110개 팀 가운데 1위에 올랐다. 이 대회에서 지속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거둬온 그는 AI와 데이터 과학자들 사이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는 ‘카글 그랜드마스터(Kaggle Grandmaster)’[1] 등급을 얻기도 했다.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ai%EC%84%BC%ED%84%B0-%EA%B8%80%EB%A1%9C%EB%B2%8C-%EC%B5%9C%EB%8C%80-ai%ED%95%99%ED%9A%8C%EC%84%9C-%EC%8B%A4%EB%A0%A5-%EB%BD%90%EB%82%B4


11. "AI 진화 막을수 없어···지식대중화·규제 완화 시급"
IITP-충남대 국가정책대학원 복거일 작가 초청해 심포지움
복거일 작가 "국민 지식 대중화 가능할 때 정책도 효과 발휘"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66927


12. ‘유튜브·아마존 AI스피커 국내 아동 개인정보 보호 노력법’ 통과
아동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 국회 본회의 통과
박선숙 의원 발의법 주요 내용으로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15846619437208&mediaCodeNo=257


13. 보라빛거래소, 인공지능 보라캐치 무료 버전 공개
콜드월렛 퍼플카드로 ATM기기에서 현금 출금 가능
http://www.ntoday.net/news/article.html?no=14606


14. “강남 모임 맛집 알려줘” 식신, AI 음성 검색 서비스 시작
인공지능이 음성 인식해 즉시 결과 보여줘
iOS‧안드로이드 모두 지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101103j


15. 'AI로 무장한' SKT·네이버...독보적 1위 '멜론' 도전장
네이버는 내년 2월 바이브 웹 버전 출시 예정이며, 앞으로 네이버 플랫폼을 통해 만날 수 있는 모든 음원 콘텐츠 서비스를 바이브로 일원화해서 제공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AI 스피커 등의 보급 확대로 음악 청취 환경의 다변화가 예상되면서, 이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브랜드를 일원화했다.그동안 축적해 온 AI 기술과 노하우를 적용해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전달할 계획이다.
http://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36733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03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폐 질환 진단하는 인공지능… 280개 병원 종횡무진 중국 AI 스타트업
인공지능(AI)이라는 것이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우리가 살고 있는 곳에 인공지능 의사가 일을 하고 있다. 의료 영상을 보고 질병을 진단하는 훈련받은 의사를 대체하고 있다. 환자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의료 영상 분석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이 활발하다.
http://thegear.co.kr/16483


2. 아마존, 소형 인공지능 자동차 'AWS 딥레이서' 발표
아마존이 실제 자동차의 18분의 1 크기의 인공지능(AI) 자동차를 발표했다. 아마존은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AWS 리:인벤트(re:Invent) 2018'에서 이 제품을 공식 런칭했다. 아마존의 웹 서비스 및 클라우드 사업부문인 AWS가 판매에 들어간 인공지능 자동차 ‘AWS 딥레이서(DeepRacer)’는 머신러닝 기술을 지원하는 자동차로,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마존은 내년에 딥레이서들이 겨루는 자동차 경주 리그도 출범할 예정이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31


3. 인공지능의 4가지 물결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는 지난 1956년 다트머스 Dartmouth에서 개최된 한 역사 콘퍼런스에서 처음 생겨났다. 하지만 우리가 인공지능의 힘과 응용 분야를 실질적으로 처음 엿볼 수 있었던 건 불과 10년 전의 일이다. 이제는 보편적 용어로 사용되는 ’인공지능‘ 분야는 인간의 인지능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업무들을 처리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패턴을 인식하고, 높은 불확실성의 와중에서 결과를 예측하고, 복잡한 결정을 내리는 것 등이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우리 주변의 세상을 인지하고 해석할 수 있다. 심지어 일부에선 인공지능이 곧 감정과 동정심, 창의성까지도 갖게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인간 지능‘을 따라 잡겠다는 당초 목표는 아직 먼 이야기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BMN90FE


4. "민원처리에 인공지능 도입해야…개인정보 오·남용은 우려"
행정안전부 설문조사…"24시간 서비스 이용 가능해질 것"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037443Y


5. “버추얼 아이덴티티로 여는 새로운 인공지능 시대”…4차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방향성 공유
컨퍼런스 세션은 ▲버추얼 아이덴티티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사업 현황 및 해외 진출 계획 ▲보이스몰 시연 등 총 4개 주제로 구성됐다. 에스알유니버스 각 분야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서 진행중인 사업과 기술 개발 현황을 전달했다.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2420


6. 카카오, 인공지능 개발자센터 공개 테스트 시작
카카오는 인공지능(AI) 개발자센터 ‘카카오 아이 디벨로퍼스’의 공개 베타 테스트(시험)를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카카오 아이 디벨로퍼스는 AI 설계 플랫폼 ‘카카오 아이 오픈빌더’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챗봇·음성 서비스 등을 제작 가능하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1203010001492


7. 본격 의학 연구로 영역 넓히는 구글AI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 딥마인드가 이번에는 단백질의 형태를 예측하는 AI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3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딥마인드는 2일(현지시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대회(CASP)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결합구조를 3D(입체) 형태로 예측하는 AI프로그램 ‘알파폴드(AlphaFold)’를 공개했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5502


8. 고령자 돕는 최신 인공지능장치 개발
작은 흰색 큐브 모양의 이 장치는 고령자가 일상 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근본적으로 수천 명의 삶을 돌볼 수 있다. AI 기술이 적용된 이 장치는 고령자의 행동과 운동 상황 등을 모니터링하다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관련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연락을 취한다. 이 장치의 도움을 받으면 다른 사람이 고령자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어떤 경우에는 사람들이 문제가 발생하고 오랜 시간이 지날 때까지 그것을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미큐브는 아주 작은 변화까지 감지해내므로 큰 도움이 된다.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2431


9. 이제는 보청기도 스마트하게…AI·IoT 접목제품 속속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의 보청기 시장도 성장세를 보인다. 국내 보청기 시장 규모의 공식 통계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발표한 자료 기준 2014년 기준 616억원이다. 하지만 최근 중고도 이상 난청자를 대상으로 지원되는 정부 보청기 지원금이 2013년 42억원에서 2017년 645억원으로 15배 증가한 것을 고려했을 때, 한국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30/2018113002399.html


10. "손톱보다 작은 AI칩이 단추에도 들어갈 세상을 상상해보세요.”
지난 10월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만난 이인종 구글 클라우드 IoT 총괄 부사장 겸 사내기업가(EIR)는 한결 같은 곱슬 머리에 후드 티 차림이었다. 그가 후드티 주머니에서 주섬주섬 꺼낸 게 구글이 지난 7월 선보인 사물인터넷(IoT) 특화 인공지능칩 ’엣지TPU’였다. 구글의 클라우드과 엣지컴퓨팅 전략에 대해 자세히 물었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03/2018120300405.html


11. IBM, AI 기술 교육 및 AI 활용 인사관리 비즈니스 ‘IBM 탤런트 & 트랜스포메이션’ 발표
IBM 탤런트 & 트랜스포메이션은 AI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업이 AI를 활용해 직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워크플로우를 개선하며, 채용시 불평등 요소를 찾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는 직원들의 역량을 보완하고 업무를 재정의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교육, 개발, 새로운 업무 방식의 도입이 요구된다. IBM의 새로운 서비스 및 교육 프로그램인 IBM AI 스킬 아카데미는 기업이 AI의 역할 및 역량 평가, 필요한 기술 및 AI 전략을 지원하는 조직 구축과 같은 전사에 걸친 AI 전략을 계획, 실행할 수 있도록 IBM의 전문가를 통해 지원한다.
http://www.ciokorea.com/news/112209


12. AI·VR·로봇…혁신 의료기기 100개 키운다
전문가들로 멘토링 조직 구성
허가 도우미·통합정보 뱅크 등
기업맞춤형 지원 … 개발 활성화
AI의료기기 등 5건 허가받아
제품화 성공률 30%로 높이고
시장진입 2년 줄이는게 목표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0388541


13. AI가 산림관리 나서는 일본
인공지능(AI)기술이 일상생활 곳곳으로 빠르게 침투하고 있습니다. 숲이나 가로수 등의 수목관리에서도 AI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지방 건설 컨설팅 업체인 월드측량설계는 시마네현과 공동으로 나무의 부식정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개발한데 이어 주요 기능을 강화키로 했습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036557i


14. 신한은행, 모바일게임 업체 넷마블과 인공지능·블록체인 기술 등 제휴
신한은행은 게임 업체 넷마블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신한은행은 게임업체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이용자 패턴 분석과 인공지능·블록체인 등 분야에서 기술과 상품 협력을 추진하게 된다. 장현기 신한은행 디지털전략본부장은 "신한은행의 모바일 플랫폼 쏠(SOL)에 (게임 주요 이용층인) 30~40대 남성 고객군이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두 회사의 특장점을 살린 다양한 서비스로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드리겠다"고 말했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4378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19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카카오, 전략적 투자 유치 나선다...블록체인 확산 목적
업계 일각에선 카카오가 클레이튼 확산에 필요한 자금 확보를 위한 프라이빗 세일 형태로 1조원 규모의 암호화폐공개(ICO)를 추진할 것이란 루머가 있어왔다. 이와 관련해 코인데스크코리아는 19일 국내 암호화폐 투자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그라운드X가 해외 투자자를 대상으로 클레이 프라이빗 세일을 진행중”이라며 “투자금 모집 규모는 3억 달러이고 이미 목표를 거의 달성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82


2. 재능넷, 블록체인 기술 활용한 자산이동 서비스 시스템 특허권 획득
재능넷의 강정수 대표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보다 더 큰 범위인 블록체인 시스템 자체로 특허권 범위를 넓혀서 올해 10월29일 특허청에서 등록이 완료되어 특허권을 획득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세계 수많은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기술 특허들이 등록되고 있다"면서 "재능넷에서 이번에 획득한 기술은 자산 이동 서비스에 대한 부분으로 그 활용 범위가 상당히 넓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www.coinreaders.com/2842


3. 블록체인 결제 테라, 확장성 솔루션 토모체인과 파트너 체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개발 업체 테라(대표 신현성)는 블록체인 확장성 문제를 솔루션 업체 토모체인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테라의 크로스 체인 안정성 매커니즘을 구현하고, 토모체인 디앱(dApp.분산형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결제 수단으로서 테라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9104302&type=det&re=zdk


4. 후오비코리아, 블록체인 음악 플랫폼 뮤지카 상장
16일부터 입금을 시작한 뮤지카는 글로벌 창작곡·악보 플랫폼 마이뮤직시트와 종합 피아노 포털 마피아니스트를 운영하는 마피아컴퍼니가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마피아컴퍼니는 중소벤처기업부 팁스(TIPS) 프로그램에 선정돼, 9억 원 상당의 투자를 받았으며, 네이버 계열 벤처캐피털인 스프링캠프 및 중국 네오글로벌캐피탈 등 다양한 VC가 투자하기도 했다. 현재 서비스 중인 플랫폼은 150개 국에서 200만 명의 사용자와 아티스트가 사용 중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9093911


5.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파리요청'에 서명
파리요청은 사이버공간의 신뢰와 안정의 추구의 표명으로, 지난 12일 파리 평화 포럼에서 프랑스 등 참가국 정부와 산업계 및 시민 사회에서 제안됐다. 이날 오후 엠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 연설에서 파리 요청 및 1차 지지 기관 리스트를 공식 발표했다. 파리 요청 주요 내용으로는 ▲악성 사이버 활동 방지 ▲인터넷에 대한 접근 가능성 및 무결성 보호 ▲선거 절차에 대한 악의적인 간섭 방지 협력 ▲ICT를 이용한 지적 재산 절도 행위에 공동 대응 등이 포함됐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9140356


6. 마이크로소프트, 블록체인 개발 키트 공개··· "구축 기간, 몇 달→며칠"
마이크로소프트가 15일 애저 클라우드 플랫폼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개발 키트를 출시했다. 이 키트는 마이크로소프트 또는 서드파티 SaaS 제품을 블록체인과 매끄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ttp://www.ciokorea.com/news/40232


7. "소니, 이더리움 기반 게임 출시…카카오, 암호화폐로 투자 유치" 外
1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크립토머니에 따르면, 일본 유명 전자가기 제조업체 소니(SONY)가 이더리움(Ethereum, ETH) 기반 마켓 시스템을 도입한 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 '플레이그 헌터(Plague Hunters)' 출시를 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게임은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을 통해 게임에 사용되는 유닛과 무기를 거래할 수 있는 마켓 시스템을 제공하게 될 예정이다.
http://www.coinreaders.com/2848


8. 태국 야당, ‘블록체인 전자 투표 시스템’으로 예비 선거 치러
18일(현지시간) CCN 보도에 따르면, 태국 민주당이 11월 1~9일 12만 유권차가 참여한 당 예비 선거에서 블록체인을 도입한 전자 투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활용했다고 전했다. 이는 2014년 군사 쿠데타 이후 첫 총선을 앞둔 태국 정부가 투명한 시스템에 기반해 지도자를 선출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태국 민주당은 탈중앙화 파일 스토리지 시스템 ‘IPFS’를 활용해 투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유권자들은 투표소를 비롯, 모바일 투표 앱에 사진을 첨부한 ID를 제출해 투표에 참여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890


9. 한국전력, 블록체인 결합한 ‘미래형 마이크로그리드’ 전력망 개발 나서
18일, 한국전력은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인 마이크로그리드를 미래형으로 개선하는 'KEPCO 오픈 마이크로그리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오픈 마이크로그리드는 기존 마이크로그리드에 에너지 솔루션과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개방형 에너지 커뮤니티'를 표방한다. 기존 마이크로그리드는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장치(ESS) 위주로 구성돼,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성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다소 어려웠다. 한전은 오픈 마이크로그리드는 연료전지를 발전원으로 추가해 신재생 에너지만으로도 에너지 자립을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884


10. 주식회사 이노블록, 고려대 블록체인연구소와 블록체인 생태계 연구 및 발굴 협력
이를 위하여, 이노블록이 필요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의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필요 기술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사업전략, 법/제도의 검토,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컨설팅 및 자문서비스 영역에 대해서도 서로 긴밀히 협력할 것이며, 블록체인 창업센터 운영에도 도움을 주기로 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724878


11. 옥스팜 "공정거래 위해 캄보디아 농민·수출업자·바이어 블록체인으로 연결"
옥스팜, 캄보디아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쌀 공급망 서비스
농민과 수출업자, 바이어 연결
농민의 사회적·경제적 역량 강화 기대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90LD193


12. "나만의 구단을 꿈꾼다"…스포츠플렉스, 블록체인 기반 '판타지 스포츠 게임' 도전장
국내 스포츠게임 최고 베테랑 우상준 나부스튜디오 대표 선두지휘
"블록체인은 백엔드 기술일 뿐...게이머는 게임의 재미가 중요"
MLB, NBL 등 유명 선수들로 나만의 구단 만드는 시뮬레이션 게임 구현
블록체인 기술로 확률게임의 신뢰 확보…수수료도 사용자들이 조정 가능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90XNBCE


13. 카카오 블록체인 프로젝트 ‘클레이튼’, 초기 파트너 9곳
클레이튼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가 개발한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지난 8일 테스트넷을 공개했다. 클레이튼은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위해서 대규모 이용자를 확보한 블록체인 서비스가 등장해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와 유용성을 증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기업들이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https://platum.kr/archives/108817


14. 올비트 "비트코인 사이드체인 내년 상반기 공개"
사이드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을 다른 블록체인에 올려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보유한 비트코인을 동결시키고, 같은 양의 코인을 다른 블록체인에 발행하고, 해당 블록체인의 특징적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리퀴드와 루트스탁이 대표적인 비트코인 사이드체인이다. 국내에서 비트코인 사이드체인이 개발되는 것은 올비트가 처음이다. 올비트는 현재 비트코인 사이드체인을 약 90% 가량 개발했다. 올비트 측에 따르면 올비트 비트코인 사이드체인은 모든 것이 체인에서 이뤄지며, 컴포넌트는 탈중앙화라는 특성을 유지한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9090633&type=det&re=zdk


15. 지오블루랩, IBM ‘테크유’서 블록체인 통합상품 ‘GOB레저’ 선봬
오토XML 기술 활용한 제작 시연으로 참가자 호응 얻어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91826


16. 홍콩 일본웰스, 블록체인 관련 사업 진출
최근 LIMO에 따르면 홍콩의 일본계 금융기관 일본웰스는 암호화폐(가상화폐) 이더리움의 공동 개발로 유명한 미국 콘센시스(ConsenSys)와신세이은행 등 4곳과 업무 제휴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제휴를 통해 일본웰스는 콘센시스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활용하며 홍콩에서 선행적으로 핀테크 분야에서의 혁신을 도모한다. 구체적으로는홍콩에서 라이선스를 가진 금융기관으로서 최초 시도로 키매니지먼트(Key Management)와 KYC 분야를 염두에 두고 블록체인 관련 사업 개발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www.getnews.co.kr/view.php?ud=201811190755427481b92d8f9083_16


17. 블록체인 혁신기업을 위한 재무관리 플랫폼, ‘포모사 파이낸셜(Formosa Financial)’
포모사 파이낸셜(Formosa Financial)은 다양한 암호화폐에 투자하려는 블록체인 기반 기업을 대상으로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자산을 안정적인 사업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 중개, 리스크 관리 등을 지원하는 재무관리 플랫폼이다. 머니투데이방송(MTN)이 포모사 파이낸셜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라이언 테리빌리니(Ryan Terribilini)와 함께 금융기관과 블록체인의 결합이 가져올 효과와 향후 비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http://news.mtn.co.kr/v/2018111914123114890


18. 스테이지, 블록체인 도입된 아이돌 기부 프로젝트 시작
팬 활동으로 보상받은 ACT를 스타 이름으로 기부
http://www.inews24.com/view/1140529


19. e스포츠 블록체인 플랫폼 WGS, 지스타 '포트나이트' 대회 종합 우승
WGS 의 후원기업인 미국 ESTV 에릭 윤대표는 "'포트나이트' 대회에서 우승한 WGS팀과 미국전역 투어이벤트와 BJ이벤트를 기획 중이며 미국진출 지원도 추진 중이다" 라고 밝혔다. 이어 WGS 중국파트너사인 KDC, Sunic,DGames, JPlay는 중국, 대만, 홍콩, 동남아시아의 지역의 이벤트를 준비중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 WGS는 중국에서 '포트나이트'와 블록체인이 연계된 온·오프라인 이벤트를 준비중이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694


20. 데일리금융, 핀테크·블록체인 인재 채용 '디쿠르팅' 실시
코인원, 데일리마켓플레이스, 디레몬 등 7개사 참여
28일 채용설명회 디쿠르팅 데이(D-cruiting day) 개최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908966619407360&mediaCodeNo=257


21. 블록체인 활용 일자리 창출 방안 모색…KSCIA 심포지엄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KSCIA)는 오는 22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이병형 홀에서 김두관·김병기 의원, 한국생산성본부, 포항공대, 국방과학연구소 등 산업계와 학계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 안전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심포지엄은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과거보다 고용률은 높지만, 신규 취업률은 낮아지는 현재 상황에서 우려되는 다양한 사회병리 현상에 대한 총체적 점검과 복합적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 입법 정책에 제안하기 위해 마련됐다.
http://www.hankookblockchainnews.com/news/view.php?idx=1185


22. 팬 활동하면 토큰 주는 스테이지, 기부 프로젝트 진행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특화된 블록체인 플랫폼 스테이지(대표 백명현)는 아티스트와 팬을 위한 블록체인 기부 프로젝트를 다음달 20일까지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기부 프로젝트는 스테이지에서 팬 활동을 통해 보상받은 ACT토큰을 스타의 이름으로 기부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CT토큰은 스테이지 내에 개설된 스타의 커뮤니티 가입, 초대, 스타 관련 포스팅 게시와 공유 등을 통해 모을 수 있다. 모인 ACT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공정하게 기록되고 안전하게 저장되기 때문에 누구도 ACT양이나 기부 순위를 임의로 조작할 수 없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9134440


23. CQ월드코리아, 20일 블록체인 기반 SNS 선 봬
지불에서 충전 및 결제까지, 전자상거래 과정 구현 했다는데
http://sisa-news.com/news/article.html?no=116054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16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OPC UA TSN, 산업용사물인터넷(IIoT) 통신 표준으로 간다
OPC UA TSN은 향후 IoT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조건도 충족한다. 이 기술은 노드 수를 무제한으로 수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이더넷 표준으로의 대역폭 확장을 통한 이점을 제공한다. 통합 머신비전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같은 대량의 데이터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https://icnweb.kr/2018/opc-ua-tsn-%EC%82%B0%EC%97%85%EC%9A%A9%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iiot-%ED%86%B5%EC%8B%A0-%ED%91%9C%EC%A4%80%EC%9C%BC%EB%A1%9C-%EA%B0%84%EB%8B%A4/


2. 유바이오, 中 스마트덤벨 제조사와 업무 협약
샤오미가 투자한 스타트업 제품 국내 공급 계약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6095701


3. 벨캐나다, 새로운 사물인터넷 보안관제 서비스 론칭
벨캐나다의 멀티계층 보안 접근방식은 새로운 사물인터넷 기술을 신속하게 채택할 때 고객의 IT 인프라와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물인터넷 보안관제 서비스는 사물인터넷 솔루션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한 모든 트래픽을 분석한다. 악의적인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 알려진 액세스 지점을 차단한다. 또한 고객맞춤 정책기반 규칙을 통해 제어된 액세스를 허용하고 있다. 현재 캐나다 중대형 기업의 81%가 사물인터넷 솔류션을 사용하고 있다.
http://m.minnews.co.kr/45234


4. 어려운 보안, 쉽게 해줄까? 기대되는 새 보안 툴 7
런던에서 열릴 블랙햇 유럽 행사에서 첫 선보일 보안 툴들
컨테이너, 클라우드, 펌웨어,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기술 망라해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4667


5. 한전KDN, AMI 통신망을 이용한 ‘전력IoT 게이트웨이’ 개발
한전KDN(사장 박성철)이 발전, 송변전, 배전 전력설비의 온라인 감시진단을 지원하는 전력 IoT 솔루션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IoT 플랫폼 기반의 송전선로 항공장애표시등, 배전전력구 감시용 IoT 센서장치와 게이트웨이, 화력발전 운탄설비 감시용 IoT 시스템 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대규모 구축공사가 한창인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와 IoT 망을 융합할 수 있는 ‘전력 IoT 게이트웨이’ 솔루션을 개발했다.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398031


6. 지에버, 휴대용 대기오염 측정기술 특허 등록...중국 합작사 설립 추진
지에버(대표 류민)는 그래핀 플레이크 생산 기술 '비정질층이 구비되는 탄소·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관련 특허를 등록했다고 15일 밝혔다. 회사는 특허 기술을 적용해 이산화질소 등 대기오염원을 감지할 수 있는 반도체식 가스측정기를 개발했다. 지에버는 그래핀 원천 기술 응용 제품 선행 기술을 확보, 대기환경 관리가 가능한 반도체식 가스 측정기를 사업화했다. 회사가 개발한 가스 측정기는 반도체식 모듈을 장착했다. 기존 전기화학식 센서 문제점인 2차 독극화 문제를 해결했다. 에너지 소모량 절감, 사물인터넷(IoT) 시스템 결합이 가능한 제품이다.
http://www.etnews.com/20181115000499


7. 마우저, ADI 마이크로컨트롤러 ‘ADuCM4050’ 공급
저전력 소비 기능을 갖춘 ADI의 ADuCM4050은 전력 관리와 센서스트로브(SensorStrobe) 기술이 집적돼, 사물인터넷 에지 노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면 시스템 수준에서 전력을 절약해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부동소수점 유닛(FPU)이 포함된 Arm 코어텍스-M4 코어, 내장형 SRAM 128KB,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 512KB를 기초로 설계됐고, SPI 인터페이스 3개, UART 2개, I²C 인터페이스 1개 등 다양한 디지털 주변장치를 제공한다. 범용 입출력 포트(GPIO)도 최대 51개 제공한다.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618


8. MLCC도 초격차…호황 속 업계 희비교차
같은 MLCC임에도 '한쪽은 유례없는 공급 부족, 다른 쪽은 공급과잉'이라는 특이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전장·인공지능(AI)용 고사양 MLCC와 저사양 IT·모바일용 제품의 업황이 대조적으로 재편되면서다. 하위 업체들의 제품 수요 둔화가 확실시되면서, 수위(首位) 업체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업계 1·2위 무라타와 삼성전기가 매분기 실적 신기록을 쓰는 것과 대비된다. 이들이 고부가 제품에 집중하는 동안, 나머지 업체들은 기술 장벽을 넘지 못하고 보급형 제품 양산에 매몰된 점이 이유로 꼽힌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6135358&type=det&re=zdk


9. IoT 검색엔진 쇼단에서 내 사생활 줄줄 샌다?
보안성 갖춘 기기 취약점 노출 안 돼…보안 방치가 문제
http://www.inews24.com/view/1140082


10. 네이버 카카오가 투자한 브런트, 개인용 공기청정기 '에어젯' 출시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홈 디바이스 개발사 브런트가 개인용 공기청정기 ‘브런트 에어젯(Brunt Airjet)’을 정식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2016년 2월 설립한 브런트는 카카오벤처스, 네이버 등 36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브런트 에어젯은 테이블에 둘 수 있는 5~6평형 크기의 개인용 공기청정기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각종 온라인몰에서 판매한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16/2018111601083.html


11. 한국페트라이트, 스마트팩토리는 “필요기술에 대한 다이어트”
한국페트라이트 이병석 지사장은 “스마트팩토리는 얼마나 필요기술과 투입인력에 대해 단순화하고 시스템화해서 투입 자산을 다이어트해 나가느냐가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경광등 전문업체 페트라이트의 한국법인인 한국페트라이트 이병석 지사장은 기존의 시그널타워(경광등)을 이용해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솔루션인 WD 시리즈 무선 시그널타워 시스템을 국내 시장에 본격 공급한다고 밝혔다.
https://icnweb.kr/2018/%ED%95%9C%EA%B5%AD%ED%8E%98%ED%8A%B8%EB%9D%BC%EC%9D%B4%ED%8A%B8-%EC%8A%A4%EB%A7%88%ED%8A%B8%ED%8C%A9%ED%86%A0%EB%A6%AC%EB%8A%94-%ED%95%84%EC%9A%94%EA%B8%B0%EC%88%A0%EC%97%90-%EB%8C%80%ED%95%9C/


12.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기반 ‘애저 블록체인 개발 키트’ 출시
해당 제품은 '인터페이스 연결성, 데이터와 시스템의 통합, 스마트 컨트랙트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세 가지 핵심 목표에 초점을 맞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연결되며, SMS 및 보이스 인터페이스,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통합을 제공한다. 기존 애저 블록체인 워크벤치의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개념은 동일하게 적용됐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870


13. '시들지 않는 꽃'… 대전도시철도공사, 지하철 꽃 자판기 설치
대전도시철도공사가 꽃다발을 쉽게 살 수 있게 중앙로역과 시청역, 유성온천역에 꽃 자판기를 설치했다고 16일 밝혔다. 꽃 자판기에서 판매하는 꽃은 생화를 특수 보존용액으로 처리해 생화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만든 프리저브드 플라워로 3년에서 5년까지 보존할 수 있다. 물을 줄 필요도 없는 꽃이다.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유럽과 일본에서 시들지 않는 꽃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인체에 해가 없고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http://www.nocutnews.co.kr/news/5062343


14. 현대차, 지문인증 출입기능 넣은 中 싼타페 '셩다' 첫선
현대자동차[005380]가 세계 최초로 지문인증 출입·시동 기능을 탑재한 중국형 신형 싼타페 '셩다'를 앞세워 중국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을 공략한다. 현대차는 16일 중국 광저우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에서 열린 '2018 광저우 국제모터쇼'에서 중국형 신형 싼타페 제4세대 셩다(第四代勝達)를 처음 공개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81116054500003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