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0월 26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블록체인 성공의 조건 ‘오픈소스, 플랫폼, 표준’ - IDG Summary
IDC에 따르면, 2018년 전세계 블록체인 투자 규모는 미화 2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전세계 기업의 42.8%가 2022년까지 블록체인 영역으로 확장할 계획으로 밝혔다. 이렇듯 블록체인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시장 규모도 급성장하고 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개발한 모든 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하이퍼레저의 장점을 그대로 수용한 오라클 오토노머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http://www.itworld.co.kr/techlibrary/111251


2. 독일연방은행 "블록체인 적용 시험 성공적"
도이치뵈르제그룹과 공동 진행…금융분야 기술 적용 적합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026090546&type=det&re=zdk


3. 글로스퍼, 아프로서비스그룹과 블록체인 기반 업무협약
글로스퍼가 아프로서비스그룹과 블록체인 기반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제휴로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아프로서비스그룹 내 활용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금융 시장에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핀테크 사업 모델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글로스퍼의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콘(HYCON)'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026094344


4. 인피니언, 블록체인+차량 프로젝트 시동 건다
독일 블록체인 기업 자인(XAIN)이 반도체 제조사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와 자동차 분야 블록체인 기술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자인은 지난 10월 25일 독일 뮌헨에서 열린 제1회 인피니언 자동차 사이버 보안 포럼 기간 중 자사의 분산 네트워크 기반 접근 권한 기술과 인피니언 하드웨어 기술 협력 로드맵을 공개했다. 첫 프로젝트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 자동차 공유 앱이다.
https://www.venturesquare.net/770421


5. 엔진 스마트 월렛, 블록체인 기반 게임 아이템 실시간 전송 기능 제공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인 엔진코인(ENJ, enjincoin.io)을 제공하는 글로벌 온라인 게임 플랫폼 기업인 엔진(Enjin Pte. Ltd. Enjin.com, CEO 막심 블라고프)은 엔진사의 암호화폐 지갑인 ‘엔진 스마트 월렛(Enjin Smart Wallet)’에 블록체인 게임 아이템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2488


6. 위메이드, 게임용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한다
위메이드트리는 이번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아이템 등 디지털 자산 거래가 아니라, 이용자들이 매일 경험하는 인게임 콘텐츠와 블록체인을 결합해 재미를 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앞으로도 단순한 형태의 크립토 게임(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넘어 위메이드가 보유한 다양한 IP가 녹아든 여러 장르의 게임에 블록체인을 적용, 서비스할 계획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5


7. 27~28일 'BBR 청년학생 블록체인 해커톤'…"아이디어 넘어 실제 창업 이어지도록"
국내 대학생들이 주도하는 블록체인 행사인 ‘BBR(블록체인 비즈니스 리뷰) 블록캠프 해커톤’이 오는 27~28일 서울 마포창업허브에서 열린다. 블록체인 기업이나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가 아닌 청년·학생들이 처음 직접 기획한 블록체인 해커톤 행사로 주목받고 있다. ‘1020 세대를 사로잡을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과 ‘소셜 임팩트’를 주제로 진행된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269477g


8. 블록체인 성장세 "사람과 돈이 대거 몰린다"
139회 대덕과학포럼, 블록체인 시장 현황 살펴
박수환 아이콘루프 이사 "주춤하다간 블록체인 질서도 강대국에 뺏긴다"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66454


9. 대담한 도전 나선 블록체인 기업들...거대 AI 권력에 도전장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을 하나로 묶는 것은 현재 시점에선 비정상적인 조합으로 비춰진다. AI를 위한 블록체인을 하겠다고 하면 스캠이라는 소리 듣기 십상이다. AI가 의미를 가지려면 엄청난 데이터가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이정도 규모의 데이터를 갖춘 기업들은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대형 기술 기업들 밖에 없기 때문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90


10. 라이문드 그로스 총괄“의약품 관리도 블록체인으로, 검증 끝났다”
SAP가 미국 의약품도매 전문기업인 아메리소스버진과 의약품 재고관리를 위해 블록체인을 도입, 검증을 완료한 후 기술 출시를 앞두고 있다. 라이문드 그로스 SAP 블록체인 혁신 총괄<사진>은 지난 23일부터 25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SAP 테크에드 2018’을 통해 비즈니스에서 발생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점으로 블록체인을 도입해야 한다며, 아메리소스버진 사례를 들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4116


11. 하이브리드 지갑 대세될까?...블록체인, SW서 하드웨어로 확장
락박스는 소프트웨어 지갑을 포함해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서비스들과 통합된 하드웨어 지갑을 표방한다. 렛저 하드웨어 지갑처럼 락박스도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프라이빗키를 오프라인 환경에서 기기에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콜드 스토리지로 불리는 이같은 방식은 인터넷에 연결된 소프트웨어 저장되는, 이른바 핫 스토리지에 비해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97


12. COIC 최진수 대표 "블록체인으로 유통망 신뢰 높여 글로벌 확장"
식자재유통망 IoT 솔루션사업에 블록체인 접목
"신뢰도 끌어올려 할랄 인증 및 해외진출 추진"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254329g


13. 3세대 블록체인 ‘팬텀코인’ 홍콩거래소 비박스에 29일 상장
팬텀은 이더리움을 뛰어넘는 3세대 메인넷 개발 프로젝트로, 올해 상반기 하이퍼체인, 시그넘캐피탈 등 약 30개의 글로벌 상위 크립토 펀드에서 4000만달러(약 45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그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팬텀이 개발하는 오페라 체인은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방식으로 세계 최초로 블록을 빠르게 생성하면서, 비잔틴 장애 허용을 준수한 합의 알고리즘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26/2018102601818.html



14. 블록체인과 집단지성이 이뤄내는 철통 ‘보안’..모파스(MoFAS)를 만나다
해커를 키워내는 해커 양성소가 있다. 인터넷과 그에 따른 빅데이터의 범람, 여기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는 컨설팅 기업인 ‘해커스랩’ 이야기다. 이 곳에서 런칭한 블록체인 기반 보안 플랫폼 ‘모파스(MoFAS)’를 만났다. 대한민국 대표 ‘보안통’들의 블록체인 기술이 지금 현재 어디에 서 있고 어디로 가기를 원하는 지 이야기를 들어봤다.
https://www.blockmedia.co.kr/%EB%B8%94%EB%A1%9D%EC%B2%B4%EC%9D%B8%EA%B3%BC-%EC%A7%91%EB%8B%A8%EC%A7%80%EC%84%B1%EC%9D%B4-%EC%9D%B4%EB%A4%84%EB%82%B4%EB%8A%94-%EC%B2%A0%ED%86%B5-%EB%B3%B4%EC%95%88-%EB%AA%A8%ED%8C%8C%EC%8A%A4/


15. 휴먼스케이프 어드바이저 ‘번드랩(Bernd Lapp)’, 한국 블록체인 엑스포 연사로 참가
환자와 세계를 연결하는 블록체인 기반 환자 커뮤니티를 개발하는 '휴먼스케이프(대표 장민후)'는 전 이더리움 재단 어드바이저이자, 현재 휴먼스케이프의 어드바이저로 활동중인 ‘번드랩(Bernd Lapp)’이 한경닷컴과 딜로이트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18 한국 블록체인 엑스포(2018 Korea Blockchain Expo)의 연사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2477


16. 예술 시장에도 블록체인 바람...예술 혁명 일으킬까?
최근 블록체인이 예술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에 대해 외신은 먼저 블록체인의 ‘출처 추적 능력’을 꼽았다. 블록체인의 기술로 인해 예술작업에 대한 모든 정보를 위조 방지 시스템에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위조 문제는 예술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돼 왔다. 이에 블록체인이 아티스트, 컬렉터 및 예술 업계 기관의 위조 방지 솔루션이 될 것으로 외신은 관측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91


17. 바이오닉스진 "블록체인 보안사업 진출"
바이오닉스진은 △개인정보보호 △내부정보유출방지 △네트워크 접근제어 △머신러닝 기반의 이상징후 탐지 및 예방 솔루션 등을 기반으로 암호화폐 거래소를 위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바이오닉스진 관계자는 “씨티유글로벌은 바이오닉스진의 보안기술을 기반으로 보안 컨설팅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바이오닉스진은 암호화폐 거래소를 포함한 블록체인 보안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27606619376856&mediaCodeNo=257


18. 세종대, 블록체인 사이버안보 신기술 세미나
이번 세미나는 세종대가 주최하고 국방사이버안보연구센터, 육군본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그리고 한화시스템이 공동주관했다. 또한 국방부, 국군사이버사령부, 국방정보통신협회, 국방지능정보기술융합협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정보기술연구원 후원으로 진행됐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군에 적용해야 할지에 대한 여부가 화두가 되면서 해당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블록체인 사이버안보신기술 세미나에서 국방분야에 적용 가능한 핵심기술 동향을 소개했다. 블록체인 기술 관련 제품 전시도 진행되면서 국방 정책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마련됐다.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859


19. HTC, 블록체인 스마트폰 '엑소더스 1' 얼리 엑세스 버전 출시
HTC 엑소더스1 스마트폰은 비트코인(BTC) 또는 이더리움(ETH)과 같은 가상화폐 결제 기능을 업계 최초로 탑재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런 암호화 거래 기능을 위해 엑소더스1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문제를 강화한 영역 '인크레이브(enclave)'를 추가해 가상화폐를 더욱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독자적인 '소셜 키 복구(Social key Recovery)' 메카니즘을 탑재해서 폰을 잃어버리거나 도난당하는 경우에도 가상화폐의 키를 회수에 이를 다시 회수할 수 있다.
https://kbench.com/?q=node/192538


20. 에듀해시, 연매출 30兆 글로벌 IT기업과 블록체인사업 나선다
에듀해시,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시연…100만건 TPS 구현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24406619376856&mediaCodeNo=257


21. 퍼블릭 블록체인 BUMO, 31일 밋업서 국내 사업 전략 공개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부모(BUMO)가 오는 31일 7시 미디어 컨퍼런스를 열고 국내 거래소 상장 및 사업 계획에 대해 발표한다. 이번 행사에는 박수용 서강대학교 지능형 블록체인 연구센터장, 서문규 CPDAX(coinplug) 본부장, 정주용 체이너스 의장 등이 연사로 참석할 예정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4


22. 픽션, 카카오 블록체인 콘텐츠 분야 공식 파트너 참가
창작자·유저 연결하는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구축 추진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754


23. 캐나다국경관리청, 블록체인 기반 운송 솔루션 시범 도입
IBM-머스크의 합작 솔루션 트레이드렌즈 시범 도입
국가기관으로는 첫 트레이드렌즈와의 협업
http://www.sedaily.com/NewsView/1S629IFC92


24. 블록체인으로 수산물 거래 혁신, 암호화폐 “SEAMON 생태계” 기대 모아
SMC Worldwide(대표 김원창)가 블록체인 기술로 국제 수산물 거래의 문제점 해결에 나선다. 수산물 거래에서 실제 사용 가능한 암호화폐 SEAMON 코인을 자체 발행하여 독자적인 SEAMON 수산물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SEAMON 프로젝트는 ICO(암호화폐공개)에 앞서, 홈페이지를 통해 SEAMON에 대해 공개했다.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0241


25. 픽션, 그라운드X `클레이튼` 콘텐츠 분야 첫번째 공식 파트너로 참여
디지털 콘텐츠 블록체인 스타트업 '픽션'(대표 배승익)이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의 콘텐츠 분야 첫번째 공식 파트너로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픽션'은 이번 5월에 시작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창작자와 유저를 직접 연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2476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0월 01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내달 23일 개최
‘블록체인: 이상에서 현실로(Blockchain : From Ideal to Reality)’란 부제로 개최되는 엑스포는 한경닷컴과 딜로이트, 해시드, GBIC, 아소비모가 주최 및 주관하고 서울시·부산시·제주도, 한국블록체인협회 등이 파트너로 참여한다. 이번 행사는 국내 대기업과 해외 유명 블록체인 프로젝트·캐피털 등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100곳 이상, 3천 명 이상이 참석해 한국의 블록체인 정책과 규제, 입법 방향 등 블록체인 산업 전반을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http://www.mobiinside.com/kr/2018/10/01/press-koblockchainexpo/


2. "식품 유통 관리엔 블록체인을" 월마트-샘스 클럽, 공급업체에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 요구
월마트와 샘스 클럽이 재배 농장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엔드 투 엔드 채소 원산지 추적을 구현하기 위해 채소 공급업체에 1년 이내에 상품 데이터를 회사 블록체인 원장에 업로드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월마트 식품 안전 담당 부사장 프랭크 이안나스는 “이 조치는 말 그대로 수십, 수백 개 공급업체에 해당된다. 월마트 공급업체는 다른 공급업체 및 농장에서 상품을 조달한다”면서 “수백 곳의 식품 관련 시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itworld.co.kr/news/110929


3. 日 3개은행, 블록체인 기반 지불시스템 출시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는 일본 정부의 현금 사용을 줄이겠다는 목표에 맞춰 일본 3개 은행이 머니탭(MoneyTap)을 통한 자국 내 지불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머니탭 시스템의 도입으로 고객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수수료 없이 실시간으로 돈을 송금할 수 있다. 새로운 플랫폼은 일본 SBI홀딩스와 송금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사인 리플(Ripple)의 합작사인 SBI리플아시아에서 개발했다. 조만간 이 시스템은 SBI의 인터넷은행인 SBI인터넷스미신은행·스루가은행·리소나은행 등이 적용할 계획이다. 다만, 이번 국내 지불시스템은 암호화폐인 XRP를 사용하는 구조는 아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001083401&type=det&re=zdk


4. 한화시스템, EEA 가입...블록체인 사업 본격 시동
한화시스템(대표 김경한)은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얼라이언스(EEA)'에 가입했다고 1일 밝혔다. EEA는 기업 환경에서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활용하기 위해 공동 협력하는 기업들이 모인 조직으로 2017년 발족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인텔·JP모건 등 글로벌 기업을 포함한 500 개 회원사가 가입했다. 국내 대기업으로는 삼성SDS, SK텔레콤에 이어 한화시스템이 세 번째로 가입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001083702&type=det&re=zdk


5. 블록체인+e스포츠 ‘얌주’ 백서 엿보니…
플랫폼을 이용하면 P2P 경기는 물론 토너먼트 규모를 정해 참여자 수나 참가비, 상금 규모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진행 가능한 행사는 얌주가 주최하는 토너먼트 외에 게임 개발사나 유통사, 의류나 음료 등 다양한 브랜드가 참여하는 스폰서 주최 토너먼트를 통해 자사 브랜드 노출이나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게이머 자체적으로 주최하는 대회의 경우에는 총 참가비에서 얌주 플랫폼 서비스 이용료를 제하고 이용할 수 있다.
https://www.venturesquare.net/769242


6. OBEN·리포 그룹, 강력한 태평양 블록체인 연구소 설립 발표
연구 분야에는 Project PAI와 같은 기본 프로토콜과 PAI 코인과 같은 통화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포함되어 전 세계의 빈곤을 줄이고 투명성을 제고하여 세금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소는 PAI 코인과 같은 기본통화를 받고 거래할 수 있는 자체 암호화폐 거래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리포 그룹과 ObEN은 연구소의 자문 이사회의 첫 위원장을 맡고 있는 리포 그룹의 회장인 Mochtar Riady와 함께 인도네시아 최고 명문 대학인 인도네시아 국립대와 펠리타 하라판 대학(UPH:Universitas Pelita Harapan)의 연구소의 창립 멤버로 참여할 예정이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01


7. 시에라리온, 유엔과 협력해 '블록체인 신원 확인 플랫폼' 개발한다
30일(현지시간) CCN 보도에 따르면 유엔 소속 기구인 유엔자본개발기금, 유엔개발계획과 시에라리온 정부 및 비영리단체 Kiva가 프로젝트 '신용 조사기관의 미래(Credit Bureau Of The Future)'를 실행한다. 해당 프로젝트의 목표는 전체 인구의 약 80%가 신원 인증 시스템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있는 시에라리온에 안전한 블록체인 기반 신원 인증 시스템을 공급하는 것이다. 제 73회 유엔 총회에서 Xavier Michon 유엔자본개발기금 부의장은 "이번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시에라리온은 최첨단 신용 조사 시스템을 구축한 국가로 거듭나고자 한다. 추후 수많은 국가들에게 좋은 롤모델이 되어 전 세계의 금융 수용성을 급진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317


8. 보스코인, 블록체인 캠퍼스 '캠보스 1기' 출범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내가 진정한 캠퍼스 보스!'라는 슬로건을 건 캠보스 1기는 보스코인이 대학생에게 블록체인·암호화폐에 관련한 지식을 함양하고 산업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출범했다. 최예준 대표가 직접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보스코인에 대한 기초 강의를 함께 진행했다. 한 참가자는 “보스코인 캠보스 활동을 통해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필드의 역동성을 배우고 함께 변화를 이끌어 나갈 동기와의 집단지성을 통해,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과 연계가능성을 확장하는 역할을 맡아보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http://www.etnews.com/20181001000325


9. '퍼블리시 얼라이언스' 출범…넘쳐나는 가짜 뉴스 '블록체인'으로 잡는다
퍼블리시는 모든 참여자에게 공정하게 보상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뉴스 발행 플랫폼이다. 언론사는 퍼블리시를 기반 삼아 실제적‧경제적으로 유효한 모델을 확보할 수 있다. NEM 블록체인 기반 퍼블리시는 자생할 수 있는 언론 구조 마련을 도모하고 있다. 퍼블리시 얼라이언스는 독립적인 뉴스룸의 재정적 자생 가능성을 모색하고, '진실 추구'라는 언론 본연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출범했다. 기존 언론 산업이 뉴스 생산과 소비를 보상하는 새로운 기술 솔루션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언론으로서의 자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길 기대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4320


10. 델타&데이로, 블록체인 기반 '지식 허브'..'프로젝트 델타' 1차 토큰 세일 시작
'프로젝트 델타'는 자체 메인넷(DELA Portal) 개발을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프로젝트 델타'는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인 VOTA(Verification Of Transcendence spatial Autocorrelation)를 기반으로 독창적인 프로토콜을 선보일 예정이며, 이를 통해 기존 블록체인 생태계의 한계로 지적되어 온 속도 및 확장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인 VOTA의 특징은 기존 네트워크 구성원인 노드의 기여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거함으로써 실시간 블록 생성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이다. 대신 Dapp(블록체인 기반 어플리케이션) 자체가 노드가 되어 Dapp의 기여도에 따라 다양한 사업적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05


11. 보험업계, 빅데이터·블록체인 등 신기술 채택 활발
이런 기술을 통해 보험사의 경우 가입자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가입자들은 적절한 보험료를 산정하기 쉬워지는 장점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손해보험사들은 빅데이터와 챗봇, 블록체인과 헬스케어 등을 보험사의 신성장동력이 될 원천기술로 주목하고 있다. 보험상품이 은행이나 증권에 비해 더욱 복잡해, 신기술 접목이 아직은 '베이비 스텝'이지만, 추후 보험사의 순위도 뒤바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001140724


12. 후오비 코리아,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한 대외 활동 강화해
현시점에서 암호화폐 거래소의 탈중앙화를 위한 비전 제시를 비롯해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을 위한 후오비 코리아의 행보를 소개하고, 후오비 코리아가 제시하는 미래의 블록체인 산업을 엿볼 수 있는 자리로 구성됐다. 우선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부동산 블록체인 엑스포 2018’의 부대 행사인 ‘블록체인 지식 포럼 2018’ 중 ‘Knowledge @Exchange(DEX)’라는 주제로 열린 패널 토크에서 후오비 코리아 엘레나 강(Elena Kang) 실장은 국내 및 해외 거래소 패널 참가자와 함께 암호화폐 거래소의 미래에 대해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날 패널 토론은 Chaince의 다니엘 장(Daniel Zhang) CMO, Minebit 알렉스 장(Alex Zhang) 파운더, Trebit 박진성 팀장이 함께 참석해 탈중앙화 거래소와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의견, 거래소의 보안 및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거래소의 필요성, 규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내놨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798


13. 글로스퍼, “하이콘 퍼블릭 블록체인, 내년 초당 3000건 결제시대 열것”
글로벌 암호화폐 지급결제를 추구하는 글로스퍼는 최근 자체 암호화폐 '하이콘(HYC)'을 해외거래소에 이어 국내거래소에 상장한 바 있다. 일반인이 실생활에서 암호화폐로 결제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하이콘 퍼블릭 블록체인은 현재 초당 100건 가량의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글로스퍼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추가한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내년 3·4분기에는 초당 3000건 이상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http://www.etnews.com/20181001000195


14. [ABF in Seoul]'차세대 블록체인 스타트업 찾아라' BBR 해커톤 열린다
총 상금 1억원…9일까지 참가자 모집
"비즈니스 모델 발굴부터 투자·기업 연계까지"
27~28일 마포 서울창업허브서 개최
http://www.sedaily.com/NewsView/1S5QSMP0DV


15. 블록체인 암호화폐 주요 뉴스 헤드라인 모음..국가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콘', 카카오-SK플래닛 출신 전문가 영입
국내 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콘'을 주도하고 있는 아이콘루프가 카카오 출신의 정용준 이사와 SK플래닛 출신의 김웅 이사를 영입했다. 이를 통해 '아이콘'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이날 최영식 한양대학교 기후변화센터장은 "대한민국 지방분권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제주도는 글로벌자치도시로, 그린에너지 거래시장에서 블록체인 거래 활성화의 최적지"라며 "제주 블록체인 특별법 제정...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09


16. 중국 교통은행, 블록체인 기술 통해 RMBS 발행
중국 국영은행 중 하나인 교통은행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주택담보대출저당증권(Residential Mortgage Backed Securities, RMBS)을 발행했다고 중국증권시보가 27일 밝혔다. 주택담보대출저당증권은 주택을 담보로 한 모기지 채권이다. 교통은행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주이차이 체인(Juicai Chain)상에 약 13억달러(한화 1조 5천억원)에 달하는 주택담보대출저당증권을 발행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4


17. 저스틴 선, 첫 트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블록체인 게임 비트길드 공개...
트론(TRX) 창업자 저스틴 선(Justin Sun)이 지난30일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블록체인 트론 네트워크 기반 첫 번째 게임인  '비트길드' 및 '매직 아카데미'를 선보였다. 비트길드의 사명은 진정한 게임 아이템 소유권을 촉진하여 플레이어와 게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표준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04


18. 바이너리즈, 전자금융거래 기업과 MOU … “블록체인 보안기술 협력”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맥스’ 안정적 거래 위헤
페이게이트의 블록체인 보안기술 접목
http://www.sedaily.com/NewsView/1S5QSSELQC


19. [ABF in Seoul]창업국가 이스라엘의 선진 블록체인 기술을 만난다
에후드 올메르트 전 이스라엘 총리 'ABF' 행사 참석
이스라엘, 창업국가에서 블록체인 선진국으로 도약
IT 강국·스타트업 지원…블록체인, 전 분야에 접목
지난해 10곳 ICO로 4.8억 달러 유치…전세계 13%
서비스 구현속도 빨라…보안·미디어·AI 등 속속적용
암호화폐 정책 갈피못잡는 한국 정부, 돌파구 될까
http://www.sedaily.com/NewsView/1S5QRB0DW3


20. 바이두, 블록체인 사업 속도낸다 ‘슈퍼체인’ 백서 공개
지난 2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百度)가 슈퍼체인(XuperChain) 네트워크에 관한 백서를 공개했다고 전했다. 바이두가 공개한 백서에 따르면 슈퍼체인은 멀티 코어 병렬 컴퓨팅을 사용해 CPU의 사용률을 극대화하고 처리량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이드체인을 활용해 네트워크의 속도를 높였다.
http://www.ak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98


21. 케냐 블록체인 위원회, 정부에 "암호화폐, 현금 대체해야"
29일(현지시간) CCN 보도에 따르면, 케냐 분산원장·인공지능 위원회 수장 비탄게 은데모(Bitange Ndemo)는 케냐가 법정화폐와 암호화폐를 병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케냐 정보통신기술(ICT) 부처와 민간 관계자가 모인 회의에서 수장은 "법정화폐로 현금화되는 토큰으로 보상하는 '토큰 경제'를 시작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그는 토큰이 "통신사 포인트나 매장 적립금과 유사하다"며, "물품 구매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가질 수 있다"고 설명을 더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325


22. 오스트리아 국제 경제 연구소, “블록체인 기술이 국외 거래의 불확실성 줄일 수 있다”
이 보고서는 오스트리아 기술 연구소(Austrian Institute of Technology)의 버나드 다크스(Bernhard Dachs)가 오스트리아 디지털 경제부(Austrian Federal Ministry for Digital and Economic)을 대표해 작성하였으며 블록체인 및 AI기술이 미래 경제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다루고 있다. 가크스는 블록체인 기술이 수출 불확실성을 줄여, 수출 관련 처리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것으로 예측한다고 보고서에 언급하며, 이를 위해 은행 부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수용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http://news.donga.com/list/3/08/20181001/92207992/1


23. 블록체인 개발자 한자리에…BUIDL 서울 2018 다음달 개최
전세계 블록체인 개발 구루 대거 방한
워크샵에서 30여 프로젝트 기술 공개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7&year=2018&no=611824


24.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 엔진코인, 빗썸 상장... 게임 아이템 소유권, 통화 가치 보증 암호화폐
블록체인 게임 및 게임 아이템 개발 통합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인 엔진코인(Enjin, 약칭 ENJ)가 오늘28일 국내 가상화폐(암호화폐)거래소인 빗썸에 상장됐다. 이번 빗썸에 상장된 엔진코인(ENJ)은 엔진 플랫폼을 활용한 모든 게임에서 사용되는 게임 아이템의 소유권, 통화가치를 보증하는 암호화폐다. 엔진 플랫폼을 통해 구성되는 블록체인 아이템들은 모두 ERC-1155기반이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72


25. 인도준비은행, 블록체인 전담부서 신설 계획 없다
부서 신설 내용이 담긴 출처 불분명한 보고서가 언론에 공개
은행, 정보공개청구 요구에 “블록체인 전담 부서 만들 계획 없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S5QS4032F


26. 두바이 펀드, 암호화폐 'MINDOL' 33.3% 공개매수…'문화와 블록체인의 융합' 온라인 게임‧영화 내년 출시
AbuDhabi Dubai STOB Series22 Investment Limited Partnership(이하 AbuDhabi22)이 홍콩 Coinsuper 거래소에 상장된 MINDOL HOLDINGS LIMITED(이하 MINDOL)의 자체 암호화폐 MINDOL을 공개매수(TOB) 방식으로 33.3% 취득하는 데 합의했다. AbuDhabi22는 이번 공개매수로 MINDOL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안정된 가격으로 암호화폐를 취득하기 위해 거래소를 통한 일반적인 매수가 아닌, 전략적 수단으로 공개매수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MINDOL은 2019년에 현재 상장된 2,000여 개 이상의 암호화폐 중 시가총액 20위 이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서브컬쳐와 블록체인의 융합'을 주요사업으로 1.5억 달러를 투입해 온라인 게임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4315


27. CSIRO, 차세대 블록체인 Red Belly Blockchain으로 초신속 시스템 개발
CSIRO의 Data61이 차세대 블록체인 시스템인 Red Belly Blockchain(레드밸리 블록체인)으로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역대 가장 큰 블록체인 배포에 성공했다. CSIRO는 와이파이 개발 특허에 참여한 기업들 중 하나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코즈모스 캐피탈이 초기 투자한 레드밸리 블록체인은 현재 CSIRO의 신뢰성을 밑거름 삼아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레드밸리 블록체인은 최근 전 세계 18개 지역 (북남미, 시드니를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유럽) 중 총 14개 지역에 걸쳐 1,000개의 가상 시스템 배포에 성공했다. AWS에서의 테스트는 초당 30,000회의 처리량을 보여주었으며, 빠른 처리속도와 운영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매우 잠재력 높은 확장성을 증명했다.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805


28. 한국블록체인협회, ICO 및 거래소 통합 가이드라인 제안
한국블록체인협회(회장 진대제)가 국회 정무위원회 민병두위원장, 국회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노웅래위원장, 재단법인 여시재(與時齋)와 함께 10월 2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기회, 블록체인 –ABC Korea’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대한민국의 미래산업(AI, Blockchain,Contents)중에 하나인 블록체인 기술이 바꾸는 생활의 변화를 살펴보고, 블록체인산업의 제도권 편입을 통해 세계시장에서 우리 블록체인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대한민국을 4차산업혁명 선도국가로 만들자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https://kr.acrofan.com/detail.php?number=115846


29. 아마존, 컨센시스(Consensys)가 개발한 칼레이도(Kaleido)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가속화
블록체인 기술이 정보보안, 금융기술 분야에서 각광 받으며 플랫폼을 지향하는 많은 업체들이 각자의 독자적인 플랫폼을 출시하고 관련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또한 IT 분야의 전통적인 강자였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도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킨 각자의 독자적인 클라우드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양한 분야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10


30. 몰타 수상 "암호화폐는 '화폐의 미래'…산업계 혁신할 것"
30일(현지시간) CCN 보도에 따르면 몰타의 Joseph Muscat 수상이 제 73회 유엔 총회에서 "암호화폐는 화폐의 미래"라는 발언으로 '블록체인 섬'을 표방하는 몰타의 친(親)암호화폐적 입장을 대변했다. Joseph Muscat 수상은 "나는 기술이 사회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믿는다. 이런 믿음을 바탕으로 몰타는 블록체인 섬으로 거듭나겠다고 발표했고, 블록체인 기술 관련 구체적인 사법체계를 갖춘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될 수 있었다. 블록체인에 기반한 암호화폐는 화폐의 미래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계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라고 말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323


31. 이오스 BP 선출 투표 '담합 논란' 재발…자정능력 시험대
3세대 블록체인을 표방한 이오스(EOS)가 다시 한 번 블록 프로듀서(BP) 담합 논란에 휩싸였다. 투표로 블록을 생성하는 상위 21개 BP를 선출하는데, 덩치 큰 BP끼리 상호 교차투표를 모의한 정황이 포착됐다는 것이다. 1일 해외 블록체인 전문매체 라이브 비트코인 뉴스에 따르면 한 트위터 사용자(@MapleLeafCap)가 이오스 BP 담합 정황이 의심되는 문서를 공개했다. 해당 문서는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 직원이 작성한 것으로, 후오비가 20개 BP에 투표하고 그 대가로 16개 BP가 후오비에게 투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010246g


32. 정부, '블록체인' 벤처 기업서 제외 '빨간불'
이와 관련해 정부는 9월 27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개정을 심의, 의결했다. 시행령에는 유흥주점업, 기타 사행시설관리 및 운영업 등 5개 업종을 '벤처기업에 포함되지 않는 업종'으로 정했는데 여기에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 매매 및 중개업'도 추가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비정상적인 투기 과열 현상을 비롯해 자금세탁, 해킹 등 불법행위가 발생하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981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27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블록체인, 국제 금융 패러다임 바꿔
탈중앙성, 신뢰성 바탕으로 혁신 이끌어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B8%94%EB%A1%9D%EC%B2%B4%EC%9D%B8-%EA%B5%AD%EC%A0%9C-%EA%B8%88%EC%9C%B5-%ED%8C%A8%EB%9F%AC%EB%8B%A4%EC%9E%84-%EB%B0%94%EA%BF%94


2. 김웅겸 게임엑스코인 대표 '블록체인 서울 2018'서 밋업 강연
게임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사 게임엑스코인월드는 자사 김웅겸 대표가 지난 17~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에서 밋업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머니투데이그룹이 주최하고, 지디넷코리아가 주관했다. 리투아니아, 몰타, 스위스, 싱가포르 등 세계 7대 블록체인 국가 관계자들과 세계적 블록체인 프로젝트 경영자들이 참석, 화제를 모았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7142725


3. 블록체인으로 한단계 진화하는 '인슈어테크'
보험에 대한 정보비대칭성도 문제다. 보험사가 보험 가입 시 사용자에게 정보를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보험가입 기간은 대부분 장기간인 탓에 어떤 보험상품에 가입했는지 잊을 때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언제 어떤 경우에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정작 필요할 때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필요할 때,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해 상대적으로 사용자가 믿지 못하는 셈이다.
http://it.donga.com/28201/


4. "스마트 컨트랙트만 팠더니...블록체인 시장 보였다"
블록체인만큼 단시간에 전세계적 관심받은 기술이 또 있을까. 그렇다 보니 블록체인 플랫폼·분산 애플리케이션(dApp·디앱) 개발부터 채굴업, 암호화폐 거래소, 전문 투자사, 액셀러레이터까지 산업 내 모든 시장이 이미 '레드오션'이 된 느낌이다. 각 시장마다 수 많은 업체들이 등장해 경쟁하고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7171739&type=det&re=zdk


5. 글로벌 주요은행 75곳 참여한 JP모건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시동
JP모건은 독자적인 블록체인를 구축 및 개발해왔으며, 작년 캐나다 로열은행, 호주·뉴질랜드 은행그룹(ANZ)과 팀을 꾸려 R3 컨소시엄과 경쟁하는 위치에 자리했다. 주요 은행 75곳을 추가로 포섭하면서, 모든 은행이 접근할 수 있는 공동 원장을 통해 국경 간 지불 네트워크 간소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 기존 국경 간 지불 처리는 중개기관을 최소 3곳 이상 거치며, 충돌 방지를 위해 약 2주 가량이 소요됐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85


6. 中 바이두, 블록체인 백서 V1.0에서 '슈퍼 체인' 개념 공개
백서에 따르면, 바이두의 슈퍼 체인은 높은 하드웨어 활용도로 기존 블록체인보다 개선된 효율성을 자랑한다. 바이두 측은 백서에서 "슈퍼 체인 노드는 CPU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출력량을 증가하기 위해 멀티-코어 병렬 컴퓨팅을 실행한다"라고 서술했다. 이에 따르면, 슈퍼 체인은 병렬 사이드체인을 지원하는 스테레오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의 핵심 체인(Root Chain)은 병렬 체인들을 관리하고, 전체 네트워크의 운영 가이드라인은 체인 간 데이터 교환을 지원한다는 개념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4287


7. 후오비코리아, 블록체인 인플루언서 모집
모집대상은 한국에 거주중인 암호화폐 관련 유튜버 및 인플루언서, 오픈 채팅방 운영자, 전업 투자자, 펀드 기관 투자자, 보험 영업사원,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 등이다. 한국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기 위한 네트워크와 자원을 갖추고 있고, 팀 운영 및 커뮤니티 관리에 대한 폭넓은 경험이 있으며 블록체인 사업 운영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면 지원할 수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7105605


8. 블록체인 가상선물 기프토 "새 서비스는 넴에서 테스트"
기프토는 넴 블록체인과 협력해 현재 추진중인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테스트할 계획이다. 기프토는 현재 기프트몬 게임 서비스 등에 가상선물 프로토콜을 결합해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이더리움 위에서 제공되는 기프토 가상선물 제공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기프토 측은 이번 협력 배경에 대해 "이더리움 아키텍처에 비해 보다 빠른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넴 블록체인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설명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7111315


9. 블록체인과 국가주의, 실수를 반복할 것인가?
실리콘밸리의 전설적 벤처투자가 팀 드레이퍼가 `가상화폐`에 관심을 갖게 된 건 한국의 `리니지` 덕분이라고 한다. 2004년의 일이다. 가까운 친구에게서 "아들이 리니지에서 계속 힘을 발휘하려면 아바타를 고용해야 할 지경이라고 조르기에 40달러를 주고 가상의 칼을 사주었다"는 얘기를 듣고부터다. 인터넷 기업 초기 투자자로 이미 막대한 부를 축적했던 그는 "가상 세계와 실제 세계가 공존하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영감이 들었다"며 그 순간을 회고한다.
https://opinion.mk.co.kr/view.php?year=2018&no=603233


10. 상하이·광저우, 항만 업무에 '블록체인+AI' 적용
美 이데아노믹스 기술 공급...APEC 프로젝트 첫 단계로 추진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7074418&type=det&re=zdk


11. 페덱스, 블록체인 프로젝트 '하이퍼레저' 합류한다
리눅스 재단이 주관하는 하이퍼레저는 오픈소스 협업 활동으로 기관 및 업체들이 사업 거래에 있어 블록체인 기반의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및 하드웨어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 형성을 목표로 한다. 기존 멤버로 액센츄어, 에어버스, 바이두, 도이치뱅크, 다임러, 시스코, IBM, 인텔, JP모건, 히타치 등 세계 일류 기업들이 속해 있다. 해당 기업들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관련된 10개의 프로젝트를 블록체인 프레임워크와 툴에 기반해 진행하고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4278


12. 日SBI·리플, 블록체인 기반 결제 앱 출시 계획
코인데스크는 26일(현지시간) SBI리플아시아가 일본 재무부로부터 전자지불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금융감독청에 따르면 은행의 오픈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를 사용해 전자지불을 처리하고자 하는 업체는 반드시 사전에 일본 재무부에 등록해야 한다. SBI리플아시아가 선보일 앱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참여한 일본 내 금융사의 오픈API를 연결해 사용하는 구조다. 이 때문에 규제 대상에 포함됐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7064155


13. 국토부, '드론 정보관리' 우선협상자에 데일리블록체인 채택
데일리블록체인은 드론 관련 종합 데이터베이스를 개발·구축하고 운항 및 비행 정보를 분석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연구 용역을 진행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인 드론 산업은 미래 항공산업,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기술 융합산업이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12월 '드론 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26년까지 드론 산업이 약 4조4,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4283


14. 美 의원들, 크라켄‧나스닥 등과 논의…"규제 미비로 블록체인 업계 이탈 우려"
인사 대부분은 블록체인 혁신 기업이 미국을 떠날 것을 우려하면서, 미국 의회가 명확한 규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산업계에 개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업 참여자들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72년 전 법률 사례를 기준으로 새 자산 유형을 판단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SEC는 1946년 SEC와 호위(Howey) 회사 간 소송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이 호위의 토지 판매 및 관련 서비스를 '투자 계약'으로 판결 내렸던 기준을 암호화폐 발행 및 ICO에 적용해 대부분을 '증권'이라고 결론 내리고 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93


15.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 중개·매매업 벤처기업서 제외
정부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 매매 및 중개업과 관련해 비정상적인 투기과열 현상과 유사수신·자금세탁·해킹 등 불법행위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이를 벤처기업에 포함되지 않는 업종으로 정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벤처기업에 포함되지 않는 업종은 유흥주점업, 무도 유흥주점업, 기타 주점업, 기타 사행시설관리 및 운영업, 무도장 운영업 등 5개 업종이었다. 앞으로 블록체인 중개 매매업이 여기 추가돼 6개 업종이 벤처기업에서 제외되게 된다.
https://www.blockmedia.co.kr/blc-trading-bench/


16. 람다256, 블록체인 야심작 ‘루니버스’ 테스트 파트너 모집
람다256은 두나무가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난 5월 설립한 연구개발(R&D) 조직이다. 람다256이 개발한 루니버스는 △사용하기 쉽고(Easy to use) △스스로 메인넷(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On-Premise Mainnet Service) △합리적 비용의 서비스(Reasonable Cost) 등을 내세우고 있다.
http://www.incheo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2634


17. 네이버 라인과 카카오 그라운드X의 블록체인 플랫폼 경쟁 치열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은 4일 블록체인 플랫폼인 링크체인과 코인인 링크(LINK)를 내놨다. 카카오 자회사인 그라운드X도 곧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을 선보인다.  블록체인은 중앙 서버가 아닌 데이터를 분산해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 가상화폐, 서비스 등은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이뤄진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97185


18. [ABF in Seoul]'기업과 인재의 만남' 블록체인&핀테크 잡페어 열린다
서울시·서울경제 주최 ABF in Seoul서 10월 27~28일 양일간 마포 서울창업허브서 개최
블록체인·핀테크 분야 채용희망 기업 & 구직 인재 한자리에
체인파트너스, 글로스퍼, 위워크, 멜레펀드, 예스24 등 참여
기업과 인재 간 정보 비대칭 해소
참가자 경우 사전등록 필수…선착순 100명에게 컨퍼런스 티켓 3만원에
http://www.sedaily.com/NewsView/1S4SSZGIQK


19.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SCRY, Global Payment Summit에서 Florin Awards 수상
2010년 제정된 Florin Asia Innovation Awards는 글로벌 금융업계에 걸쳐 확고한 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텐센트 핏(Tencent FiT)과 ACI, 네덜란드 결제협회(Dutch Payment Association), 호주 결제네트워크(Australian Payment Network), SWIFT, 앤트 파이낸셜(Ant Financial), 기타 저명한 금융기관들이 올해 서밋 행사에 참여했으며, 글로벌 결제시스템의 스마트화에 더욱 속도를 내고 실시간 결제시스템의 혁신 프로티어를 확장해나가는 방식에 대해 소중한 아이디어들을 공유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35


20. NIPA, 블록체인 전문인력 1000명 육성 나선다
NIPA에 따르면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생태계 조성이 절실하며 이를 위해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많은 IT 기업들이 블록체인 사업에 뛰어들고 있고 스타트업들도 생겨나고 있지만 이에 비해 블록체인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NIPA는 10월부터 내년 1월까지 구체적인 블록체인 교육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우선 블록체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인력 현황과 필요한 기술적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고 국내외 블록체인 교육 과정의 실태를 분석할 계획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10


21. 전력산업도 블록체인 아젠타... '스마트시티에서의 블록체인의 역할' 논의한다 - 밸리
올해로 4번째 열리는 이번 박람회는 ‘Energy Transition & Digital Transformation’을 주제로 전세계 280개 기업이 참여하는 신기술 전시회, 국제컨퍼런스 48개 세션, 국제발명특허대전 160개 발명품, 공식행사 등 다채로운 구성으로 꾸려진다. 최근 전력산업이 친환경 중심의 에너지전환과 디지털 변환으로 대대적인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거듭하고 있어 전력 분야의 발전 현황을 진단하고 기술 및 정책을 교류하는 이번 국제컨퍼런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34


22. 글로스퍼 사내벤처 블록체인씨앤에스, 블록체인 헬스케어 사업 본격화
회사측에 따르면 누룽지 플랫폼은 ▲의료문화관광 ▲유전자정보 ▲반려동물 ▲멘탈케어 등 사회문제 해결형 서비스를 상용화하는데 이용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다양한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며, 글로벌 ICO를 연내 추진할 예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19


23. 10억 투자유치 애드오에스 “블록체인으로 소비자·광고주 모두에게 이로움을 줄 수 있는 모델 실용화 목표”
애드오에스의 핵심 기술은 크게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인간 인식(Human presence) △블록체인을 통한 신뢰와 투명성 확보 △혁신적 타게팅 △에코시스템 위한 개방형 플랫폼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인간이 보유한 시간과 고유한 정보가 갖는 가치를 광고라는 수단을 통해 재화로 변환함으로써 두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소비자·광고주 모두에게 이로움을 줄 수 있는 모델을 단계적으로 심화·발전·실용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540


24. 영국, 정부 차원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 활발히 진행 중
영국 정부가 디지털 형태의 증거 및 기록과 아이덴티티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채택하는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영국 법무부(HMCTS, Her Majesty's Courts and Tribunals Service)는 국무조정실과 디지털 증거확보를 위해 분산원장기술 관련 회의를 공동 개최했다. 영국 법무부 사이버 보안팀의 책임자인 발라지 앤빌(Balaji Anbil)은 법무부의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기존에 존재하던 전통적인 절차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352


25. 블록체인 플랫폼 스페로파트너스, (주)크리에이터스와 중국 V-커머스 사업 제휴 체결
- 스페로파트너스, (주)크리에이터스와 중국 V-커머스 사업 제휴 체결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30


26. 젠틀마스, 블록체인 플랫폼 해외진출 방안 모색...젠틀마스-한국종합경제연구원 전략적 MOU 체결
젠틀마스와 한국종합경제연구원은 이번 MOU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 연구의 수행 및 해외진출 방안 컨설팅 제공 △개발된 블록체인 기술의 사업화 추진 방안 제시 △블록체인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사업전략 추진 △관련법규 및 제도 검토,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컨설팅 제공 등 제반 영역에서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젠틀마스 블록체인 플랫폼의 뉴 비즈니스 창출과 해외진출 방안에 공동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542


27. 서울시 주최 첫 블록체인 행사… 'ABF in Seoul' 10월27일 시작
잡페어·해커톤·세미나·공연·컨퍼런스 등 참여하는 축제
10월27~28일 서울창업허브 잡페어, 인재와 기업 매칭
10월30~31일 Fuze 2018, 전통산업과 블록체인 연결
11월1일 세빛둥둥섬,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투자자 밋업
서울경제·체인파트너스, 위워크, 일본 CTIA·VCG 등 주최
보스코인 개발자밋업, 블록체인법학회 등 다양한 행사
열린 행사, 함께하는 잔치… 각종 소모임에 공간 지원
http://www.sedaily.com/NewsView/1S4SRD5GSC


28. 엘솔컴퍼니, 블록체인 전문 기업 ‘아도스’와 업무 협약 체결
엘솔컴퍼니가 27일 자사 ICO(암호화폐공개) 프로젝트인 '인플리움(INFLFUM)' 사업 강화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 아도스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블록체인 기반 브랜드 퍼블리싱 플랫폼 '인플리움' 프로젝트 공동개발과 마케팅에 협력한다. 인플리움은 개인의 작은 아이디어도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한 투명한 거래구조를 지향하는 것이 특징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67378


29. 美 블록체인 스타트업 서클, 스테이블 코인 만든다
서클 "법정화폐의 토큰화가 목표"
가격 안정성을 갖춘 암호화폐, 글로벌 금융계약과 서비스 가능케 해
http://www.sedaily.com/NewsView/1S4SS88NGM


30. 포르쉐, 블록체인ㆍAI에 1900억원 이상 투자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포르쉐가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향후 5년간 약 1억7600만달러(한화 약 1959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25일(현지시각) 밝혔다. 포르쉐는 초기단계나 성장단계에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 기회를 잡기 위해 사용자 경험과 이동성,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과 AI, VR/AR같은 미래 기술 등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29


31.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로커스체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박스에 25일 상장 및 거래 개시
8월 24일 비박스의 상장 프로세스인 투표과정에서 2위와 큰 격차를 보이며 1위를 기록, 상장 채비를 모두 마친 바 있는 로커스체인은 실사용자가 많아질수록 효율성이 떨어지는 구세대의 블록체인이 아닌 대규모 실물 경제에 불편없이 사용이 가능한 매우 빠르고 안정적인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기존 블록체인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거래의 수가 많아져도 속도의 저하가 없이 빠르게 거래 승인이 가능한 AWTC(Account-Wise Transaction Chain) 구조와 원장의 사이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독자적인 신기술인 다이나믹 스테이트 샤딩(Dynamic State Sharding)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043


32. SK㈜ C&C가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산업을 겨냥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선보여
두 회사는 19일 경기 성남 SK㈜ C&C 사옥에서 관련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금융사별로 차별화된 블록체인 서비스를 선보이려는 아이콘루프와 블록체인 플랫폼·서비스 확장을 추진 중인 SK㈜ C&C의 입장이 맞아 떨어져 이뤄졌다. 두 회사는 각사가 보유한 블록체인 플랫폼·기술·서비스를 공동으로 분석하고 SK㈜ C&C의 계정계·정보계·채널계 등 금융 서비스 가운데 블록체인 우선 적용 대상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그동안 금융분야에서는 블록체인이 인증, 보험금 청구, 내부 문서관리 정도에 적용돼 왔는데 두 회사는 사업 추진 공동 TF를 구성해 기술·서비스 융합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541


33. 옵스', 올해 주목할만한 블록체인 기업
특히 가트너는 '옵스'가 블록체인 플랫폼이 해결해야 할 과제인 확장성과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Dapp)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옵스'는 느린 정보처리 속도 등을 해결하기 위해 이더리움에 별도의 체인을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의 장점과 옵스만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http://www.policyfund.kr/news/articleView.html?idxno=1544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18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업비트, 거래소에 머물지 않고 블록체인 미래에 투자”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이 개발중인 루니버스는 블록체인 기술이 없는 개발자도 쉽게 블록체인 상에 댑(dapp/분산형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다. 람다256 쪽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좋은 댑 개발에 집중해야 하는데, 어떤 블록체인 플랫폼이 좋을지 고민하느라 정작 서비스 개발에 몰입하지 못하고 있다”며 “루니버스는 사용자들에게 널리 보급될 수 있는 댑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62565.html


2. “블록체인, 투기 아닌 ‘신뢰’ 찾아야”
가상통화(암호화폐)의 인기가 뜨겁게 타올랐다가 냉각기에 들어서면서 최근 블록체인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은 두 가지로 양분된다. 과열되었던 가상통화의 거품이 꺼지고 난 지금 블록체인 시장은 가상통화 이상의 가치에 도전하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이 갈 길은 아직 멀어보인다. 차세대 블록체인 CEO들도 이를 인정했다. 이들은 블록체인의 한계점을 지적하면서도 잠재성이 높은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B8%94%EB%A1%9D%EC%B2%B4%EC%9D%B8-%ED%88%AC%EA%B8%B0-%EC%95%84%EB%8B%8C-%EC%8B%A0%EB%A2%B0-%EC%B0%BE%EC%95%84%EC%95%BC


3. 싱가포르 핀테크협회장 "블록체인, 기대 뛰어넘을 것"
[블록체인서울2018] 치아 훅 라이 싱가포르 핀테크협회장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73708


4. “블록체인은 에스토니아의 미래”
아세 사우가 에스토니아 암호화폐협회 회장은 1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서울 2018’ 둘째날 행사 ‘B7 서밋’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에스토니아는 정부 공공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나라로 꼽힌다. 또한 매우 이른 시점부터 암호화폐 관련 규제와 법제도 마련에 나선 나라기도 하다. 2014년 암호화폐를 공식 통화로 인정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15743


5. “로커스체인은 빠르고 가벼운 차세대 블록체인”
그는 “기존 블록체인은 사용자 증가나 거래 증가로 원장이 쌓이면 느려지고, 여러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며 “로커스체인은 아직까지 블록체인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차세대 블록체인으로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로커스체인은 합의 처리에서 DAG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여러 트랜잭션을 분리해 병렬로 처리함으로써 거래량 증가에도 빠른 처리 속도를 낼 수 있다. 샤딩 기술을 도입해 데이터와 사용자 수 증가 시에도 원장의 무게를 줄여 거래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62354


6. 바하마 주지사 "블록체인은 새로운 사업...암호화폐 환경 마련"
[블록체인서울2018] 돈 코니시 강연...블록체인 인력도 적극 양성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82937


7. 3세대 블록체인 메인넷 개발사 한 곳에…블록체인 서울 2018
9월 17~19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D홀에서 열리는 ‘블록체인 서울 : 2018-B7 서밋’을 위해 전세계 7대 메인넷 개발 회사 CEO가 연단에 오른다. 오아시스 랩의 CEO 돈 송 (Dawn Song) 교수, 테조스의 CEO 캐슬린 브라이트만 (Kathleen Breitman), 온톨로지의 창업자 준 리(Jun Li) 대표, IOST의 공동설립자인 지미 정 (Jimmy Zhong), FLETA(플레타) 박승호 대표, 보스코인 최예준 대표, 아이콘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아이콘루프의 김종협 대표 등이 참여해, 확장성, 보안, 탈중앙화라는 3가지 측면에서 블록체인의 기술적, 철학적 과제에 대해서 활발한 논의를 펼쳤다.
https://www.venturesquare.net/768760


8. 파수닷컴, 블록체인서울 2018 행사 참가
17일부터 19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블록체인서울2018'은 전 세계 7대 블록체인 국가 및 도시 책임자와 유명 블록체인 경영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블록체인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다. 파수닷컴은 블록체인서울2018 현장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컴플라이언스 지원 문서관리솔루션을 시연했다. 최근 출시한 '파수블록(FasooBlock)'이다. 파수블록은 전자문서의 시점 확인과 진본 증명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01333


9. KISIA, 블록체인 전문위원회 발족
"블록체인 보안강화, 서비스 활성화 및 적용분야 보안성 담보"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34931


10. 한양대, 내년 블록체인학과 설립한다
20일 한양블록체인연구원 설립...국내 최대 연구집단 육성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04901


11. "북위 30도 아래 36억명을 위한 블록체인"
리빈은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플랫폼 이다. 사용자들이 리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위치 및 콘텐츠를 게재하고 사용자간 평판을 합의하는 방식으로 리빈코인(VEEN)을 획득할 수 있다. 리빈은 플랫폼 기반으로 기부, 크라우드펀딩, 마일리지 교환, 광고, 전자상거래,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리빈 서비스의 1차 타겟 고객은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 남미 지역 36억 명이다. 5년 내 10억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31333


12. 유영민 장관 "블록체인 성공사례 빨리 나와야"
이날 유 장관은 정부가 혁신성장으로 추진하고 있는 8대 선도산업을 언급하며 “정부가 자원을 투입해 장기간 해야 할 분야는 데이터, 인공지능, 수소경제 등인데 또 중요한 하나가 블록체인”이라며 블록체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단기간에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선 인력 육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유 장관은 “숲이 만들어져 숲 속에서 나무들이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여기에 대한 성공 스토리와 레퍼런스(참고 사례)가 한국에서 시급히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44849


13. 한국IBM,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본격화
한국IBM은 국내 핀테크(기술 금융) 기업 ‘피노텍’과 블록체인 플랫폼 업체 ‘베잔트 파운데이션’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우선 피노텍과는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플랫폼을 함께 구축하고 있다. 피노텍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리빈’을 운영하면서 ‘이더리움’ 기반의 암호화폐 ‘빈’을 운영하고 있다. 피노텍은 한국IBM 클라우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SNS 사용자의 정보를 위·변조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가상화폐로 보상하고 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S4OPA74FL


14. 알리바바 마윈 "블록체인, 사회변화 일으켜야 의미有"
18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마윈은 첨단기술이 그 가치와 의미를 인정 받으려면,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회장은 17일 중국에서 열린 '세계 인공지능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가진 문제와 일반적인 오해들을 집중 조명하는 가운데, 새로운 '데이터 시대'의 기술적 분수령이 될 핵심기술로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을 언급했다. 그는 "데이터 시대는 제조산업을 변화시킬 큰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이 이러한 변화를 촉진하고, 종합적인 발전을 도울 수 없다면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211


15. 스페인 자치단체 아라곤, 공공행정에 블록체인 최초 도입
아라곤 자치정부의 금융 및 행정 처리 담당부는 스페인은 물론, 유럽 규제를 준수하는 블록체인 기반 각종 툴을 제작하는 274곳의 업체 및 기관들의 연합 'Alastria'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아라곤은 스페인 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국가 행정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도입하게 된다. 아라곤 자치정부의 금융 및 행정 처리 담당부 관계자인 Fernando Gimeno는 해당 계약이 매우 혁신적인 행보임을 밝히며, "가까운 미래에 세계는 블록체인의 힘을 확연하게 느끼게 될 것이다. 블록체인은 공공행정 처리에 필수적인 역할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220


16. 미디어업체가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한 이유
이 질문은 해당 행사에 참가한 김상범 블로터앤미디어 대표에게 던져졌다. 미디어 업계가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를 별도 신설하는 일이 많지만,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직접 만든 사례는 국내에서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김상범 대표는 블로터앤미디어에서 진행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레벨’을 홍보하기 위해 ‘블록체인 서울 2018’ 행사장에 찾았다. 정장차림이 아닌 ‘레벨 프로젝트’ 로고가 새겨진 검정색 반팔 티셔츠를 입고 온 그는 “누구나 1인 미디어를 만들 수 있고 콘텐츠도 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며 “하지만 이 콘텐츠를 어떻게 유통시키고 유지하는지에 대한 비즈니스 적인 노하우는 1인 미디어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61612&type=det&re=zdk


17. 딜라이트체인, 9월 18일 '자기지속적인 블록체인 국제 컨퍼런스' 개최
딜라이트체인 대표 이영환 박사는 인공지능과 핀테크, 블록체인 전문가로 알려진 인물로 최근의 블록체인 트렌드가 ‘자기지속성(Self-Sustainability)’이라는 의제로 향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자신의 국제학술 네트워크를 활용해 이번 컨퍼런스를 기획했다. “4차산업혁명과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시작점”이라는 제목으로 비전 세팅에 나선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원 자문위원이며 요즈마 그룹 과학기술사업화 총괄센터장 장세탁 박사의 기조강연을 필두로 인도 VJTI 뭄바이대학교 총장인 대렌 R. 파텔 교수, 월드뱅크 보안 아키텍처 윌리엄 장 디렉터, 고려대학교 암호화화폐연구센터 센터장 김형중 교수, 딜라이트체인 대표 이영환 박사가 강연에 나섰다. http://www.etnews.com/20180918000352


18. 글로스퍼, 프라이빗 블록체인 사업에도 하이콘 기술 적극 투입
블록체인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사내 벤처1호 ‘블록체인씨엔에스(Blockchain C&S)’를 출범했다고 18일 밝혔다. 자체 개발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콘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시장에도 투입하기 위한 행보다.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관련 기술과 노하우로 블록체인씨엔에스 실증 프로젝트와 기술 구현을 지원할 예정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4


19. “블록체인, 인터넷처럼 새시대 열 것”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 2018
“생활밀착형 서비스 개발 시급”
국내외 전문가들 한목소리
“암호화폐 규제 심해” 지적도
https://news.joins.com/article/22970224


20. IOST, '왓챠'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추진
투자는 IOST 재단 산하 벤처캐피털 겸 인큐베이터인 블루힐이 콘텐츠 프로토콜의 프라이빗 ICO(Private ICO)에 참여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캐리프로토콜에 이은 두 번째 국내 프로젝트 투자다. 콘텐츠 프로토콜은 주문형 비디오(VOD)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 왓챠가 진행중인 리버스 ICO 프로젝트다. 왓챠는 자사의 주력서비스인 왓챠플레이를 통해 이미 400만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했다. 콘텐츠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위에 동영상을 올리고, 시청자가 사용량의 일부를 보상받는 내용을 담았다. 이는 콘텐츠 유통 수익을 특정 플랫폼이 독식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5660g


21. 경직된 경연장 분위기 바꾼 AR 비트코인 게임
최고의 블록체인을 찾는 경연 행사의 경직된 분위기가 AR 비트코인 게임으로 인해 밝아졌다. 국내 업체 닉스블록은 18일 서울 코엑스 D홀 컨퍼런스 C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 부대행사 ‘최고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찾아라’ 부대행사에서 자체 AR 기반 비트코인 채굴게임 ‘코인몬스터’를 선보였다. 코인몬스터는 닉스블록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닉스코인(NiX Coin)' 기반으로 작동되는 게임이다. 포켓몬고같이 증강현실 속에 나타나는 닉스코인을 잡을 수 있고, 운이 좋으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가상 화폐를 얻을 수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60942&type=det&re=zdk


22. 블록체인 관련 특허 보유량, 중국이 압도적 1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중국 알리바바가 전 세계 블록체인 특허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급부상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 분야를 장악하기 위한 중국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는 듯하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106


23. 네오플라이,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사업 본격 시동
올 초 크립토 투자 계획을 밝힌 후, 내부자금 크립토 펀드를 조성하고 6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를 집행했다. 네오플라이가 투자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플레이어원’, ’센티넬프로토콜’, ’TTC프로토콜’, ’코스모체인’, ’콘텐츠프로토콜'과 '테라' 이다. 네오플라이는 액셀러레이팅 사업 확대를 계기로 초기 단계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대한 액셀러레이팅도 본격화하고, 인큐베이션, 다양한 디앱 개발 및 지원, 투자/육성 노하우를 제공하기로 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6


24. 링크제니시스,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사업 다각화 추진
회사 측은 “사업 다각화를 통한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칸델라체인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링크제니시스는 2003년 12월 설립된 업체로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력 판매 제품인 MAT(테스트 자동화 지원 도구)는 국내 1위의 소프트웨어 검증 자동화 솔루션이다. 완성제품의 기능적 동작을 테스트하는 블랙박스 테스트가 주요 사업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64840


25. 美 CTFC 의장 ‘미국은 블록체인 산업에서 4년 뒤쳐졌다’
청문회의 주제는 “CTFC를 위한 아젠다(Agenda) 검토”로 농업 하원위원회 의원들이 소집됐다. 청문회동안 지안카를로 의장은 오스틴 스콧(Austin Scott) 하원 의원으로부터 ‘핀테크의 혁신 커뮤니티와의 협력 허브인 LabCFTC의 목표를 설명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며 그는 기관이 작년에 설립됐고 “LabCFTC는 시장에서 핀테크 개발을 위한 새로운 규정을 발견할 수 있게 도와주며 빠르게 진행되는 혁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010


26. 다인리더스, 하노이개방대학교와 블록체인기술교류 MOU
3만여명의 재학생을 가진 베트남 최대 규모의 원격 고등교육기관에 안전한 블록체인기반 온라인 학위 증명 서비스를 내년 상반기까지 구축한다. 다인리더스는 국내 30여개 대학, 60만명의 대학생이 사용하는 통합 이력·경력개발 서비스 캐리어 PASS 2.0을 개발한 곳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아래 블록체인 기반 모든 자격증, 학력 또는 기타사항을 인증하는 개인별 포트폴리오 검증 플랫폼을 상용화했다. 이 기술을 온라인 학위 증명 서비스에 적용, 검증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
http://www.etnews.com/20180918000223


27. 블록체인이 가져올 광고 시장의 변화
모비아카데미에서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국내외 광고 프로젝트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디지털 광고 시장의 문제점과 동시에 앞으로의 광고 시장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강연을 준비하였습니다. 본 강의를 통해 블록체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부터 실제 블록체인 광고 프로젝트들을 바탕으로 블록체인과 광고 시장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모바일/디지털 광고 시장 종사자 및 마케터 등 블록체인과 광고시장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http://www.mobiinside.com/kr/2018/09/18/mobiacademy-digital-news-project/


28. 20여 개국 '글로벌 빅샷' 총출동… 블록체인 만난 부동산 미래를 본다
19일 개막…21일까지 코엑스서 
비트코인닷컴 CEO 등 연설
美 하와이·호주 퀸즐랜드 등 
해외 부동산 프로젝트 한눈에
국내 투자 전략도 알 수 있어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78711


29. 카탈루냐 정부, 블록체인 기술 통합 계획 수립
카탈루냐의 스페인 자치 커뮤니티 공식 정부 기관인 카탈루냐 정부(Government of Catalonia)는 “디지털 서비스를 대중에게 개선하고, 그 기술의 잠재력을 정부와 기업과 시민들 간에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홍보할 것”이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카탈루냐 디지털 정책국은 2018년 12월 말까지 공공 행정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합할 계획을 수립해야한다. 디지털 정책 부서의 전략은 통합 부서 그룹에 의해 정해질 예정이며, 블록체인 분야에 대한 지식, 교육과 인재 양성을 촉진하고 잠재력과 경제 가치를 최대화하는 기술 영역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007


30. 블록체인 주요 8개국 생태계 확산 MOU
'블록체인 서울 2018'에서…"기술·정보·인재 교류"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53421&lo=z35


31. 세계경제포럼, 글로벌기후 정상회담에서 '환경문제 해결할 블록체인 활용안' 발표
해당 연구는 가장 시급한 환경 문제를 해결할 65가지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다룬 것으로 글로벌 기후 행동 정상회담에서 발표됐다. 연구는 천연자원, 수자원의 탈중앙 관리부터, 환경 파괴 없는 공급망 구축까지 블록체인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어획량 유지, 온실가스 배출, 분산 전력 거래와 같은 실제 활용 사례뿐 아니라 저탄소·지속가능 경제 성장에 필요한 새로운 펀딩 방식으로도 거론됐다. 세계경제포럼은 언론 보도를 통해 "투명성이 요구되는 공급망, 정책 수립 절차 등을 블록체인 컨트랙트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16


32. 연세대보건대학원, ‘블록체인과 의료 고위과정’ 개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은 블록체인 전문매체 블록미디어와 손잡고 10월부터 제32기 ‘블록체인과 의료 고위과정을 개설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고위과정은 블록체인의 개념, 국내외 의료분야의 블록체인 적용사례, 임상실험에서 블록체인 활용까지 이론에서 실제를 두루 망라하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10월부터 내년 1월 21일까지 총 15주 일정으로 진행된다. 의료기관 및 제약회사의 대표 및 임원을 비롯해, 블록체인 관련 기업의 대표와 임원, 기타 의료 경영에 관심 있는 의료인 등 각 분야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40명을 모집한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693697&code=61171911&sid1=cul


33. 호주 멜버른 공과 대학, 학생에게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 제공
로열 멜버른 공과 대학(RMIT)은 월요일 학생들이 블록체인에 저장된 자격 증명을 얻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디지털 자격 인증 플랫폼인 Credly와 함께 개발되었다. 새로운 유형의 자격증을 사용하면 학생들은 자신의 기술을 발표하고 블록체인에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LinkedIn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과 기술을 공유 할 수 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006


34. 기프토, 블록체인 게임 기프토몬 한국어 버전 출시, 지난 7월 영어버전 출시후 2주만에 4000명 넘는 사용자 기록
- 기프토, 블록체인 게임 기프토몬 한국어 버전 출시, 지난 7월 영어버전 출시…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235


35. 블록체인시대 코인 교육 열풍
씨큐브코딩은 강서고 1학년 학생 320여명을 대상으로 2학기 코딩 정규수업을 운영하기로 하고, 8월부터 ‘피지컬 컴퓨팅-SPL로 컴퓨팅 사고력 키우기’ 수업을 시작했다. 씨큐브코딩은 이 수업을 위해 씨큐브코딩의 강사진과 교재·교구, SPL 등을 제공한다. SPL(Simple Program Language)은 씨큐브코딩이 자체 개발한 컴파일러로 블록 코딩과 스크립트 코딩의 격차를 줄여주는 중간언어이다. 일반고 가운데 2018학년도 서울대 등록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강서고는 학생들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중 하나로 코딩교육을 도입하고 커리큘럼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기관을 찾던 중 씨큐브코딩을 접하고 직접 제안을 해왔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861


36. 태그앤, 블록체인 기술로 코인 개발 전담 서비스 사업 진출
태그앤(대표 김기성)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코인시스템 개발 전담 서비스 영역에 진출했다. 코인 개발, 거래소 개발, 지불시스템 개발 등은 물론 채굴기 세팅·백서 작성까지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에 원스톱 서비스한다. 회사는 코인 시스템 R&D 전문 기업을 표방하고 있다. 회사는 독자적인 메인넷 시스템을 개발해 토큰이 아닌 코인 생성을 지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한다. 코인시스템은 스프링 기반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따르면서 확장성과 호환성이 뛰어난 자바를 지원한다.
http://www.etnews.com/20180918000287


37. 넘버스, 뉴질랜드 소셜카지노 회사와 MOU…블록체인 접목
넘버스(대표 문영오, 조한규)는 지난 17일 뉴질랜드 소재 소셜카지노 게임 개발사 지오팝스 리미티드(대표 Andrew HUR)와 블록체인 게임 비즈니스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넘버스에서 개발 중인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7Chain' 은 게임 플레이어가 난수 생성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게임 결과에 투명성을 보장하는 RNG 프로토콜이 핵심이다. 넘버스는 블록체인을 적용하고자 하는 게임 기업에 관련 기술을 지원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6420v


38. 블록체인 스타트업 템코, 투자자문사 TLDR과 글로벌 파트너십 맺어
템코(TEMCO)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급망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 및 운영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자문 회사인 TLDR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히면서  TLDR의 공동설립자인 톰 그라함(Tom Graham)을 비롯해 알렉스 야마시타(Alex Yamashita), 그라함 프라이드맨(Graham Friedman)이 템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고 전했다. 템코는 올 7월 ‘비트고(Bitgo)’ 창업자이자 전 CEO인 윌 오브라이언에 이어 8월 초 RSK의 설립자인 가브리엘 컬만을 어드바이저로 영입한 바 있다. 이번에 자문사인 TLDR과 파트너십을 맺게 됨으로써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시장에서 사업모델의 견고함을 어필 할 것으로 보인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652


39. ‘블록체인 허브도시’ 제안의 허와 실을 따져 본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모임 제주미래전략산업연구회(대표 김희현 의원)가 오는 20일 ‘제주, 블록체인 허브도시의 의미와 그 가능성 모색’이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원희룡 지사가 정부에 글로벌 블록체인 특구 지정을 요청하고 있는 가운데, 블록체인 기술과 산업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인 블록체인의 기술적, 산업적, 법적, 사회적 효과를 예측해보고 이를 통해 도민 삶의 질 향상과 제주지역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http://www.media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310056


40. 연세대·러시아 엠지모대학, '스마트시티 연구' 협약
블록체인 전문업체 에치닥·드림체인·부동산블록체인연구소 등도 산학연 협약
17일 연세대 스마티시티융합서비스연구개발단과 신촌캠퍼스 공학동에서 진행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7856i


41. 체이너스, 첫번째 공식 밋업 ‘CHAIN US’ 성료
비전크리에이터(Vision Creator) 그룹 소속 계열사 체이너스(Chainers)가 지난 14일 잼투고(Jam2go) 2층에서 첫번째 밋업 체인어스(Chain Us)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Chainers 2018, Ontology press conference 이후 체이너스(Chainers)가 주최한 첫번째 밋업으로, BUMO, SPIN PROTOCOL, IOTW, LAMBDA등의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자리다.
https://www.blockmedia.co.kr/chainers-meetup-chain-us/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17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비트코인골드 설립자 "블록체인 원리는 생존"
비트코인골드 공동창립자 가운데 'H4X'라는 가명을 쓰는 리드 개발자는 17일 서울 코엑스 '블록체인서울2018'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효용으로 개방성과 협력, 거대한 가치창출, 실세계에서 확장성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언급했다. H4X는 "블록체인이 개방된 협력의 미래, 그런 가능성을 만들어간다고 믿는다"면서도 "심각한 성능 문제와 첨단기능 구현 문제에는 도전과제가 있는데 이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비트코인골드가 지원할 수 있을지는 숙제"라고 말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72959&type=det&re=zdk


2. 아이콘 "소규모 블록체인 간 연결로 가치 창출"
“블록체인으론 이더리움 기반 크립토키티의 결제가 안 되는 등 제한이 많다. 블록체인의 가치를 보여주기 위해선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 행사에서 인터체인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이콘루프는 글로벌 인터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콘’(ICON)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 전문 회사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40014&type=det&re=zdk


3. 미디어업체가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한 이유
이 질문은 해당 행사에 참가한 김상범 블로터앤미디어 대표에게 던져졌다. 미디어 업계가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를 별도 신설하는 일이 많지만,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직접 만든 사례는 국내에서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김상범 대표는 블로터앤미디어에서 진행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레벨’을 홍보하기 위해 ‘블록체인 서울 2018’ 행사장에 찾았다. 정장차림이 아닌 ‘레벨 프로젝트’ 로고가 새겨진 검정색 반팔 티셔츠를 입고 온 그는 “누구나 1인 미디어를 만들 수 있고 콘텐츠도 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며 “하지만 이 콘텐츠를 어떻게 유통시키고 유지하는지에 대한 비즈니스 적인 노하우는 1인 미디어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61612&type=det&re=zdk


4. 팬텀 “생활에 스며드는 블록체인 목표”
안병익 팬텀 대표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한 '블록체인서울2018'에서 개발 중인 메인넷 오페라 체인의 주요 기술과 사업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팬텀은 푸드테크기업 식신과 한국푸드테크협회가 참여하는 새로운 3세대 블록체인 인프라 스트럭처 개발 프로젝트다. 지난 7월 12억7천만 개의 팬텀 코인 판매를 완료해 약 4천만 달러를 모집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203504&type=det&re=zdk


5. 다프체인 "한국 최초 상용화 블록체인 메인넷 보여줄 것"
“저희는 ICO를 통하지 않고 저희가 가지고 있는 자산으로 메인넷 상용화 서비스를 만들어, 현재 블록체인 내에서 상용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 최초 상용화된 블록체인 메인넷이 무엇인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임선묵 데이터젠 대표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74832


6. "블록체인으로 맛있는 커피 드세요"
[블록체인서울2018] 업체별 블록체인 기술 한자리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13128


7. 플레타 "블록체인도 구글·애플같은 플랫폼 필요"
박승호 플레타 최고경영자(CEO)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서울2018' 행사 키노트 연설에서 "스마트폰 시장에 구글과 애플이라는 플랫폼 사업자가 있는 것처럼 블록체인 시장에서도 플랫폼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블록체인 플랫폼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이더리움과 이오스가 있다. 박승호 대표는 "건물이 하나의 플랫폼이라고 가정했을 때, 다른 블록체인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 디앱)들이 이곳에 입주하게 된다"고 말했다. 사용자들이 디앱들을 사용하려면 이더리움이라는 건물에 수수료를 내고 들어가야 한다는 뜻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25357&type=det&re=zdk


8. "블록체인은 더욱 투명한 전자정부 만든다"
문영배 로커스체인 고문 겸 디지털금융연구소장 겸임교수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 행사 B7 CEO 서밋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의 올해 예산이 429조원이고 복지 예산이 145조원인데, 투명성만 확보해도 상당 부분을 절약하고, 더 많은 복지수혜자에게 혜택을 돌릴 수 있을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반 전자정부는 투명성을 확보해 국민의 편의성과 정부 신용 개선, 정부예측력 강화, 양면적 플랫폼 등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65245


9. 퀴즈톡 “방탄소년단에 조공 바칠 수 있는 블록체인”
아이돌 가수에 대한 퀴즈를 풀면서 보상을 받고, 이를 모아 자신이 원하는 가수에게 일명 ‘조공’을 보낼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등장했다. 조공은 팬덤계에서 선물을 뜻한다. 따로 앱을 설치할 필요 없이 카카오톡, 라인, 텔레그램에서 퀴즈를 풀 수 있다. 바로 퀴즈톡에 대한 이야기다. 퀴즈톡 전창섭 대표는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 행사에서 퀴즈톡에 대해 소개했다. 행사는 지디넷코리아 주관 및 머니투데이그룹 주최로 개최됐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74215


10. "커피 마시고 지갑 만들고"…'블록체인 서울' 가보니
[블록체인 서울 2018]블록체인 기반 일상생활 서비스 시연·체험 프로그램 풍성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91716434059604


11. 온톨로지 "블록체인은 중앙화·탈중앙화 시스템 연결고리"
“블록체인은 기존 중앙 시스템을 대체하는 게 아닙니다. 중앙화된 시스템과 탈중앙화된 시스템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블록체인입니다.” 온톨로지 준 리 창립자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에서 “블록체인은 연결고리”라며 이같이 말했다. 준 리 창립자는 “토큰화된 경제와 디지털 경제를 연결할 수 있는 고리가 바로 블록체인”이라며 “블록체인 인프라가 연결고리가 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형태의 신뢰가 필요하다”라고 소개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64128


12. 移通 3사 블록체인 서비스 내년부터 본격 상용화된다
내년부터 이동통신 3사의 블록체인 서비스가 본격 상용화된다. 그동안 추상적이었던 블록체인 기술이 구체적인 서비스로 일상생활에 들어오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각종 거래 정보를 중앙 서버에 관리하지 않고 여러 곳으로 분산해 동시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해 신원 인증, 정보 보안, 작업 증명 등 신뢰가 필요한 서비스에 접목하기 좋다. ‘제2의 인터넷’으로 불릴 만큼 잠재력·응용가능성도 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에 따르면 국내 블록체인 시장은 2017년 500억원에서 2022년 약 1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맞춰 이통 3사도 앞다퉈 블록체인 사업 청사진을 발표하며 주도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08988&code=11151400&sid1=eco


13. 오아시스랩 “프라이버시 우선 블록체인 개발”
올해 설립된 블록체인 프로토콜인 오아시스랩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최우선에 둔 프라이빗 클라우드 상의 블록체인을 위해 만들어졌다.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고, 머신러닝이나 분석 등으로 확장성도 갖출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돈 송 대표는 “은행의 사기탐지 시스템은 각 은행마다 제한된 정보만 갖고 사기를 알아내야 하는데, 민감한 데이터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각 은행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면 사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40528


14. 블록체인으로 바꾸는 전자상거래, ‘테라’
테라의 신현성 대표가 그리는 그림은 이랬다. 은행, 결제대행업체 등이 주도하는 전통적인 금융시스템 구조가 아닌, 새로운 편리한 전자상거래 거래 플랫폼을 만드는 것. 신뢰할 수 있는 거래 구조를 통해 거래 수수료를 낮추고, 상품 구입 비용도 낮출 수 있는 환경. 이런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신 대표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주목했다. 약 1천억원을 투자해 ‘테라’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http://www.bloter.net/archives/319793


15. 팝체인-액트투, 콘텐츠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맞손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유통구조 탈중앙 프로젝트 기업 팝체인(대표 손상원)은 블록체인 전문 기술기업 액트투 테크놀로지스(대표 오재민)와 콘텐츠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제휴 및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앞으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댑) 개발 및 유치·기술 밋업 개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095349&type=det&re=zdk


16. LG유플러스, 블록체인 기술 기반 해외결제 시스템 도입
16일(현지시간) LG유플러스는 일본의 소프트뱅크, 대만 파이스톤과 함께 미국 TBCA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해외결제 시스템 CCPS 구축 업무협약 진행 소식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한국, 일본, 대만의 통신사 간 결제 시스템을 블록체인으로 연결해, 각 통신사 가입자는 해외 방문 시 각국 통신사 결제 시스템을 통한 구매가 가능해진다. 앞서 2월, LG유플러스, 소프트뱅크, 파이스톤, TBCA소프트는 글로벌 통신사 블록체인 협력체계인 CBSG에 가입한 바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4198


17. 제주은행, 블록체인 기반 은행공동 인증서비스 '뱅크사인' 구축
뱅크사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전자 거래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인 은행 공동 인증 서비스이다. 고객은 은행 한 곳에서 발급 받은 뱅크사인을 활용해 다른 은행에서도 간단한 인증만으로 모바일뱅킹을 활용할 수 있다. 지난 8월, 출시 발표와 동시에 모바일 인증만 지원하는 데다 금융회사별로 이미 간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의 '블록체인 섬'으로 거듭나고 있는 제주도의 지역적 특성을 살려 제주은행에서 선도적인 도입에 나섰다.
https://tokenpost.kr/article-4200


18. 퍼블리시(PUBLISH), 차세대 블록체인 뉴스 프로토콜 등장
블록체인 전문미디어 '토큰포스트'와 블록체인 컨설팅업체 '케이체인(Kchain)'이 블록체인과 토큰 경제의 장점을 언론 산업에 도입하기 위한 프로젝트 퍼블리시(PUBLISH)를 출시했다. 퍼블리시는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뉴스 생산 플랫폼 프로젝트다. 플랫폼은 모든 참여자에게 공정하게 보상하며, 언론사가 실제 도입·구축해 경제적으로 유효한 모델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퍼블리시의 목표는 기존 언론사가 자생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4205


19. 블록체인 확장성, 이오스트는 어떻게 풀었나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일관성, 확장성 등의 3가지 특징을 축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확장성은 거래를 처리하는 시간과 관련된다. 기본적인 블록체인의 구상은 모든 노드가 동등한 권리를 갖고, 전체 합의를 통해 거래를 처리하는 것이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은 모든 노드의 합의를 거쳐야 다음단계로 갈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에 한계를 갖고 있다.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위해 여러 솔루션이 나와 있다. 지미 정 대표는 “참여자를 그룹화해 거래 속도를 높이는 파티셔닝, 샤딩 같은 방법은 분산 시스템에서 써온 용어로 근본적인 해결책을 주지 못한다”며 “대표자를 뽑아 합의에 참여하게 하는 방식도 중앙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53234


20. 키네시스(Kinesis), '금·은' 블록체인 연동 화폐 시스템 출시
키네시스 벨로시티 토큰(KVT)을 사용해 플랫폼 참여가 가능하다. 토큰 보유자는 키네시스 화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의 최대 20% 혜택을 얻을 수 있으며, 약 15조 달러 규모에 달하는 전 세계 금시장과 연결된다. 키네시스 머니의 CEO 토마스 코글린(Thomas Coughlin)은 "암호화폐 공개 투자가 지난해만 두 배 증가했다. 키네시스가 제공할 신뢰와 품질에 대한 투자자 수요는 상당 투자금을 유치한 KVT 토큰 세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키네시스는 이달 10일 마감된 프리 세일을 통해 5,000만 달러를 유치한 바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4196


21. 네오플라이, 블록체인 본격 투자
네오플라이,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팅 본격화…덱시오스에 첫 투자
https://byline.network/2018/09/17-22/


22. 블록체인협회 '2기 블록체인 캠퍼스' 10월4일 개강
한국블록체인협회가 다음달 ‘제2기 블록체인 캠퍼스’를 운영한다. 우수 강사진과 체계적 커리큘럼으로 호평을 받은 1기 블록체인 캠퍼스의 성과를 이어받아 다시 문을 연다고 협회 측은 전했다. 블록체인협회는 10월 첫주부터 매주 목·금요일 오후 2~6시 3주간 모두 6강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암호학 기반 블록체인의 기초적 이해부터 메인넷 성격에 걸맞은 Dapp 개발 및 활용방안, 가상화폐(암호화폐) 동향, 블록체인과 결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기술 등을 다룬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70711g


23. 티엔엑스, 블록체인 기반 '티-스캔' 기술로 금융보안 책임져
블록체인 보안네트워크기업 티엔엑스(대표 김동진·정현철)가 최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18'에 네트워크·디바이스 무결성이 보장돼 안전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티-스캔' 기술과 전자지갑 서비스를 공개했다. 티엔엑스(TNX:Trusted Network Coin)는 보안이 특화돼 해킹걱정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보안 네트워크다. 자체기술 티-스캔으로 디바이스 무결성과 네트워크 안전성을 검증, 기존 블록체인 기술만으로 해결할 수 없던 보안문제를 해소한다.
http://www.etnews.com/20180917000170


24. 터치 한번에 콜렉션 ‘신상’이 좌르륵… 블록체인 입은 패션
블록체인 기반 제조·유통 연결
실크로드 패션 플랫폼 주목
"트렌드 분석·신진디자이너 발굴
글로벌 마켓플레이스 제공"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1802101931041001


25. 힐스톤파트너스, 대만 블록체인 기업에 첫 투자
이번 투자는 해외 파트너 공동 투자가 아닌 단독 투자. 황라열 힐스톤파트너스 대표는 “전 세계 블록체인 업체엑 공개적으로 기술 검증 행사를 요청하고 있지만 많은 기업이 이를 부담스러워하고 있다”면서 “아이오엑스는 이런 제안을 흔쾌히 수락해 국내에서 성공적인 기술 컨퍼런스를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이 회사의 기술력과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보여줘 신속하게 투자하게 됐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또 힐스톤파트너스의 첫 투자처인 만큼 해외 파트너에게도 적극적으로 소개해 프리세일을 리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https://www.venturesquare.net/768716


26. 대만, 의료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한다
대만 정부는 현재 의료 시스템 정책 강화에 힘쓰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만의 한 병원이 기록 보관 및 처리 시스템 향상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채택한 것으로 밝혀졌다. CCN의 보도에 따르면 대만의 명문 의과대학인 타이페이 의과대학병원(Taipei Medical University Hospital)이 의료 기록 보관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도입했다. 대만의 현지 매체 타이페이 타임즈는 지난 목요일(현지시각) 타이페이 의과대학병원이 환자 기록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해 환자 이송 서비스 및 환자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하려는 목적으로 '헬스케어 블록체인 플랫폼(Healthcare Blockchain Platfom)' 도입 결정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096


27. EON은 EON Korea Super Node, 아시아 태평양 블록 체인 연합 (APBA)에 초청
2018 년 9 월 11 일 제주도 의회 의장과 의장, 몽골 의회 의장, 제주도 의회 의장 정부 및 기타 정부 공무원을 비롯해 한국 과학 기술 연구원, 서울 과학 기술 대학교, 한국 블록 체인 혁신 협회, 총 300 명이 넘는 사람들이 회의에 참석했다. 회의는 "블록 체인 및 환경 생태학", "블록 체인 및 제 4 산업", "블록 체인 및 국제 협력"과 같은 뜨거운 주제에 중점을 두었다.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644


28. 빅데이터부터 블록체인까지 4차산업혁명과 만난 로봇 전문기업 “DST로봇”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주목 받는 이유는 네트워크내의 모든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기록, 보관함으로써 공인된 제3자가 없이도 거래 기록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술이어서 별도의 보안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DST로봇은 제조업용 로봇, 로봇응용시스템 및 서비스용 로봇 사업을 아우르는 국내 최고의 종합 로봇기업이다. 1998년 창업 아래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기울여 직각좌표 로봇을 시작으로 수평다관절로봇, 트랜스퍼 로봇, 병렬로봇 등과 같은 산업용로봇 제품들을 개발하여 산업용 로봇 국산화에 크게 기여하여 왔고, 서비스 로봇 또한 애완견 로봇 ‘제니보’ ,엑추에이터 스마트 서보, 휴머노이드 로봇 등을 개발한 로봇전문기업이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187


29.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블록체인, 기존 산업과 결합해야"
중국 상해 '2018 세계 인공지능 컨퍼런스'
"블록체인, AI, IoT…제조업, 서비스업 등과 결합해야"
지속가능한 발전, 녹색 성장 위해 결합 필요
http://www.sedaily.com/NewsView/1S4O8FP3GJ


30. 글로스퍼 하이콘 사내 벤처 1호 '블록체인씨엔에스' 출범
윤명철 블록체인씨엔에스 대표는 2017년 대구시 정신건강 프로젝트인 '마음톡톡'을 수주,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술을 현장에 제공한 바 있다.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기술과 노하우로 블록체인씨엔에스 실증 프로젝트와 기술 구현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윤명철 대표는 “공공기관을 비롯한 다수의 고객을 위한 향후 프로젝트에 하이콘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etnews.com/20180917000164


31. 핸디소프트,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 사업 본격화
한국전자투표는 전자투표 관련 국내 최고의 기술력과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는 전문기업이다. 핸디소프트에서 수행중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온라인 투표시스템(K-Voting),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시행 예정인 공동주택 전자투표 서비스 사업의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부분을 함께하고 있으며, 선관위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시스템 시범사업’에도 컨소시엄으로 참여하고 있다. 핸디소프트는 한국전자투표와 2021년까지 글로벌 시장에 전자투표 사업을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집중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진행했던 사업 진행 노하우와 안정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전자투표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공동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및 글로벌 파트너 확보, 해외 투자유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2828


32. 건강 챙기면 할인… ‘블록체인 보험’ 연내 나온다
건강데이터로 보험요율 산정.. 손보사와 공동 프로젝트 진행
데이터 제공땐 토큰으로 보상.. 사용자 기반 보험 확대 목표
http://www.fnnews.com/news/201809171641382301


33. 블록체인 도입 대기업 지난해 대비 11%p 증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고 있는 대기업이 지난해에 비해 11% 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상통화(암호화폐) 가격 하락으로 관련 시장은 침체돼 있지만 기업들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 도입과 상용화는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17일 블록체인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주니퍼 리서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주니퍼는 응답 기업 중 1만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대기업의 65%가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이미 적극 추진하고 있거나 고려 중이라고 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에서 54%를 기록한 것보다 11%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91709110400724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7월 26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블록체인 기반 배팅 플랫폼, '사망 조장' 배팅으로 비난 여론 일어
24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이더리움 메인넷에 기반한 배팅 플랫폼 어거가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버크셔 해서웨이의 CEO 워런 버핏의 죽음을 두고 내기를 하는 배팅을 벌여 국제 사회에 물의를 일으켰다. 비영리기관 포캐스트 재단(Forecast Foundation)이 개발한 어거는 이더리움 토큰으로 특정 사건에 대한 지분율을 구매하고 판매하는 방식으로 내기를 진행한다. 사건의 결과를 공인하는 '기자(reporter)'라는 역할이 존재하며 기자는 결과를 공인하는 데 일정 보수를 받기도 한다. 일반적인 토큰 대신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본 토큰인 이더를 매개로 진행된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3557


2.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 출시…공인인증서 사라지나
블록체인 기반 상용화된 전자계약 서비스의 출시 사례는 처음이라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스마트이컨트랙트 서비스는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필요로 하는 전자계약 서비스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암호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라면 별도의 관리자 개입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비대면 인증 전자계약 서비스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3559


3. 中 광견병 백신 기록 조작 스캔들…블록체인 해결책 되나
26일(현지시간) 사우쓰차이나 모닝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창셩 바이오테크놀로지가 유아용 광견병 백신 기록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료 및 보건 시스템 신뢰성 회복을 위해 블록체인을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29만 명의 웨이보 팔로워를 가진 중국 블록체인 업계 유명인사 리샤오라이(Li Xiaolai)는 블록체인이 의료계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의 글을 게재했다. 그는 "블록체인 솔루션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백신 공급체인 내 모든 데이터를 기록한다면, 현재 의약품 안전과 관련된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라고 서술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3552


4. 구글, 블록체인 투자 속도 낸다
23일(현지시간) 더버지 등 주요 IT외신들은 구글이 최근 블록체인 앱 개발툴 제공 업체 디지털 에셋(Digtal Asset), 블록앱(BlckApps)과 연이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구글 블로그에 따르면 구글 클라우드 사용자들은 즉시 디지털 에셋과 블록앱이 제공하는 분산 원장 기술(DLT)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올해 말께 블록체인 앱 개발에 하이퍼레저 패브릭과 이더리움 등 오픈소스 플록체인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6112458&type=det&re=zdk


5. 스페인 카탈루냐 자치정부, 공공 행정에 블록체인 도입한다
24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카탈루냐 자치정부는 "블록체인을 도입해 공공 분야 내 디지털 서비스를 개선하고 행정기관, 회사, 시민들 간에 블록체인의 잠재 가능성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카탈루냐 자치정부 소속 디지털 행정부는 올해 말까지 블록체인 기술을 모든 행정 서비스에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카탈루냐 자치정부는 부서별 실무진을 구성해 관련 지식을 교육하고 인재를 발굴해, 블록체인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영역을 파악할 계획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3550


6. 중국 연구보고서, “블록체인이 금융 서비스 개선시킬 수 있다”
연구 보고서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지불방식의 고효율, 저비용, 강한 유동성, 평등한 권리 등 기존 지불 방식보다 우세하다”라고 집필되어 있다. 또, “블록체인이 고액지불 시스템에도 효율, 투명성, 탄력 및 안정성을 가져온다”라고 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을 강조했다. 정보통신연구원은 보고서에 사모펀드, 증권, 은행 등에도 “공유 거래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고 하며 궁극적으로 “비용 최소화 및 거래 환경 조성”이 가능해진다고도 밝혔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7320


7. 블록체인 플랫폼 로커스체인, 아프리카 국가 정부 시스템에 도입 가시화
26일(현지시간) 다수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로커스체인의 사업 전반과 재단 업무를 맡고 있는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이 아프리카 동쪽 인도양에 위치한 해양국가 모리셔스의 'State Informatics Ltd(이하 SIL)'과 전자정부 시스템에 로커스체인을 도입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모리셔스는 아프리카 국가들 중 가장 안정된 경제구조를 지닌 나라 중 하나로, 관광과 금융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적극적인 개방과 지원책을 펼쳐 매년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SIL은 1989년 설립된 모리셔스의 국영 기업으로 통합 재무관리정보 시스템, 세금 관리 솔루션, 공공 부문 예산 책정, 투자관리 솔루션 등의 공공 재정관리 역할을 하고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3558


8. 트웰브쉽스, 2018 블록체인 엑스포 참가
이번 행사에는 트웰브쉽스와 같은 국내외 블록체인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일 예정이며, 부대행사로 블록체인 컨퍼런스, 스마트시티 체험, 채용박람회 등 다양한 이벤트가 준비돼 있다. 블록체인 컨퍼런스는 오전, 오후로 나눠 진행된다. 오전에는 국내외 연사들이 금융, 제조 및 유통, 공공, 사회문화 부문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올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발표하고, 오후에는 참가 기업들이 자사의 기술과 사업에 대해 발표할 계획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6155206&type=det&re=zdk


9. 식량과 농업 분야,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Hara Token’
HARA Token은 식량과 농업 분야에 특화된 글로벌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화된 거래 업체이고요. 농부들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저희는 그들에게 인센티브를 줍니다. 그리고 그 데이터들은 데이터 구매자들에 의해 사용이 되고 데이터 구매자들이라고 하면 은행, 보험회사, 그리고 농지에 관련된 데이터를 필요로하는 타 기업 업체 등등이 있고요.
http://www.mobiinside.com/kr/2018/07/26/icotoday-haratoken/


10. 아일랜드 의료지원 단체, 세계 최초로 출산의료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25일(현지시간) 포브스 보도에 따르면 아일랜드 의료지원 단체 '에이드테크(AID:Tech)'와 네덜란드 NGO 단체 '팜어세스(ParmAccess)'가 협력해 탄자니아에서 병약한 산모들의 출산과정을 도왔다. 두 회사는 의료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원활한 의료지원과 동시에 투명하게 데이터를 공유해 출산과정을 지원했다. 에이드테크는 2015년 12월, 시리아 난민을 상대로 최초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 자원봉사활동을 진행한 경험을 되살려 이번 의료지원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3554


11. 싱가포르 항공,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마일리지 지갑 출시
SIA가 발표한 새 디지털 지갑은 크리스플라이어(KrisFlyer)라는 자사 로열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비행 마일리지를 토큰화 하여 제휴사의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디지털 지갑의 명칭은 크리스페이(KrisPay)이며 최소 15 크리스페이 마일리지(약 83원)부터 사용 가능하다. 사용 범위는 뷰티, 식품, 주유, 소매이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진다. SIA 의 고쿤퐁(Goh Choon Phong) CEO는 “크리스플라이어의 고객들은 이 디지털 지갑을 통해 본인의 마일리지에 손쉽게 접근하여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SIA의 디지털 지갑에 대한 열정을 피력했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7299


12. “노는 PC·서버 자원 모아 컴퓨팅 파워 제공”…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등장
러시아의 블록체인 기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소늠(SONM)’이 한국에 진출한다.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유휴 PC 및 서버 자원을 자체의 봇을 이용해 찾아내고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 수요자에게 이를 제공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 업체는 자체 인프라를 가진 채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는 마켓 플레이스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때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된다. 또 컴퓨팅 파워를 사고 팔 때에는 소늠의 토큰(코인)을 이용하게 된다. 즉, 컴퓨팅 파워를 빌려주는 공급자는 그 대가로 코인을 받는 구조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1061


13. 암호화폐 거물 노보그라츠 “블록체인 산업은 이제 걸음마...한국은 중심지 중 하나”
블록체인 콘퍼런스 ‘비욘드 블록 서밋 서울(Beyond Blocks Summit Seoul)’ 기조 연설을 위해 방한한 노보그라츠 대표는 미국 포브스가 선정한 암호화폐 부호 10위(자산 가치 10억달러, 약 1조1300억원)에 오른 업계 유명 인사다.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파트너, 포트리스(Fortress Investment Group) 헤지 펀드 매니저를 거친 정통 금융맨이지만 일찌감치 암호화폐에 투자했을 정도로 유연한 사고방식을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5/2018072502594.html


14. 한·중·미 합작 블록체인 기술로 플랫폼 개발
해외 마케팅은 홍콩과 일본의 홍보 회사(Giromondo)가 담당한다. 한국 컨소시엄 정상훈, 서현준 공동대표는 “9월 중국에서 한, 미, 중, 일 공동으로 ‘플랫폼 개발과정과 플랫폼 명명식 발표’를 갖고 이 자리에서 한국의 기술력을 공개할 것”이라며 “계획과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기술진들에게 아낌없는 격려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본 컨소시엄에는 미국 굴지의 체육 마케팅 기업인 WPFH (World Poker Fund Holdings)사와 Picking Duck사가 참여했다. 특히 WPFH는 나스닥(OTC) 상장사로서 프로복싱 선수 플로이드 메이웨더(Floyd Mayweather Jr.)와 팝가수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가 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www.etnews.com/20180726000441


15. 지냄, 블록체인 전문가그룹 제너크립토와 블록체인 기술협약
블록체인 전문가 그룹 제너크립토는 게스트하우스 O2O(Online to Offline) 스타트업 지냄과 기술협약을 맺은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제너크립토는 금년 초 이더소셜 네트워크(ESN)라는 암호화폐를 성공적으로 런칭하였으며, 이 코인은 2018년 7월 Bit-Z 거래소에도 상장되었다. 이번 기술협약의 목적은 지냄의 게스트하우스 O2O 플랫폼에 제너크립토의 블록체인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블록체인 스타트업은 일반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먼저 진행하고, 이후 사업화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하지만 제너크립토와 지냄은 이번 기술협약을 통해 성급한 접근보다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기술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936


16. 한국 블록체인 컨퍼런스 후오비카니발에 ‘피블(PIBBLE)’ 참가
후오비 카니발은 후오비 코리아가 주최하고 블록노드커뮤니케이션즈에서 주관, 블록체인 산업을 리딩하면서 미래를 예측할 시각을 제시하며 심도있는 토론이 이뤄지는 한국 최대 규모의 블록체인 컨퍼런스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비트메인의 우지한(Jihan Wu) 대표의 발표뿐만 아니라 비트코인닷컴의 대표 로저버(Roger Ver)가 참석해 발표를 진행하기로해 눈길을 끈다. 이밖에도 비트칸 팡유(Fang Yu) 대표, 유니버셜랩스 케다체(Keda Che) 대표, 체인케비넷 홍상진 대표 등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연사와 패널로 참여한다. 이밖에도 후오비 카니발엔 아이오티체인(IoT Chain), 비트앵글(Bitangle) 등 약 50개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팀이 참여하고 강력한 네트워킹 타임을 제공 할 예정이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837420?cloc=rss|news|total_list


17. [신근영의 블록체인 알쓸신잡] 이제는 dApp에 투자할 때
오늘 행사를 보면서 느낀 것은 하루가 다르게 참가 업체들의 질적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 그리고 점점 꽤 괜찮은 프로젝트가 등장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업무 관계로 조금 늦게 가는 바람에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를 다 듣지는 못했지만, 소개 자료와 앞에 전시대 담당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전체 프로젝트의 내용 파악은 가능했습니다. 정리를 해보면 오늘 발표한 프로젝트의 절반 정도는 메인-넷을 표방하는 플랫폼 프로젝트이며, 나머지 절반 정도는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즉, dApp로 보입니다.
http://snacker.hankyung.com/worker/84869


18. DNA전문기업 마크로젠, 생명정보용 ‘컨소시엄 블록체인’ 만든다
국내외 병원·연구소·기업 등과 컨소시엄 구축 추진
해당 분야 국내 1위·세계 5위의 경쟁력 갖춰…업계 네트워크도 탄탄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신뢰도 높은 정보 유통할 수 있어”
“퍼블릭 블록체인보단 컨소시엄이 생명정보 다루는 데는 더 적합”
http://www.sedaily.com/NewsView/1S28HHTB8I


19. "보험도 어려운데 블록체인까지?"…인슈테크 스타트업 `직토` 가보니
지난해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킨 가상화폐를 필두로 인터넷뱅크, P2P대출까지 핀테크는 우리가 아는 모든 금융 시장을 아예 다른 모습으로 바꿔놓고 있다. 이제 더 이상 핀테크를 이해하지 못하면 똑똑한 재테크가 불가능하다. 이에 매경미디어그룹에서 핀테크 분야에 가장 도통한 3인의 기자(정지성·오찬종·김진솔 기자), 일명 핀벤저스(핀테크+어벤저스)가 뭉쳐 독자들에게 정확한 정보와 혜안을 전달하기 위한 핀테크 파헤치기에 나섰다.
http://vip.mk.co.kr/news/view/21/20/1617474.html


20. SGA솔루션즈, 8조4000억 성장 블록체인…수개월내 보안 기술 확보 ‘↑’
이 날 SGA솔루션즈는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의 연구개발자로 선정돼 개발 중이며 수개월 내 진보된 블록체인 보안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SGA솔루션즈는 이를 통해 가상화폐 거래소 등 블록체인 업계와 일반 기업 등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관련 보안 사업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45931


21. 회계법인 언스트앤영(EY), '암호화자산 과세 처리' 기술자산 획득
다국적 회계법인 언스트앤영(Ernst&Young)이 미국 개발업체 엘레베이티드 컨셔스니스(Elevated Consciousness)의 암호화폐 기술 자산을 인수했다고 25일(현지시간) CCN이 보도했다. 인수 자산에는 여러 암호화폐 지갑과 거래소를 연결해 거래내역과 잔고를 손쉽게 파악하는 '앤디 암호화 자산 세무회계(Andy CAAT)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3551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7월 12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김승주 교수 "블록체인, 만능기술은 아니다"
‘제8회 블록체인 테크비즈 컨퍼런스’서 강연..."긴호흡으로 봐야"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11180327&type=det&re=zdk


2. HTC, 블록체인폰 '엑소더스' 공개 테스트 돌입
눈에 띄는 점은 HTC가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기업 크립토키티(CryptoKitties)와 협력해 스마트폰에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s, NFT) 게임을 탑재하기로 했다는 점이다. 11일(현지시각) 중국 언론들에 따르면 HTC의 블록체인 책임자는 "HTC가 엑소더스를 통해 블록체인 자산 시장을 구축하려고 한다"며 "모든 개발자들이 HTC의 플랫폼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및 수집 체계와 NFT 콘텐츠 개발에 분발해주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12080753


3. 블록체인 스마트폰 ‘HTC 엑소더스’, 암호화폐 지갑‧크립토키티 지원
당시 HTC 바이브의 개발자이자 사업‧기업개발부 필 첸(Phil Chen) 수석은 이를 "최초의 블록체인 스마트폰"으로 소개하며, "중앙 권한 없이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보유할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번 주, 첸 수석은 계획을 정정하며 "올해 출시 예정인 엑소더스는 자체 암호화폐 지갑과 크립토키티 정도만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한편, "모바일 암호화폐 채굴 기능을 지원할 계획이 있으며, 여러 합의 포로토콜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또한, 올해 안에 프로젝트 관련 백서가 발행될 가능성도 언급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3388


4. IBM,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블록체인 행정 서비스' 개발
사우디 비전 2030 프로그램은 사우디 GDP의 30~40%에 해당하는 오일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경제 개발을 추진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사우디 내 인프라, 의료, 관광, 교육, 군수, 제조 산업의 발전을 목표로 한다. 정부 지원에 따라 리야드시는 IBM, 사우디 기술회사 엘름 컴퍼니(Elm Company)와 블록체인 도입 서비스 결정을 위한 워크숍을 계획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에 IBM이 참여하면서, IBM은 정부가 지원하는 공공 서비스에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최초의 기업이 됐다. 엘름 컴퍼니는 해당 기술을 본격적으로 서비스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https://tokenpost.kr/article-3387


5. 글로스퍼, 우즈베키스탄 ‘농산물 유통’에 블록체인 기술 제공 MOU 체결
글로스퍼와 Q’z TFQM(THE CENTER FOR SUPPORT OF BUSINESS AND FARMERS OF UZEBEKISTAN)은 우즈베키스탄 현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원산지 증명과 유통이력 확인 등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며, 해당 사업의 긴밀한 협력을 위해 MOU를 체결했다. 또한, 글로스퍼와 EPF(SMALL BUSINESS’ AND PRIVATE ENTREPRENEURSHIP’S EXPORT PROMOTION FUND)는 상호 협력을 도모하고, 블록체인기술을 도입하여 암호화폐와 지역화폐 등의 제반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http://www.itworld.co.kr/news/109995


6. “통신사 블록체인 산업 규모 2023년에 1조 원 넘을 것”
연구 보고서는 통신사들의 블록체인 산업 규모가 올해 526억 원에서 2023년에 1조 1200억 원으로  폭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보고서는 “통신사의 블록체인은 다양한 요소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늘어나는 보안 문제도 그 중 하나다”라며 블록체인 기술의 보편화와 함께 보안 관련 문제가 대두되면서 운영 책임자들이 이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조만간 올 것이라고 기술했다. 이어  “사용자 진위성에 대한 우려, 규제 상태의 불확실성 그리고 표준의 부재 등이 시장 성장을 저해한다”라고 언급하며 규제적 불확실성이 블록체인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832


7. 스페인 대표銀 산탄데르 “블록체인 연구팀 신설”
많은 금융기관이 신생기술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지만, 산탄데르 은행은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술 연구 및 실험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산탄데르 은행 부사장이자 기업 및 투자 부문의 글로벌 수석인 호세 리나레스(José M. Linares)는 “고객들은 자본시장에 더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더 나은 솔루션, 더 낮은 비용, 그리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기대한다”면서, 이에 “금융산업에서 일고 있는 디지털화의 물결이 거세지고 있다”고 전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3392


8. 애리조나 케어 네트워크, 솔브케어의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의료서비스 혁신
솔브케어는 의료서비스 전달과 수당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및 인지학습 기능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솔브케어의 플랫폼은 개인이 필요시 다른 개인에게 모든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분산원장 방식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해당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애리조나 케어 네트워크의 5,500명 이상의 의사와 25만명 이상의 환자 회원들에게 배부될 예정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3393


9. 롯데글로벌로지스, 블록체인 운송연합 가입
BiTA 상무이사인 크레이그 퓰러(Craig Fuller)는 롯데글로벌로지스의 가입을 통해 BiTA가 롯데의 물류 공급망 분야의 경험 자산을 배울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프레이트웨이브즈에 따르면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물류 업계의 쇄신을 위한 한 방편으로 고객들에게 스마트폰 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드론 배달 서비스 출시를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830


10. VR과 블록체인의 결합은 흥미로운 시도, 디센트럴랜드 엔드류 김 총괄
디센트럴랜드 앤드류 김 사업개발 총괄은 이번 행사에서 VR/AR &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토론 세션을 주도할 계획이다. 그는 오큘러스 코리아 이사, 중국 VR 플랫폼 87870 대표 등을 거쳤으며, 현재는 VR 플랫폼인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에 합류해 블록체인 기반의 VR 세상을 구축하고 있다.
http://it.donga.com/27931/


11. 바이터그룹, '2018 블록체인 엑스포' 참가…"벡터엑스 프로젝트 발표"
이철이 대표는 "정보의 인터넷 시대’를 넘어 ‘자산의 인터넷 시대’로 가고 있는 오늘날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이 될 블록체인 기술의 철학은 중앙통제가 아닌 분산 관리 및 투명한 정보 공유이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중이고 블록체인 기술은 기업-기업, 기업-소비자 간 거래에 매우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쳐 전 세계 경제 및 금융 시스템에 큰 변화를 야기할 것이며, 이로 인해 블록체인 관련 시장은 급진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http://www.coinreaders.com/1670


12. 더블록체인, 월렛 보안 시스템 “키퍼“ 선보이는 밋업 개최
코인어스는 디지털 자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앱 월렛이다. 기존 PC기반의 마이이더월렛의 단점을 보완했으며, HD월렛의 안정성과 APP의 편의성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월렛이다. 현재 이더리움 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곧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EOS 등도 오픈될 예정이다.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36493


13. 보건의료산업에서 블록체인기술 활용방안은?
최근 정밀·맞춤형 의료가 확대됨에 따라 많은 양의 정보 처리가 필요하고, 이에 따른 보안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한편 기관별로 분산돼 있는 건강·의료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 및 접근성을 위해 정보간 교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록의 보관·교환·발급 등에 소요되는 비용 상당 부분을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또한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참여자가 공동으로 정보를 검증·기록·보관함으로써 공인된 제3자 없이 거래기록의 신뢰성·보안성·효율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http://www.akomnews.com/?p=399723


14. 주한 인도 부대사 "인도, 가상화폐를 곧 법정화폐로 활용"
https://www.blockmedia.co.kr/news/article_view/?idx=2757&gCode=AB100


15. AI 엑스포서 ‘블록체인 + AI=데이로’ 공개 시선집중
델타&데이로, 2018 국제인공지능대전서 ‘프로젝트 델타’ 데이로 공개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8519


16. BeeNews, 미디어의 생태계를 재구성하는 메타그래프 체인 출시
BeeNews는 글로벌 사용자를 위한 아시아태평양 블록체인 미디어 및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블록체인 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이다. BeeNewsAPP은 사용자에게 다음의 네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3390


17. 블록체인 림포(Lympo) 광폭 행보... 큐바오(QBAO Network)와 파트너십 체결
https://www.blockmedia.co.kr/news/article_view/?idx=2753&gCode=AB100


18. [유럽 블록체인 현장] ⑧"IOTA는 사물인터넷 시대의 블루투스가 될 것"
유럽 대륙이 블록체인 바람으로 꿈틀대고 있다. 블록체인을 정치·경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각 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동력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유럽 각국의 행보는 가상화폐 가격 등락에 울고웃는 한·중·일 지역의 한탕주의 흐름이나 묻지마 투자 분위기와는 확연히 다르다. 새 기술 패러다임으로 ‘골디락스(Goldilocks·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 상황)’ 시대를 준비하는 유럽의 블록체인 혁신 현장을 소개한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12/2018071202601.html


19. 창작자 위한 블록체인 기업 Typerium, 두 건의 혁신 기술 특허 신청
Typerium은 분산 콘텐츠 제작 플랫폼,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일하고 사업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함으로써 창작자의 삶을 더욱 좋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신생업체다. Typerium은 직관적인 설계 소프트웨어에 지적재산 보호,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디지털 시장, 신뢰와 명성 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결제 게이트웨이, 자체 디지털 통화를 결합할 예정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12/0200000000AKR20180712137200009.HTML


20. 세계 블록체인 리더 한자리에… '블록페스타 2018' 22~23일 개최
컨퍼런스 첫날인 22일에는 각국의 암호화폐 규제동향, 둘째 날에는 블록체인 혁명과 비즈니스 기회를 주제로 강연한다. 발표세션은 △블록체인과 금융의 융합 △ 크라우드 펀딩의 새로운 모습 △ 규제와 생태계 구축 △ 한중일 포럼 △ 블록체인이 변화시키는 생활 유즈케이스 △ 머니타이징 유어 콘텐츠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의 결합  블록체인과 게임산업의 미래 등의 주제로 구성됐다.
http://www.mediapen.com/news/view/368552


21. 친환경 블록체인 프로젝트 ‘SEED’, 홈피 개편…바운티 프로그램 런칭도
이번 홈페이지 개편에서 중점적인 개선 방향은 8월 8일 퍼블릭 세일을 앞두고 각 사업 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투명한 정보 제공과 보다 빠른 소식 전달이다. SEED를 통해 개인이 탄소배출을 줄이는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인 파밍(farming) 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상 평균 수익률 ▲파종 기간 ▲파종 수량 ▲사업 진행 상황 ▲참여 파트너사 ▲공증과 계약 문건 등이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http://www.inter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2229


22.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슈퍼 컴퓨팅 플랫폼’ 개발 코넌 코리아, 디글로벌 홀딩스 업무협약
코넌 코리아가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술 기반 분산슈퍼컴퓨팅 플랫폼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많은 PC의 유휴 연산능력을 하나로 통합해 가상의 슈퍼컴퓨터를 구성하는 기술이다
http://www.incheo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315


23. '이코노미스트가 본 블록체인 미래산업' 27일 오픈클래스 개최
디센터 유니버시티 '블록체인 사이다' 강좌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블록체인 미래산업 소개
금융·물류·공공서비스·사회문화 등 4가지 영역 분석
‘사례로 풀어나가는 블록체인 기술’
http://www.sedaily.com/NewsView/1S221IPP3C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6월 15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블록체인 공급망 시스템 '아르당 노바트랙' 개발
해당 블록체인 솔루션 '아르당 노바트랙(Ardents NovaTrack)'은 파리에서 열린 '2018 비바테크(Viva Tech)'에서 소개됐다. 아르당 노바트랙은 제약 산업계의 위조 약품 확산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전체 공급망에서 상품을 확인 및 추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식별화 작업 등 여러 기술이 활용됐으며, 현재 고부가가치 산업에 도입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아르당의 창립자이자 CEO인 크리스토프 데빈스(Christophe Devi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공동 개발한 아르당 노바트랙은 블록체인 기반 식별 기술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3042


2. 블록체인과 보안 “속도가 곧 신뢰다”
김 CTO는 “모파스 블록체인 위에 보안과 방어, 보상 경제모형 등 다양한 유틸리티가 구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VPOS와 킬체인이 대표적인 예다. 킬체인의 경우 보안을 위한 활동으로 보상이 주어진다. 예컨대 해커에게는 해킹 공격정보를 제공받고 보안 프로그램 사용자에게는 관련 데이터를 받는다. 정보 제공 대가로 모파스 코인이나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더 많은 사용자가 참여할수록 보안이 강화되는 시스템이다.
http://www.venturesquare.net/764558


3. 블록체인, 日 의료 시장 바꿀 수 있을까
나카노 대표가 지적한 문제는 또 있다.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지 않는 한 의사가 환자의 호전 상태를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나카노 대표는 현재 의료 현장에서 일어나는 비효율에 주목, 남 AI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블록체인과 AI를 기반으로 한 의료데이터를 구축하는 것도 그 중 하나다. 남체인에 의료 정보를 올리고 조작이 불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의료 데이터 수집은 AI봇을 통해 보완하는 방식이다.
http://www.venturesquare.net/764552


4. 직토, 19일 美 스포츠 분야 블록체인 기업과 공동 밋업 개최
블록체인 기반 인슈어테크 스타트업 ‘직토(대표 김경태·서한석)’가 미국의 블록체인 기반 운동선수 지원 플랫폼 업체인 ‘글로바탤런트’와 공동 밋업 행사를 오는 19일 개최한다. 이번 밋업은 보험 및 스포츠 산업에서의 블록체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바탤런트는 전 세계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나 클럽에 토큰으로 투자할 수 있는 마켓 플레이스를 제공 중이다. FC바르셀로나의 루이스 수아레스, 세계 체스 챔피언인 안나 무지 쿠크, 우리나라 축구 국가대표 이승우 선수 등이 현재 지원 대상에 포함돼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3040


5.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투자 '크립토랩스' 탄생
크립토펀드는 전통 펀드와 달리 주로 블록체인 분야에 투자한다. 세계적으로 300곳 이상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블록체인과 ICO 스타트업에 전문으로 투자하는 크립토펀드(cryptofund)인 '크립토랩스'가 결성됐다. ​대표는 정상호 크로스체인테크놀로지 대표가 맡았다. 산하에 인큐베이팅그룹, 오프라인센터 운영 그룹, 펀드운영 그룹, ICO 그룹 등 4개 그룹을 두고 활동한다.
https://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615111224


6. 블록체인 세계로 향하는 첫 관문 ‘큐바오 네트워크’
네이든 썬 COO는 “비트코인이 정보 전달을 넘어 가치를 전달하는 기술로 인정받게 되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잠재성은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암호화폐 시장의 가치는 2020년에는 7조 5천억 달러에 이르고 암호화폐 개수도 만 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와 더불어 암호화폐 보유자는 너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울 정도”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보유자의 수는 2016년 약 1천9백만명에서 2017년 4분기에는 약 2천백만 명을 넘어섰다. 96% 이상 증가한 것.
http://www.venturesquare.net/764580


7. 중국 은행, 블록체인으로 신용 사기 막는다
쑤닝 은행이 개발한 블록체인은 블랙리스트 채무자들을 분산 네트워크상에 등록함으로써 다른 은행이 이를 통해 신용 사기를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관들은 이번 블록체인의 노드 역할을 하게 되며, 쑤닝 은행에 의해 공유된 블랙리스트에 접속하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쑤닝 은행은 작년 9월, 씨틱(CITIC)과 민셩(Minsheng)이 국내신용장에 이체내역을 기록할 목적으로 개발한 공용 블록체인에 참여한 바 있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030


8. "전자문서에 블록체인 접목은 당연"
"과거 전자문서 시스템 구축 초점은 먼저 사용한 종이의 데이터를 추출해 쓰는 시스템을 잘 만드는 거였다. 이제 처음부터 종이 없이 작성된 전자문서를 활용하는 형태로 바뀌는 추세다. 여기에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을 얹어 더 가치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박미경 한국전자문서산업협회장이 전자문서 시스템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시도가 단기간내 확산할 거란 관측을 내놨다. 종이문서의 디지털 버전쯤으로 여겼졌던 전자문서가 디지털 데이터 활용의 주요 기반으로 자리잡고 있어, 곧 새로운 시장이 열린다고 봤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615101556


9. 유니오 "하반기 내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출시"
유니풀 체인은 완전 개방형 오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 소프트웨어개발키트(SDK)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콘텐츠 생산과 소비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을 제공하고, 유저들에게 투표권을 주어 본인의 선호와 선택권을 표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니풀 체인은 합의 알고리즘으로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채택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형태로 운영되며 미리 권한을 지정 받은 노드들만 블록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616001357


10. [데일리 블록체인 동향] 글로스퍼 글로벌 진출 성공할까
러시아 코인으로 알려진 카르마(Karma) 코인은 최근 아시아 팀을 구성하여 아시아에서 적극적인 마케팅과 파트너십을 맺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로스퍼와 MOU를 맺는 등 적극적으로 한국 시장을 노리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최근 러시아 모스크바 해커톤 대회를 진행하는 등 해외에서 인정받은 카르마 코인은 최근 한국 빗코엑스 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다. 조지구그닝(George Goognin) 카르마코인 대표는 “해외에서 인정받고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카르마 코인의 아시아팀 구성으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생길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한 기대가 크다”며 “대한민국 1세대 블록체인 기업으로 알려진 글로스퍼와도 MOU를 맺고, 블록체인과 크립토경제의 긍정적인 방향의 선두주자로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736


11. 삼성, AI-전장 다음은 ‘블록체인’… 계열사 전력투구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벤처투자는 최근 블록체인 전문 기업 블로코에 국내 유수 VC들과 함께 총 95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블로코는 범용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구축, 블록체인 도입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지난해 블로코는 삼성SDS와 블록체인 관련 국내외 공동 사업추진 및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하고 제휴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31952


12. 영국 블록체인 에너지 플랫폼 기업 에너지마인 , 해외 거래소 코인베네 ·코인슈퍼 첫 동시 상장
‘코인베네’는 150여 개국 이상에서 사용되는 동남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플랫폼으로 거래량은 세계 19위 수준이며 현재 55여 종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한다. 일 평균 거래 금액은 약 1억1천 달러로(한화 1천190억원) 수준이다. 암호화폐 시황중계 사이트인 코인마켓캡(Coin Market Cap)에 따르면 ‘코인슈퍼’는 글로벌 톱 20 거래소 중 하나다. 지난 2월부터 전 세계 핀테크와 블록체인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코인슈퍼’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을 비롯 톱 10 코인들만이 거래 중이며, 그중에서 에너지토큰은 유일한 유틸리티 토큰이다.
http://www.ak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972


13. 대학도 에어비앤비처럼? …英옥스퍼드대, '블록체인 대학' 만든다
블록체인 이용한 국경 없는 대학…등록금 및 각종 행정 절차와 비용 간소화
출석·성적은 블록체인으로 위변조 위험 '제로'
EU에서 정식 학위 수여 인증 절차 추진 중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61511371308482


14. 스마트밸리, 창업 투자 시스템 블록체인 플랫폼화 ICO 소프트캡 달성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해서 필요한 투자자·개발자·전문가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최상의 환경에서 모아주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스마트밸리(smartvalley)가 최근 시작한 퍼블릭 ICO에서 이미 소프트캡을 달성했으며 앞으로 4주간 더 진행된다고 15일 밝혔다. 비즈니스 실현 플랫폼인 스마트밸리는 평가를 위한 △분산형 채점 시스템 △안전한 거래 메커니즘 △전문가 시장 △투자도구 등 4가지 핵심 기능을 제공해 생태계 구성원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http://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386


15. '포스트 이더리움' 이오스 가동…블록체인 속도경쟁 불붙나
이오스가 구동을 시작한 메인넷은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을 떠나 독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이더리움 같은 기존 플랫폼 블록체인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 생태계를 구축해 다양한 토큰 업체들을 유치할 수 있다. 토큰 상위 개념인 코인을 직접 발행해 일종의 기축통화 역할을 맡게 된다. 최근 2년간 이더리움은 특유의 개방성 덕분에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강력한 플랫폼으로 위상을 떨쳤다. 국내에서도 이더리움 기반 토큰 서비스만 100여개에 달할 정도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이어 전세계에서 가장 비싼 암호화폐로 발돋움했다.
http://news1.kr/articles/?3346298


16. 경북도, 블록체인 연구개발 집중... 포스텍 국비 29억원 확보
블록체인은 분산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로 탈 중앙성, 보안성, 안정성 등 특징이 있어 연결․융합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포스텍 인터블록체인 연구센터는 ▶다른 기종 블록체인 네트워크간 상호운용 기술개발 ▶자동차 의료 등 특정 영역에서의 블록체인 플렛폼 도출 ▶보험ᆞ자동차, 보험ᆞ의료 등 서로 다른 영역에서 블록체인 플렛폼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도출 등을 연구 개발한다. 
http://www.deconom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73


17. 금 거래 플랫폼사, 노보그라츠로부터 164억원 펀딩 받아
여기서 거래될 로얄민트골드(RMG)는 영국 조폐국에 저장된 금의 암호화폐 버전이다. 즉 로얄민트골드 소지가 실제 금 보유와 동일한 의미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편 갤럭시디지털은 억만장자 투자가인 마이크 노보그라츠가 세운 암호화폐 전문은행으로,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기업이다. 갤럭시디지털은 이오스(EOS) 블록체인에 전폭적 지지를 보낸 것으로 유명하다. 지난 1월 갤럭시디지털은 이오스 개발사인 블록원과 파트너십을 맺고 이오스 생태계 개발을 위해 3억2,500만 달러(약 3,560억원)를 투자한 바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3043


18. 블록체인 프로젝트 기프토, 스타트업의 리버스 ICO 전략 발표
세계 첫 리버스 ICO 사례이자 실제 상용화를 시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기프토(GTO)’의 박동휘 총괄은 14일 서울 마포구 서울창업허브에서 열린 10회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GSC)의 기조연설을 통해 스타트업 업계를 위한 “스타트업의 리버스 ICO전략”에 대해 공유했다고 15일 밝혔다. 기프토는 모든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탈중앙화 통합 가상선물 프로토콜이자 지난 2017년 12월 14일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 런치패드 서비스 론칭의 첫 프로젝트로 선정되며 세계 첫 리버스 ICO이자 2017년 아시아에서 최단기간 공매완료를 기록한 암호화폐(가상화폐)이다.
http://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393


19. "해운·물류 넘어 모든 공급·유통망 블록체인에 담겠다"
앤디 리안 린피니티 싱가포르 지사 CEO
블록체인, IoT, 빅데이터 기반 유통·공급망 관리 플랫폼 린피니티
대만·싱가포르 기업 6곳과 MOU 체결… "투자금 충분, ICO할 필요 없어"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61511303044287


20. “누구나 기여한 만큼 돈 번다”∙∙∙토큰 경제가 온다
지금 수출입과정에서 서류 교환에만 10일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거래계약 △신용장(letter of credit) 개설 신청 △신용장 개설•송부 △신용장 도착 통지 △보험 가입 △선적 △화물 운송 △환어음 발행 후 매입 신청 △환어음 및 선적 서류 송부 △선적 서류 도착 통지•수입 대금 결제 및 물품 반출 등의 수많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현재는 이 과정에서 가짜 허위 증명서가 만들어지고 무역사기가 발생한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모든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 위에서 보험회사, 수출업체, 은행, 운송회사, 수입업체 등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처리가 순식간에 이뤄지게 된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379459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