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7월 13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블록체인과 공공서비스가 만난다' 외국 정부 사례
전세계 많은 정부가 건강 기록, 투표, 세금, 복지 수당부터 시민 및 디지털 통화까지 모든 것에 대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분산 원장에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면 어떨지를 자세히 조사하고 있다. 그중에는 이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시작한 정부들도 있다.
http://www.ciokorea.com/news/38904


2. 바이낸스, '블록체인 섬' 몰타에 블록체인 은행 설립한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바이낸스가 몰타에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규 은행 설립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바이낸스는 다른 주요 투자자와 함께 은행 지분의 5%를 보유하게 되며, 해당 은행의 가치를 1억3,300만 유로(한화 약 1,700억원)로 내다봤다. 프로젝트의 세부적인 사항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바이낸스는 ICO 형식으로 은행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할 것으로 보인다. 블록체인 기반 주식 모금 플랫폼 뉴펀드(NeuFund)에서 투자금을 유치하고, 투자자는 법적 승인을 받은 주식형 토큰을 보유하게 된다.
https://tokenpost.kr/article-3399


3. 현대페이, O2O·스마트홈 등 블록체인 신사업 확장 나서
현대페이는 O2O 플랫폼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합해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월렛(전자지갑)'과 연동한 POS(판매시점정보관리) 등의 서비스를 구현해, 암호화폐 이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블록체인 기술을 일상에서 체험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홈 사업은 블록체인 기술과 월패드를 연동해 전기‧수도‧난방 등의 에너지 사용 정보를 편리하게 관리하고, 사용한 만큼 관리비를 지불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관리비 내역 조작 방지와 IoT 기기 간 보안 강화 서비스도 제공한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3403


4. 까르띠에 모회사 리치몬트, 블록체인으로 다이아몬드 공급망 관리
런던정경대학교(LSE)의 경제학자 진케유(Jin Keyu) 교수는 지난 12일 열린 콘퍼런스 강연에서 리치몬트가 암시장에서 유통되는 보석을 통제하는 데 블록체인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 교수는 지난해 리치몬트의 사외이사로 임명된 바 있다. “까르띠에를 소유한 리치몬트는 다이아몬드와 여러 보석, 금 등의 원산지를 광산과 재활용 공장 단위로 정밀하게 추적하고 관리하는 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우리가 판매하는 모든 시계에도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진품임을 증명하게 될 수 있으면 좋겠다.”
https://www.coindeskkorea.com/%EA%B9%8C%EB%A5%B4%EB%9D%A0%EC%97%90-%EB%AA%A8%ED%9A%8C%EC%82%AC-%EB%A6%AC%EC%B9%98%EB%AA%AC%ED%8A%B8-%EB%B8%94%EB%A1%9D%EC%B2%B4%EC%9D%B8%EC%9C%BC%EB%A1%9C-%EB%8B%A4%EC%9D%B4%EC%95%84%EB%AA%AC/


5. 이세돌 9단, 바둑 ‘블록체인’ 프로젝트 ‘고블록’ 준비중
블록체인 기술을 바둑에 적용하고자 프로기사 이세돌 9단이 하이브리드 멀티월렛 코인어스와 협력해 블록체인 프로젝트 ‘고블록(Goblock)’을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고블록'으로 이름 붙여진 이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바둑 교육, 바둑 저변 확대, 바둑 기보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분산화된 프로/아마추어 바둑 리그를 만들 예정이다. 또한 바둑 생태계에 토큰 이코노미를 적용시키는 프로젝트다.
http://www.itworld.co.kr/news/110020


6. 정부 "블록체인 등 신성장기술 투자 세액공제 확대"
특히 고 차관은 혁신성장의 모멘텀이 될 '국가 투자 프로젝트'를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미래 지향성, 일자리 창출력,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관계부처와 선정작업반을 구성해 우선 추진과제를 발굴할 방침이다. 이어 고 차관은 미·중 통상마찰과 관련해 "통상갈등 확산으로 중국 경기둔화와 세계교역 위축 등이 현실화되는 경우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최대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3407


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영 기관 투명성 위한 블록체인 특허 출원
공개된 특허 신청 자료에 따르면, 특허는 올해 1월 10일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공영 기관 정보 교환 관리 장치 및 시스템”라는 이름으로 출원되었다. 해당 기술은 다수의 서버에 의해 운영되며 공영 기관들의 모든 재정 기록을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기술은 공영 기관의 투명성 및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이 될 것이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903


8. 바이두, 블록체인 '사진 저작권 보호' 서비스 개시
중국 검색 포털 기업 바이두가 블록체인 기반 사진 저작권 보호 서비스인 '토템(totem, 중국어명 투텅)' 운영을 개시했다. '픽 체인(PIC-CHAIN)' 플랫폼이라고 명명된 토템 서비스는 블록체인 기술에 뿌리를 뒀다. 사진 즉 이미지의 판권 정보를 영원히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블록체인의 공신력과 복제 및 개조 불가성에 바이두의 인공지능(AI) 사진 식별 기술을 결합시켰다는 점이 핵심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13022229


9. 리야트 시티, 정부 서비스에 블록체인 통합 한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주도인 리야드는 IBM과 파트너십을 맺고 정부 서비스와 블록체인 거래를 촉진한다. 제휴 조건에 따라 초기 블록체인 기술 발동기 IBM은 블록체인에 시민 및 거주자에 대한 정부의 거래와 상업 서비스를 연결하기위한 구현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지방자치 단체의 기술 파트너와 함께 작동한다. 시 행정부는 IBM과 엘름은 주요 정부 부처 및 사립 및 준 정부 부문과 더 많은 워크샵을 통해 블록체인으로 변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한다.
http://www.dcoinnews.net/%EB%A6%AC%EC%95%BC%ED%8A%B8-%EC%8B%9C%ED%8B%B0-%EC%A0%95%EB%B6%80-%EC%84%9C%EB%B9%84%EC%8A%A4%EC%97%90-%EB%B8%94%EB%A1%9D%EC%B2%B4%EC%9D%B8-%ED%86%B5%ED%95%A9-%ED%95%9C%EB%8B%A4/


10. 중국은행업협회, 블록체인 및 신기술 적용 가속화
중국은행업협회는 금융기술의 혁신을 통해 온오프라인을 일체화하여 새 형태의 업무를 간편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 등의 신기술과 금융산업의 융합을 도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차세대 금융업을 위한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고 금융 및 과학기술 관련 자회사를 설립하여 각 분야 간의 소통망을 효율화하면 상호발전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점차 온라인상으로 고객을 확장하고, 상품과 경로를 단순화함으로써 은행업을 신 세대에 맞춰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875


11. 블록체인이 헬스케어와 보험을 만났다... 메디블록, 보험청구 시스템 속도낸다
https://www.blockmedia.co.kr/news/article_view/?idx=2790&gCode=AB100


12. 한국블록체인협회 "제1차 자율규제 심사 결과 12개 거래소 통과"
협회 자율규제위원회는 자율규제를 바탕으로 일반 부문, 보안성 부문을 구분해 지난 5월부터 제1차 자율규제심사를 진행해 왔다. 제1차 자율규제심사는 여러 회원사들 가운데 자체적으로 심사준비가 된 12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했다. 이 심사는 일반심사와 보안성 심사, 투트랙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일반심사에서는 재무정보 체계, 거래소 이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제공 체계, 거래소 이용자에 대한 투자 정보제공 체계, 민원관리 시스템 체계, 이용자 자산 보호 체계, 거래소 윤리 체계, 자금세탁방지 체계 등의 항목을 다뤘다.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36541


13. 한국블록체인협회, ‘UN 미래포럼 한국 대표’ 영입
한국블록체인협회에서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한국지부 대표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한국블록체인협회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박영숙 대표는 유엔미래포럼의 한국지부 대표를 역임했으며,  2010년 유엔미래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AI기술이 미래기술이다”는 입장을 밝혔던 바 있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6885


14. 블록체인 DIPNET 지원 회사, 과학기술인재 배양 기지 설립
산업 블록체인 DIPNET 기술 지원 회사인 통정 과학 기술 CEO 완샤오옌(万晓燕)과 산업 블록체인 DIPNET 재단 이사 싱먀오(邢淼), 중국 정법 대학 주효무(朱晓武)교수가 참석해 본 회의에서 발표를 진행했다. 중국 정법 대학 주효무 교수는 금융 발전의 몇 단계와 금융학의 미시적 체계를 먼저 천명하고, 최초의 재정 금융부터 화폐 금융까지 미래 금융의 추세를 제시하였다. 또한 ‘금융 4.0 : 통정 금융’ 블록체인과 미래 금융의 발전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여 암호 화폐 권익 증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http://www.etnews.com/20180713000260


15. 세종사이버대, 교육부 K-MOOC 사업 선정 4차 산업혁명 ‘블록체인’ 강좌
세종사이버대의 블록체인 강좌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교양과목 알기 쉬운 블록체인 ▲전공기초과목 블록체인의 원리 ▲블록체인과 정보보호 ▲전공심화 과목 블록체인 응용과 실습으로 이뤄졌다. 이번 강의는 사이버대학교가 최초로 참여하는 건으로 세종사이버대의 우수함이 증명됐다. 블록체인 강의는 약 27만 9,000명의 K-MOOC 회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블록체인 강좌는 올해 하반기부터 K-무크 누리집에서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다.
http://vip.mk.co.kr/news/view/21/20/1614043.html


16. 블록체인 기반 전력 거래소 일렉트리파이, 동북아 진출 위해 방한
동북아 시장의 핵심으로 한국이 떠오르고 있다. 특히 미국과 북한의 대화가 이어지면서 한국과 러시아, 중국, 북한, 일본을 아우르는 거대 마켓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21세기 핵심 자원인 전력 거래가 이뤄질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유럽은 EU국가 간 전력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경제체계를 갖춘 바 있다. 독일과 영국이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통해 생산한 전기를 이탈리아가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하는 방식이다. 싱가포르에서 전력 매매 마켓을 운영중인 일렉트리파이(Electrify)가 동북아 시장 공략을 위한 거점으로 한국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517


17. 친환경 블록체인 ‘SEED’, 바운티 프로그램 통해 Airdrop 증정
SEED 공식 홈페이지 가입 등을 통한 ‘회원등록 바운티 이벤트’는 공식 SNS를 팔로우 하고, ‘좋아요’를 누름으로써 보상을 받을 수 있다. ‘SNS 바운티 이벤트’는 SEED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고 많은 보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 바운티 이벤트’는 블로그 및 해외 커뮤니티에 포스팅을 하고 보상을 받으며, ‘포스팅 바운티 이벤트’도 준비돼 있다. 바운티 프로그램에 대한 신청 및 상세정보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http://www.etnews.com/20180713000118


18. 엔체인, 비트코인캐시 관련 특허 취득
해당 특허들은 비트코인캐시(BCH)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디지털 권리 강화’를 핵심으로 한다. 엔체인의 발표에 따르면 첫 번째 특허의 명칭은 “분산 해시 테이블(Distributed hash table)과 P2P 분산 원장을 이용해 디지털 자산의 완전성을 다양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다. 나머지 두 특허는 모두 “분산 해시 테이블(Distributed hash table)과 P2P 분산 원장을 이용해 디지털 자산의 오너십을 다양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6877


19. Ruff Chain, 블록체인 기술 통해 분산형 태양광(PV) 발전소의 자산관리와 금융 증권화 실현
분산된 발전소는 회사 혹은 가정에 무료 전력을 제공해주는 대안책이다. PV발전소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 내에서도 재생가능에너지법으로 인해 활발히 증설되고 있는 기대주다. 그러나 아직 PV 발전소는 여유 마력을 위한 자급과 계통 연계형 모델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들어 확대되는 PV 시장과 재생가능에너지를 위한 국고보조금 덕분에 중국은 PV 발전소 설치를 장려하고 있는 추세다. PV 발전소의 발전혜택은 거래를 위해 금융 자금화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업 모델의 변화 중에 PV 발전소의 투명성과 데이터 일관성은 보장되어야 한다. 이는 PV 발전소에서 자기자본을 구매한 소비자들이 실시간 발전 데이터에 접근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ttp://www.seconomy.kr/view.php?ud=201807131621234728e30a2c087c_2


20. 더블록체인, 디지털 광고 블록체인 프로토콜 기업 ‘루시디티’와 파트너십 체결
더블록체인은 현재 안드로이드 및 iOS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코인어스 지갑(CoinUs Wallet)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지갑에서 다양한 암호화폐 및 토큰을 보관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코인어스는 최우선적으로 ETH 및 ERC20 토큰을 지원하고 있으며 추후에 BTC, Stellar, LTC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국내 최초 EOS 지갑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코인어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루시디티는 사이드 체인, 플라즈마,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공용 블록체인을 확장하는 레이어 2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데이터 불일치와 광고 사기와 같은 고질적인 광고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확장·실현 가능한 개방형 프로토콜이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713010007889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6월 04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바이두 에너지 절약형 블록체인 “슈퍼 체인” 개발
그는 “이번 기술은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개발자 생태를 수용할 수 있고, 인식 메커니즘을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에너지 소모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라며 “바이두가 이 슈퍼 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업무를 블록체인에 올리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관련 블록체인 종목에 대한 저작권 보호 역시 이미 완성됐음을 전했다. 바이두는 2018년 1월 블록체인 오픈 플랫폼 BaaS(BlockChain as a Service)인 “바이두 Trust”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자체 개발된 기술로서 자산 증권화, 자산 거래소의 역할, 심지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거래소의 자산 증권화 업무 등에서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5903


2. 바이낸스, 10억 달러 규모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펀드 조성 계획
바이낸스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직접기금 이외에도 모태펀드(Fund of Funds) 조성을 위해 20개의 펀드를 찾고 있다. 각 펀드는 1억달러 이상의 규모여야 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바이낸스가 자체 암호화폐인 ‘BNB 토큰’으로 투자를 진행한다는 점이다. 한편, 바이낸스의 첫 투자 대상은 펀시티(Funcity)의 CEO인 천 웨이싱(Chen Weixing)이 최근 발표한 블록체인 기반 택시 예약 애플리케이션이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지난 주 중국 구이저우에서 열린 빅데이터 박람회에서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5896


3. 측정하면 토큰을…블록체인 스마트체중계
아스테라가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체중계 아스테라(Astera)를 발표했다. 아스테라는 심박수와 몸무게, 체온, 혈압, 체지방량, BMI지수, 골격근량, 심전도 등 8가지 생체 데이터를 측정해 토큰으로 보상해주는 탈중앙 플랫폼이다. 의료기관이나 연구소, 보험사 등 생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관은 이 플랫폼을 통해 중개 수수료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http://www.venturesquare.net/764151


4. 블록체인과 스타트업의 미래를 엿보다
로저 버 비트코인닷컴 대표가 필두에 선다. 비트코인이 등장했을 무렵 암호화폐에 집중한 로저 버 대표는 암호화폐가 기본 화폐 시스템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탈중앙화, 검열 없는 자유로운 거래시스템이 빚어낼 분산경제는 어떤 모습일까. 지난해 투기 자본으로 가려진 블록체인의 본질, 2018 GSC in HUB 첫 번째 키노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www.venturesquare.net/764069


5. 삭제 불가능한 블록체인, 개인정보 보호할 수 있을까
블록체인이 유럽연합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이라는 복병을 만났다. 등록된 정보의 삭제가 불가능한 블록체인과 개인정보의 삭제권을 보장한 GDPR이 충돌하기 때문이다. GDPR 시행 첫날 구글과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무더기로 제소됐고 LA타임스와 시카고트리뷴 등 GDPR 기준을 맞추지 못한 일부 미국 언론사들은 유럽 내 접속을 차단했다. 이런 혼란도 블록체인 업계가 받은 충격과는 비교하기 어렵다.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806041355001&code=920501


6. 네덜란드, 부동산 관리에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
네덜란드의 토지등기부가 국가 부동산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1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토지등기부의 사업설계 담당자 코은 하이스테데(Koen Huisstede)는 "블록체인 기술을 부동산 업계에 어떻게 적용할지 이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블록체인 솔루션이 1~3년 안에 부동산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도입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토지등기부는 소유권 감시, 저당권 등 부동산 시장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기관의 역할을 더 유연하고 기민하게 수행하기 위해 기술‧법률‧관리 측면에서 블록체인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2910


7. 美 경제연구소 "양자컴퓨터, 블록체인에 위협 안 돼"
세계적인 양자 물리학자이자 해당 분야의 권위자인 가빈 브레넌 박사의 논문은 '양자컴퓨터가 해싱파워를 중앙화하여 블록체인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지, 블록체인의 암호화 키를 해체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논문은 우선 퀀텀기술의 이론적 기대와 현재 기술 수준에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박사는 "현재 양자컴퓨터 기술은 블록체인을 조작하거나 암호화 키를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짧은 시간 안에 암호화 키를 분해할 수 있을 만큼 높은 게이트 속도를 갖추지 못했다"고 서술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2916


8. 中 알리바바 설립 인슈어테크사, 의료보험에 블록체인 활용
종안 온라인테크부 담당자 첸 웨이(Chen Wei)는 중국 보험산업 내 블록체인의 중대한 역할을 강조하며, 종안테크가 종안 온라인의 보험정책 데이터 관리에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는 "보험은 통계로 이뤄지며 블록체인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위험성과 비용소모를 줄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2915


9. IoT 위한 블록체인과 서비스 중심 네트워킹의 조합··· '블록클라우드'
연구진은 웹 사이트에 게시한 백서를 통해 스마트 헬스케어, 자율 운전 차량, 드론 및 기타 센서 기반의 기술이 수익화의 “꿈”을 현실화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빈약한 연결성, 떨어지는 확장성, 신뢰의 부재와 깨진 보안”을 지적했다. 이들은 블록체인은 미래의 거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기반 네트워크가 따라가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우선 에지 컴퓨팅 없이 중앙화에 의해 주도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는 견고한 기반을 제공하지 못한다. 연구진이 제안한 해결책은 SCN과 블록체인의 혼합이다. 일부에서 제안한 SCN, 또는 블록체인만 사용하는 방법보다 더 낫다는 주장이다.
http://www.ciokorea.com/news/38459


10. 후오비-키움, 투자 펀드 파트너십 발표… 한-중 블록체인 기업 양성한다
거래량 기준으로 세계 최대 거래소 중 하나인 후오비(Huobi)가 국내 키움증권의 키움 인베스트먼트, 그리고 중국의 뉴마진 캐피털(NewMargin Capital)과 함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만들어진 약 1,000억 원 상당의 ‘한중펀드’는 한국과 중국 내 블록체인 관련 기업에 투자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된 한중펀드 참여기업은 키움증권 외에도 기업은행, KDB산업은행, 미래에셋 등이 직간접적으로 투자했다. 한중펀드의 중국 측 투자 참여자인 뉴마진 캐피털은 약 1조 5천억 원 상당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대형 투자기업으로 알려져있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5890


11. 함샤우트-젠가K, ‘제1회 글로벌 블록체인 점프-스타트 밋업 인 싱가포르’ 개최
소개 프로젝트로는 ▲탈중앙화 경제를 위한 AI 블록체인 ‘AI Crypto’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빅데이터 플랫폼 ‘알파콘’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i크라우드코인’ ▲증강현실과 블록체인 시스템을 융합한 신개념 전자거래 및 채굴 시스템 ’NiX BLOCK PROJECT’ ▲ 수익형 환경 캠페인 ‘SEED’ ▲블록체인 기반 라이브 네트워킹 뮤직 플랫폼 ‘WeSing Coin’ 등 이다.
http://www.mobiinside.com/kr/2018/06/04/press-hahmshout/


12. 삼성SDS, AI·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금융 플랫폼 '넥스파이낸스' 공개
디지털아이덴티티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분증이고, 금융컨시어지는 AI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금융 자산 관리 서비스다. AI 가상비서와 보험금 자동청구는 금융기관 업무를 자동화해 고객에게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넥스파이낸스는 새로운 IT 기술과 다양한 외부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이다. 금융기관이 급변하는 금융 IT 환경에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주고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위변조 방지, 공동 인증 기술을 적용해 최고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한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04/2018060401971.html


13. UAE 아부다비항, 블록체인 수출입 솔루션 '실살(Silsal)' 도입
블록체인 솔루션 ‘실살(Silsal)'은 아랍어로 ‘체인’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아부다비에 도입된 최초의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서류작업 축소, 소요시간 단축, 실시간 화물추적 등 전반적인 무역 효율을 개선한다. 해당 솔루션은 실시간 정보 교환으로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간격을 좁히고, 문서작업과 실제 방문의 필요성을 대폭 줄였다. 블록체인 상에서 선하증권, 운송장 등 중요한 운송서류들을 암호화해 관리함으로써, 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막타 게이트웨이의 CEO 누라 알 다헤리(Noura Al Dhaheri) 박사는 "실살 플랫폼은 무역산업이 디지털화되는 과정의 중요한 기점으로, 이를 통해 업계가 안전하게 통합된 블록체인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전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2919


14. '온난화와 산림 파괴 막는다'··· 탄소 배출권과 블록체인의 접목
블록체인(blockchain)은 비트코인을 유지하는 전자 원장 기술(electronic ledger technology)이다. 과거에는 환경 오염 및 에너지 소비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됐지만, 현재는 지구 온난화와 산림 파괴에 맞서기 위한 기술로도 급부상하고 있다.
http://www.ciokorea.com/news/38467


15. 글로벌 블록체인 밋업, 5일 싱가포르서 첫 개최... 업계거물 대거 참여 
이날 소개되는 프로젝트는 ▲탈중앙화 경제를 위한 AI 블록체인 ‘AI Crypto’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빅데이터 플랫폼 ‘알파콘’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i크라우드코인’ ▲증강현실과 블록체인 시스템을 융합한 신개념 전자거래 및 채굴 시스템 ’NiX BLOCK PROJECT’ ▲ 수익형 환경 캠페인 ‘SEED’ ▲블록체인 기반 라이브 네트워킹 뮤직 플랫폼 ‘WeSing Coin’ 등이다.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352


16. KISA-NH농협은행, 핀테크·블록체인 신규 서비스 개발대회 개최
특히, 널앤서팀(블록체인 기반 유언증명 및 유산 분배관리 서비스)과 FintechGo팀(인공지능 기반 소상공인 대출금리 산출 서비스)은 참신한 아이디어와 기술완성도 측면에서 주목 받아 최우수상에 선정됐다. 우수상으로는 ▲JKS Company팀(농작물 생육정보와 연동한 농사펀드 서비스) ▲우리돼지뭐먹었니팀(축산물 사료 이력 조회 서비스) ▲Brint팀(비문인식을 통한 반려동물 인증 및 보험 연계 서비스) ▲NH Little Forest팀(SNS게시물 업로드를 통한 리워드 제공 서비스) 등 4팀이 선정됐다.
http://ddaily.co.kr/news/article.html?no=169469


17. KT, 소규모 전력중개사업 진출...블록체인·AI 기반 시스템 개발
KT(회장 황창규)가 전기사업법 개정에 따라 신설된 소규모 전력중개사업 진출을 위해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기술을 결집한 ‘전력중개사업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다. 전력중개사업은 중개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 전기자동차 등에서 생산하거나 저장돼 있는 1㎿ 이하의 전기를 모아 전력시장에서 거래를 대행하는 사업으로 KT는 지난 2016년 전력중개 시범사업자로 선정돼 소규모 발전사업자들과 함께 전력중개사업 시스템 개발을 진행해왔다.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6321


18. 이더랩 "7일 블록체인 코리아 컨퍼런스 마감 임박" 발표
'재커리 팰런(Zachary Fallon)' 전 SEC 의원·'이고르 알타모노브(Igor Artamonov)' 이더리움클래식 코어 개발자 등 글로벌 연사들도 직접 방문, 블록체인의 세계적 현황에 대해 말한다. 이더랩 김경수 소장은 “그 동안 블록체인 관련 컨퍼런스들은 비즈니스 또는 기술 중심었다” 며 “이번 컨퍼런스는 정책적 측면과 거시 산업적 측면까지 다루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어 “덕분에 학계와 정책 입안자들에게 참가 신청 문의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의를 이더랩과 공동 주관하고 있는 GBIC 측은 “다양한 외국 연사들이 국제적 시각에서 블록체인에 대해 말하기 때문에 외국인 신청자도 꽤 있다”고 알렸다.
http://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836


19. 공정위, OECD경쟁위 정기회의 참석…블록체인·리니언시 논의
블록체인 기술 확산에 따른 시장 환경 변화와 예상되는 경쟁·규제 이슈를 발굴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제 카르텔 사건 증가에 따라 리니언시(자진신고 감면제도)의 국제 조화와 경쟁 당국 간 협력 강화 방안 등도 논의 테이블에 오른다. '기업결합 심사 때 비가격 효과 고려 방안', '전자상거래 분야 경쟁정책' 등 경쟁법 주제도 주요 의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6/04/0200000000AKR20180604033400002.HTML


20. 마스터카드, 블록체인 기술 이용한 쿠폰 진위여부 판별 특허 신청
해당 기술은 쿠폰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함으로써 승인된 사용자만 쿠폰을 현금으로 바꾸거나 현금 대신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해당 데이터의 기록 조작이 불가능하게 만든다. 하지만 실제 이번에 출원된 특허를 통해 정확히 어떤 서비스가 제공될지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마스터카드는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이미 도입했으며,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은 신원 도용 방지 등 이미 다른 특허출원에서 나타났다. 최근 마스터카드가 몇 개월간 블록체인 관련 개발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www.ak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438


21. MS의 깃허브 인수 추진, 블록체인 패권 선점 '신호탄'
특히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의 집약체라 불릴 정도로 수만건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깃허브를 통해 알려지고 있다. 지난 1년간 깃허브를 통해 공개된 블록체인 기술만 8만여건에 달한다. 결국 MS의 이번 깃허브 인수 추진은 블록체인 등 신기술 주도권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오픈소스 플랫폼을 통째로 인수해, 깃허브의 구성원인 오픈소스 개발자들까지도 모두 MS의 영향력 아래에 두겠다는 것이다.
http://news1.kr/articles/?3335303


22. '아이콘' 기반 블록체인카지노 나온다…임요한도 참여
'메카카지노'는 '아이콘'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카지노 프로그램이 블록체인으로 구성돼 원천적으로 조작이 불가능한 구조다. 또 자체토큰인 '메카코인'이 일종의 카지노칩 역할을 맡는다. 유명 프로게이머인 임요한 선수도 '메카카지노' 개발팀에 어드바이저(조언자) 형태로 참여하기로 했다. 단 메카코인은 미투온이 직접 발행하지 않고, 영국의 협력사인 크립토메카가 발행 및 유통을 담당하며 일반인 자금모집(ICO) 대신 해외 프라이빗 펀딩 및 해외 대형 거래사이트를 통한 유통(IEO)에 나설 계획이다.
http://news1.kr/articles/?3335769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3월 26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대한블록체인조정협회(가칭) 지난 23일 출범
이사장에는 박기훈 유앤에프솔루션 대표가 추대됐다. 인사말에서 박기훈 이사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다양한 혁신적 기술이 금융뿐만 아니라 산업과 사회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고 있다"며 "이러한 혁신적 기술 중 블록체인은 국가와 산업에서 미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1965


2. "게임이 블록체인 킬러 앱 될 수 있다"
코드박스는 게임 아이템 거래에 최적화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크립토키티를 통해 입증된 것 처럼 게임이 블록체인 위에 올라가면 아이템 거래나 교환이 주는 재미가 극대화될 것으로 봤다. 또 게임 산업의 고질적 문제인 '아이템 거래 사기'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ttps://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326023307


3. 말레이시아 은행 9곳, 블록체인 개발 위해 협력 중
부총재는 “각국의 많은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 가능한 활용 사례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프로젝트에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면서 “말레이시아의 9개 은행 또한 금융 거래를 위한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함께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1962


4. 두나무, 블록체인 산업 육성에 3년간 1000억 투자
투자 형태는 인수합병(M&A)이나 지분 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블록체인 산업 핵심 기술, 응용 서비스, 데이터, AI(인공지능), 핀테크 등 블록체인과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미래 기술이 대상이다. 이를 위해 두나무는 자회사인 두나무앤파트너스(가칭)를 설립하고, 대표이사에 맥킨지, 소프트뱅크, 티몬을 거친 이강준 두나무 CIO(최고투자책임자)를 내정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1955


5. CREDITS 블록체인 플랫폼 알파버전, 거래 속도 신기록 달성
CREDITS 플랫폼의 알파버전은 지난 2월에 예정보다 일찍 출시됐다. ICO는 2월 17일 17시간 만에 하드캡 $20,000,000를 달성했다. 3월에는 KuCoin, Tidex, IDEX, Gate.io, DDEX 등 5개 거래소에 CREDITS (CS) 토큰이 상장됐다. 현재 CREDITS 팀은 CREDITS 플랫폼 베타버전을 작업 중이다. 베타버전은 이달이 끝나기 전에 출시될 예정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26/0200000000AKR20180326070600009.HTML


6. 바이낸스 거래소, 블록체인 섬 '몰타'로 자리 옮겨
이번 바이낸스 본사에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분야에 매우 옹호적이고 친화적인 정책을 실시하는 몰타 정부의 의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몰타정부는 올해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산업을 활성화하는 기관 설립하고,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법률 재정을 실시하는 등 관련 산업의 성장을 적극 도모하고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1966


7. 美 테네시 주, 블록체인 및 스마트 계약에 관한 법률 승인
법안은 "전자 거래를 시행하는 데 있어 블록체인의 활용 및 스마트 계약에 미치는 법의 효력을 인정한다. 이는 블록체인으로 보호되는 특정 정보의 저작권 보호를 포함한다"라고 명시하며 스마트 계약이 법적 효력이 있음을 인정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1970


8. “아프리카 빈곤 퇴치 위한 블록체인 금융 플랫폼”
코라네트워크가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금융 서비스를 아프리카 등 전 세계 빈곤 지역에 보급하기 위한 프로젝트 설명회를 개최한다. 코라네트워크는 뉴욕에서 설립된 기업. 오는 2030년까지 지구상 모든 이들에게 디지털 신원을 제공하려는 UN 2030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실현을 위해 민간과 공공 부문이 구성한 컨소시엄인 ID2020 존 엣지(John Edge) 회장이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다.
http://www.venturesquare.net/761250


9. 中 공업신식화부, '블록체인 표준 향상' 2018년 주요 의제로 선정
중국 공업신식화부의 발표는 블록체인 개발을 한 차원 더 빠른 페이스로 촉진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담고 있다. 중국 정부의 블록체인 개발 의지는 이달 진행된 2개의 중국 최대 정치회의에서 크게 화두가 된 바 있다. 또한 이번 의제 선정은 중국 내 주요 인터넷 기업들이 호주 시찰을 통해 블록체인 표준화 분야에서 선두주자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호주의 지식과 경험을 배우겠다는 의지를 포함하고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1961


10. “핀테크·블록체인 인재, 라인으로 모십니다”
라인플러스는 지난 3월15일, ‘핀테크/파이낸셜 분야 경력사원 공개채용’ 공고를 내고, 올해 대규모 인재 채용의 문을 열었다. 채용된 이들은 올해 1월 공식 발표한 금융 자회사 ‘라인파이낸셜’호의 첫 선원으로 승선한다. 모집 분야도 다양하다. 핀테크 웹서비스와 웹앱부터 서버 개발, 모바일 클라이언트와 가상화폐 거래소 관련 기술 개발까지 금융과 기술의 접점을 아우른다. 직군도 기획과 개발, 품질관리(QA), UI/UX 설계까지 전 부문에 걸쳐 있다.
https://www.bloter.net/archives/305814


11. 경기도, '공유기업 발굴·육성' 블록체인 기업 모집
경기도는 이 같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공유기업 발굴·육성 사업에 블록체인 스타트업이 적극 참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공개 오디션을 통해 최종 선발된 스타트업은 ▲기업 역량강화 프로그램 ▲사업화 자금 지원 ▲투자유치 프로그램 등 경쟁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https://tokenpost.kr/article-1963


12. 보안 강화 위한 블록체인 도입사례 살펴보니
생체인증, 전자서명 간편 로그인, IoT 인증, 융합보안 등에 블록체인 적용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7828


13. FT "中 작년 가장 많은 블록체인 특허 출원, 전체 중 절반 이상"
톰슨 로이터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406개 블록체인 관련 애플리케이션(앱) 특허 출원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이뤄졌다. 중국은 지난해 225건 블록체인 특허를 출원했으며 미국 91건, 호주 13건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http://www.etnews.com/20180326000127


14. 토큰포스트, 암호화폐·블록체인 국민인식 설문조사 실시…참여자에 10 TPC 지급
반면에 토큰포스트가 실시하는 이번 설문조사는 암호화폐 투자뿐 아니라 그 기반 기술이 되는 블록체인에 대한 내용도 다루고 있어, 암호화폐 시장과 블록체인 분야에 대한 폭넓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암호화폐 파생상품과 암호화폐 채굴, 암호화폐공개(ICO), 유사수신 피해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전망이다. 토큰포스트는 이번 조사 결과를 정리·분석해 기사와 리포트로 제공할 예정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1976


15. 비대면 결제 확대하는 한림대병원,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앞으로 한림대 의료기관에서 발급하는 제증명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안에 전자문서로 저장된다. 변경 사항이 있을 시 5개 한림대 의료원 내 정보가 동시에 업데이트된다. 민감한 정보인 개인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이를 모바일 결제 서비스와 연동하면 고객은 스마트폰으로 제증명서를 발급받는다. 한림대병원은 이미 지난해부터 카카오톡 기반 카카오청구서 등 모바일 결제·수납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달 기준 환자 3000명 이상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했다.
http://www.etnews.com/20180326000233


16. 블록체인이 ‘볼빨간사춘기’에게 10배 음원수익 줄까
국내에서도 블록체인 음원 플랫폼 도입 소식이 이어진다. SK텔레콤은 올해 초 음원 시장 재진출을 발표하며 오는 6월 블록체인 기반 음원 서비스의 프로토 타입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게임업체 와이디온라인 역시 올해 4분기 블록체인 기술과 인공지능(AI)가 결합된 음원 플랫폼을 내놓는다고 지난 20일 발표했다. 블록체인 전문업체 글로스퍼도 재미컴퍼니와 손잡고 올해 중순 출시를 목표로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7102


17. 블록체인 시대 살아가려면 암호화 방식 이해는 필수
대칭키 암호화 방식이 문제를 해결하며 보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공개키(public key) 암호화 방식이다. 어떤 하나의 주체에게 키의 쌍(key pair), 즉 공개키 하나, 개인키(private key) 하나가 부여된다. 공개키는 모든 다른 주체에게 공개되지만 개인키는 철저하게 비공개돼야 한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191555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