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9월 04일 AR, VR, MR 관련 뉴스


1. 프릭엔, VR 방송 솔루션 기업 살린과 가상현실 방송 시작
아프리카TV 자회사 프릭엔은 가상현실(VR) 방송 솔루션 개발업체 '살린'과 VR 콘텐츠 공동 기획·제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VR 콘텐츠 서비스 확장을 위한 VR 콘텐츠를 공동으로 기획·제작한다. VR 콘텐츠 전문 BJ 발굴 및 육성, VR 영상 콘텐츠 공동 마케팅 등 업무도 상호 협조할 계획이다. 주요 장르는 여행, 스포츠, 게임 등으로 다양하다. 프릭엔과 아프리카TV BJ들과 함께 VR 영상에 적합한 콘텐츠를 공동 기획해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http://www.etnews.com/20180904000243


2. 한샘, 가상현실로 리모델링 체험 가능한 모델하우스 서비스
한샘이 실내 리모델링을 가상으로 체험해볼 수 있는 가상현실 모델하우스 서비스를 PC와 모바일에서 제공한다. 한샘은 가구부터 건자재까지 하나의 콘셉트로 연출한 리모델링 패키지 4종을 가상으로 체험해볼 수 있는 온라인 가상현실 모델하우스 서비스를 온라인과 모바일에서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한샘리하우스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한샘리하우스는 한샘의 집 리모델링 브랜드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94906


3. 나라소프트,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사업' 2회 연속 선정
소프트웨어 전문개발업체 ㈜나라소프트가 문화체육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사업'을 2회 연속 낙찰 받았다.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사업'은 2017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이 체육 활동이 취약한 초등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기회 확대 및 건강한 미래사회 주역으로서의 성장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보급 사업의 일환이다. 최근 미세먼지와 지구온난화 등 기상 악화로 실내 체육활동의 필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 발 맞춘 움직임이다. 
http://sports.chosun.com/news/news.htm?id=201809040100032900002414&ServiceDate=20180904


4. SKT “현실·가상세계 동시 만나는 ‘AR 글라스’ 잡아라”
ㆍ미디어기술원에서 연구·개발 중…구글·애플 이어 국내 기업들 박차
ㆍ3차원 센서·동공 추적 기술 필요
ㆍ“AR 글라스가 스마트폰 제칠 것”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809042136025&code=930301


5. '2018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가상현실, 장애의 '벽'을 허물다
"우리 아이가 11살인데 지적 수준은 2살이다. 최근 유튜브를 많이 하는데 게임도 거침없이 해내더라. 이것을 보면서 e스포츠나 온라인의 가상현실이 현실 세계보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벽이 크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더케이 서울 호텔에서 열린 '2018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격려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넷마블문화재단과 국립특수교육원,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공동 주최하는 '2018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은 자라나는 청소년 장애학생들의 건전한 게임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게임을 활용해 정보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마련됐다.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318679


6. SK텔레콤, '코리아 VR 페스티벌 2018' 참가
행사는 5일부터 9일까지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열린다. 통신, 게임, 의료, 군사, 교육 등 국내외 여러 분야 기업이 참가해 VR 핵심 기술과 콘텐츠를 전시한다. SK텔레콤은 다양한 체험 콘텐츠를 준비했다. △5GX VR 스카이다이빙 △5GX VR 은행 보안관 △5GX VR 고공탈출 등이다. 5GX VR 스카이다이빙은 VR 기기와 와이어 장비를 활용해 실제 낙하산을 타는 듯한 경험을 선사한다. 5GX VR 은행보안관은 가상 공간에서 은행 강도를 잡는 콘텐츠다. 5GX VR 고공탈출은 고층 빌딩에서 로봇 침입자를 무찌르는 동시에 시한폭탄을 제거하고 탈출하는 내용이다.
http://www.etnews.com/20180904000110


7. 덱스터 스튜디오, VR Toon '살려주세요' 스팀(Steam) 정식 출시
VR TOON [살려주세요]는 네이버 인기 호러 웹툰인 ‘DEY 호러채널’ 중 ‘살려주세요’ 에피소드를 VR콘텐츠로는 최초로 VR TOON이라는 새로운 포맷을 시도하여 제작한 작품이다. 총 2편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이번 작품은 컨트롤러를 이용해 마치 웹툰을 보듯이 페이지를 넘기며 관람하는 방식으로, 유저가 독자이면서 동시에 가상현실 속 주인공이 되어 스토리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https://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48883


8. 눈을 사로잡아라···스마트폰 다음은 AR 글래스다
증강현실(AR) 글래스가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포화상태에 이른 스마트폰 시장을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구글을 비롯해 LG전자와 SK텔레콤 등 국내외 IT기업들이 AR 글래스 개발을 진행 중이다. AR 글래스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안경을 뜻한다.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809041427001&code=920501


9. 하이볼잔과 바이브 트랙커의 만남 'VR 바' 시뮬레이터 등장
한 음료 회사가 블라인드 테스트를 했다. A사, B사 음료를 가져다 준 뒤 사람들에게 마셔 보라고 했다. 결과는 A사의 압승. 두번째 테스트는 로고를 가리는 것이었다. 놀랍게도 이번엔 A사와 B사가 팽팽하게 대립했다. 이번엔 아예 안대를 쓰고 눈을 가린다음에 마셔 보라고 했다. 결과는 B사가 압승했다. 항간에는 또 이런 소문도 돈다. 눈을 가리고 콜라와 사이다를 마시면 두 음료를 구분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인간이 눈으로 보고 맛을 예상하며 그것이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557


10. 착수워크숍서 만난 교육 전문가 2인 “2018 삼성스마트스쿨이 기대되는 이유”
지적장애아 특수학교인 꽃동네학교를 대표해 워크숍에 참석한 정선순씨는 “다소 막연했던 교육 계획이 두 전문가 덕에 한층 선명해졌다”며 “임직원 멘토에게서 (디지털) 기술 방면의 도움을 받았다면 오늘은 교육 방법에 대해 구체적 조언을 구할 수 있어 유익했다”고 말했다. 이도형(베어베터)씨는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 우리 회사가 고용하는 발달장애우들의 직무 훈련을 진행하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삼성스마트스쿨에 지원했다”며 “오늘 전문가 튜터들과 면담을 하고 나니 실행 측면에서 자신감이 붙었다”고 말했다.
https://news.samsung.com/kr/%EC%B0%A9%EC%88%98%EC%9B%8C%ED%81%AC%EC%88%8D%EC%84%9C-%EB%A7%8C%EB%82%9C-%EA%B5%90%EC%9C%A1-%EC%A0%84%EB%AC%B8%EA%B0%80-2%EC%9D%B8-2018-%EC%82%BC%EC%84%B1%EC%8A%A4%EB%A7%88%ED%8A%B8%EC%8A%A4


11. ‘관람객 스포츠융복합산업 매력에 빠지다!’ 2018 대구과학축전 지역 기업 9개사 참가
대구TP 스포츠산업센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스포츠 과학체험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 접목된 스포츠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체험부터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스포츠 체험교육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다채롭게 준비했다. 먼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레포츠 제험존'에는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스크린 승마와 스마트바이크, 어린이와 노인을 위한 스크린파크골프, 아이들이 가정에서 흥미를 가지고 쉽게 접할 수 있는 VR낚시게임과 VR댄싱게임, 증강현실 기반의 코딩패키지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http://www.deconom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799


12. KT, 5G 오픈랩 개소…“세계 최초 5G 상용화 반드시 성공”
KT는 4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 5G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5G 오픈랩’을 개소했다. 5G 오픈랩은 협력업체와 함께 5G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협업하는 공간으로, 인프라 및 가상화 기술을 개발하는 인프라 존,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등 5G 실감형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개발하는 미디어 존, IoT(사물인터넷)와 관련한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마트-X 존으로 구성됐다.
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1809041405003&sec_id=561101


13. 롯데아웃렛 구리점, 700평 규모 어린이 테마파크 연다
오는 7일 문을 여는 플레이티카는 영업면적 약 2300㎡(700평)으로, 3세부터 13세까지 출입할 수 있다. 11여개의 디지털 스포츠 놀이기구 및 휴식공간으로 이루어졌으며, 입장료는 아동 2만원, 동반 보호자는 5000원이다. 플레이티카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키즈 인터렉티브존’, 가상현실(VR) 영상·디지털 영상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존’,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스포츠존’, 미로와 짚라인을 체험할 수 있는 ‘펀존’으로 이루어졌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03/2018090302980.html


14. 롯데홈쇼핑 "관심상품, AR로 가상 배치해보세요"
실제 배치 공간 길이 확인 가능한 사이즈 측정 기능 적용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04181031


15. 코리아텍, 초등학교 대상 '4차 산업 체험교육' 실시
LINC+사업단은 5일 청룡초, 7일 직산초, 10일 일봉초, 12일 성성초, 14일 병천초, 18일 목천초, 21일 안서초, 10월5일 삼은초를 각각 방문해 100~150명의 4~6학년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의 강연 및 체험부스'를 운영한다. 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의 이해 ▲VR(가상현실) 콘텐츠 체험(화재 안전교육) ▲드론 시뮬레이션 및 드론 조종 체험 ▲3D 프린터 및 3D 펜 체험 등이다. 코리아텍의 체험교육 프로그램은 지난해부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청소년 교육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운영을 이어왔다. LINC+사업단 이규만 단장은 "행사는 미래의 주역인 초등학생 대상으로 공학인재 양성의 메카인 코리아텍의 자원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 기술 체험교육"이라며 "공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창업 마인드를 제고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569


16. 이에스에이, 통영시에 ‘한국판 유니버설스튜디오’ 설립 추진한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에스에이는 최근 통영 내에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국제테마파크 설립을 위한 부지를 확보하고, 대규모 테마파크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스에이는 ‘동양의 나폴리’라고 불리며 사계절 각광받는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는 통영에 자사가 보유한 콘텐츠와 기술력을 응집해 엔터테인먼트에 특화된 테마파크를 세운다는 계획이다. 매년 통영을 찾는 관광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에스에이의 테마파크 건립 프로젝트가 완성될 경우, 자연스레 통영을 방문하는 유입인구와 관광객이 증가하며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59769


17. 울산시, 엔코아네트웍스 등 7개社… 올해 글로벌 스타벤처기업에 선정
노바테크는 사물인터넷(IoT) 기술 기반 ‘소각로 안전점검 시스템’과 ‘자가발전형 설비관리 예지보전센서’ 연구개발 등 관련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조선소 근로자 안전교육 가상현실(VR) 콘텐츠를 독자 개발해 현대중공업에 안전체험 교육장을 구축하는 등 창업 초기 기업이지만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양수금속은 건물 내진설계 분야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내진설계 프로그램(TUTUM)은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자동 배치부터 계산서 일괄 산출까지 복잡한 설계 과정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402941


18. 유니티 엔진 기반 기대작 쏟아진다
모바일ㆍ콘솔ㆍVR 등 다양한 플랫폼 통해 '마비노기 모바일' 등 신작 출시 앞둬
http://www.the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639


19. KT, 자카르타 ‘5G 홍보관’ 아시안게임 중 1만 명 방문
KT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 기간에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GBK) 경기장에서 운영한 5세대(G) 이동통신 홍보관에 1만 명 이상이 방문했다고 4일 밝혔다. KT는 국내 통신사로는 유일하게 홍보관을 마련해 가상현실(VR) 배드민턴, 프리뷰, 옴니뷰 등 차세대 이동통신 5G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를 선보였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90401032003000002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7월 10일 AR, VR, MR 관련 뉴스


1. 가상현실을 이용해 죽음을 준비한다
‘AR MEMORIAL DAY’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크게 2가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이미지 인식 & 업로드’ 기능은 고인과의 추억이 담긴 장소나 물건을 스마트폰으로 인식시키면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VR, 사진, 영상 등의 AR 콘텐츠가 증강된다. ‘After-Message’는 사전 장례 서비스의 일종으로 가족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사진, 영상 등을 남겨진 사람들에게 시간에 맞춰 전송하는 기능이다. 이 서비스는 사회적 관습보다 개인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추모 문화의 변화에 발맞춰 추모 방식에 VR·AR 기술을 활용했다. 특히 ‘AR MEMORIAL DAY’는 게임이나 교육 콘텐츠에 편중된 VR‧AR 산업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했다는 데 좋은 평가를 받았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1160


2. 울산시,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산업콘텐츠 육성과 기업성장 지원 사업 본격 추진
‘디지털 산업콘텐츠진흥센터’는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VR·AR 산업콘텐츠 개발로 신산업 발굴에 앞장서며 조선업 불황에 따른 대체산업 역량을 키워 미래 산업 간의 시너지 효과 창출 및 4차 산업혁명 주도를 목적으로 추진된다. 디지털 산업콘텐츠진흥센터는 콘텐츠 관련 기업의 영업활동을 지원하는 센터사무실과 기업 및 시민들이 콘텐츠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협업공간 UCC(Ulsan Contents Coworkplace)로 구성됐다.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7522


3. 롯데월드 어드벤처, 테마파크형 VR 개발로 VR 산업 이끈다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10일 29주년 개원기념일을 이틀 앞두고 테마파크형 가상현실(VR) 어트랙션(놀이기구)을 개발, 도입해 VR 산업을 이끌어 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롯데월드 어드벤처는 국내 VR 산업 발전을 위해 'VR스페이스' 오픈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계한 'VR테마파크' 정부과제를 수행하는 등 VR 산업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왔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10/0200000000AKR20180710076300030.HTML


4. 스크린스포츠, 정부 정책에 탄력 전망
기록향상 스포츠, 스포테인먼트 등의 시장 수요가 다양해지고, 글로벌 기업들이 스포츠산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가상현실(VR)기술을 적용해 기존 스포츠 경기를 실내에서 즐기는 체감형 스포츠가 증가하고 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야구, 축구와 같은 실제 스포츠를 미세먼지와 같은 기상요인에 제한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암벽등반과 행글라이딩 등 직접 참여하기 쉽지 않은 익스트림 스포츠까지 등장하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http://www.etnews.com/20180709000074


5. 광주역 청년 역전 스타트업 밸리로 도시재생 추진
사업비는 국비 250억원과 지방비 250억원(민자포함) 등 500억원이다. 조성 공간은 광주역 주차장과 역사 안 등 49만5000㎡ 규모다. 창업 지원시설은 컨테이너 박스를 5개 정도 쌓아 가변형으로도 조성한다.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등 첨단문화산업 체험공간과 창업지원 거점공간 조성, 청년 스타트업을 양성하는 스테이션지(G), 도시재생 창업은행, 사회혁신 플랫폼 등이 들어간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52692.html


6. AR·VR 유망벤처 발굴 코리아에셋 투자설명회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벤처기업들이 투자자에게 사업모델을 설명할 기회를 가졌다.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은 지난 8일 벤처기업과 투자자를 연결하는 피칭데이를 개최했다. 투자조합의 출자자인 성장금융과 한국모태펀드를 비롯해 향후 AR·VR 업체 투자를 고려하는 예비투자자들이 참여했다.
http://vip.mk.co.kr/news/view/21/20/1613174.html


7. 구글 스토어 여름맞이 세일 "픽셀 2 XL·구글 홈·크롬캐스트 장만할 기회"
구글 픽셀 스마트폰에 이어, 다른 최신 구글 제품을 더 저렴하게 사려면 지금이 기회다. 7월 17일까지 픽셀, 크롬캐스트, 구글 홈 스피커가 모두 할인에 들어간다. 구글의 최신 스마트폰 픽셀 2XL은 64GB, 128GB 모두 가격을 100달러 인하한다. 모든 면에서 뛰어난 성능으로 PCWorld의 에디터 초이스에 선정된 픽셀 XL은 카메라 성능과 구글의 AI 기술을 효율적으로 결합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또, 가상 현실의 세계를 탐험할 수 있는 2세대 데이드림 뷰 헤드셋이 99달러에서 50% 할인된 4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http://www.itworld.co.kr/news/109965


8. KT, 3배 좋아진 고화질 영상통화 서비스 시작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는 고화질 영상을 화질 손상 없이 작은 용량으로 전달할 수 있는 영상 전송 기술이다. 기존 코덱 대비 2배 높은 압축률로 품질 손상 없이 작은 용량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기존 대비 최대 3배 이상 품질이 좋아질 전망이다. KT는 이번 코덱 적용을 5세대(G) 통신 상용망에도 적용하여 5G 기반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고화질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10/2018071000708.html


9. 전국 최대 안전체험관, 울산서 9월 개관
지진 체험실에서는 지진을 강도별로 느끼고 여진이나 추가 붕괴 우려 등에 대비한 단계별 지진 체험이 가능한 다양한 시설을 갖출 예정이다. 원자력 체험실에는 특수 영상을 활용해 원전사고 발생을 가정, 가상현실(VR)을 구현하는 시설을 마련한다. 산업안전 체험실에는 각종 폭발·화재·가스누출 등의 산업안전사고를 연출하고 어떻게 예방할지 체험하는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71001071327108001


10. 대구 · 경기 시흥에 2022년까지 스마트시티 만든다
정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공모에서 대구와 경기 시흥은 각각 도시문제 해결형 비즈니스 창출형 과제에 선정됐다. 공모에는 전국 24개 지자체가 참여해 12대 1의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선정된 두 도시는 동원 가능한 첨단 기술을 모두 적용해 사고·범죄 대응, 미세먼지 등 환경이슈, 노인복지, 에너지 등 직면한 문제를 풀어낸다는 계획이다. 특히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미래산업 실증도 추진한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71002109931650005


11. BMW그룹, 8시리즈 쿠페 생산 최신 디지털 기술 녹인다
또 딩골핑 공장 노동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해 신체와 맞닿은 모바일 컴퓨터에 의해 조립 작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가령 작업자 주의가 필요한 공정인 경우 시계 진동 알림 등을 통해 주의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조립라인 투입 전에 가상현실(VR)로 미리 생산과정을 예습할 수도 있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10/2018071003588.html


12. 스크린스포츠 열기 고조...싱크로율 얼마나 높은가
스크린스포츠는 가상현실(VR)에 이어 증강현실(AR)과 인공지능(AI) 기술까지 동원, 현실감을 높여나가고 있다. 처음에는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재미요소가 강했던 스크린스포츠가 정보통신기술(ICT)의 힘을 빌어 점점 실제 스포츠와 유사하게 발전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물론 가장 먼저 등장해 가장 많은 발전을 거듭해 온 스크린골프도 필드에서와 동일한 만족감이나 운동효과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http://www.etnews.com/20180709000071


13. 올 상반기 다양한 변화 시도 의료기기 정책
이와 더불어 하반기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첨단의료기기들의 병원 진출 문제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식약처는 상반기에 AI(인공지능)와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및 체외진단의료기기 등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의료기기들의 신속한 시장 진입을 위한 인허가 가이드라인 등을 발표했다.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2370


14.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전담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 4명과 신경과·영상의학과·재활의학과·핵의학과 의료진이 다학제팀을 구성해 치매 전단계와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노인 우울증·수면장애, 파킨슨병 등 치매관련 질환의 진단·예방·치료를 한다. 접수창구와 진료실, 인기기능·임상심리·수면다원 검사실, 운동·인지요법실, 뇌자극치료실, 가상현실 체험실 등을 1층에 배치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S214RUZWE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6월 13일 자율주행차 관련 뉴스


1. "AI나 자율주행이나 중국, 이미 한국 앞섰다"
'CES 아시아' 현장서 퍼진 한국 산업의 위기 징후?
13일부터 3일간 中 상하이서 차세대 소비전자기술 '대향연'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65218


2. "자율주행 천국 북한?"…경협수혜 기업·업종은
현대그룹 '선도 역할' 자임, 롯데·효성 등도 수혜 기대감
건설·화학·철강 등 '시너지' 가능…전자·IT는 '중장기 전략' 추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6/12/0200000000AKR20180612154100003.HTML


3. 울산시, 자율주행차와 소통하는 ‘스마트 도로’ 구축
이예로, 오토밸리로, 산업로 등 32㎞ 구간…12월 완료
차량과 도로인프라가 소통하는 똑똑한 미래형 도로
http://www.sedaily.com/NewsView/1S0SJRL1FC


4. 폭스바겐그룹, "미래를 바꾸겠다" 선언
 독일 폭스바겐그룹이 이른바 연결성(Connectivity), 자율주행(Autonomous), 공유(Sharing), 전동화(Electrification)로 표현되는 케이스(CASE) 전략에 집중, 폭스바겐그룹을 제조사가 아닌 종합 모빌리티(Mobility) 기업으로 바꾸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제조업을 통해 다양한 이동 수단을 만들고, 이동이 필요한 사람 또는 사물을 위해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체질을 바꾸겠다는 뜻이다.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nkey=201806130734111


5. 기아차, 中 텐센트와 협업한 차량 인포테인먼트 첫선
기아자동차[000270]가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와 손잡고 중국 시장에 특화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선보였다. 기아차는 13일 중국 상하이 신국제박람중심에서 개막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박람회 'CES ASIA 2018'에 참가해 텐센트 QQ뮤직과 함께 개발한 중국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공개했다. 기아차가 선보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텐센트 QQ뮤직을 기본 탑재해 차량 탑승자에게 음성인식을 통한 음악 스트리밍과 시나리오 음성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6/13/0200000000AKR20180613060700003.HTML


6. 차세대 교통, IT·통신·자동차 합종연횡
IT 중심 시장에 판도변화 움직임
이통사·완성차 업체도 기술 경쟁
제주 이어 서울도 C-ITS 추진
컨소시엄 구성으로 주도권 싸움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61402100151753001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5월 30일 AR, VR, MR 관련 뉴스


1. 가상의 움직임을 현실로, '리얼감 건틀렛'
경기콘텐츠진흥원(이하 경콘진)이 운영하고 있는 'NRP(Next Reality Partners)'는 이러한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VR/AR 진흥 프로그램이다. NRP는 선발 기업에게 6개월간 제공하는 맞춤형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으로, 성장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을 발굴해 해외시장 진출부터 후속 투자까지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팀 선발' -> '시드 R&D 자금 제공' -> '티칭섹션 및 멘토링' -> '데모데이 개최'로 진행되는 육성 과정 동안 사무 공간과 법률 상담, 멘토링, 비즈니스 교육 등도 제공한다. 특히, NRP는 경기도, 경콘진과 같은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구글(Google)과 HTC 바이브(Vive), KT 등 국내외 기술 및 플랫폼 미디어 기업과 벤처캐피털 등 총 32개 사가 참여하고 있다.
http://it.donga.com/27788/


2. 가상현실 따라 몸 움직이니 재활·교정 치료 효과가 쑥쑥
가상현실 치료의 효과는 강력한 몰입감에서 나온다. 시각을 장악해 치료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인간이 받아들이는 감각 정보의 70%는 눈을 통해 들어온다. 가천대 길병원 재활의학과 이주강 교수는 "눈을 완벽하게 속이면 뇌는 가상현실을 현실이라고 착각한다"고 말했다. 덮개형 디스플레이로 시야 전체를 가상현실로 채우면 가상현실 속 영상이 신체 움직임에 반응해 1인칭 시점으로 펼쳐진다. 여기에 청각·촉각·후각적 요소를 추가하면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현실이 아닌데도 그 상황에 놓여 있는 것처럼 느낀다.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241676


3. “수술 훈련 VR솔루션으로 의료시장에 깃발 꽂겠다”
게임업계에서 주로 언급되는 가상현실(VR) 기술을 의료업계으로 끌어들인 국내 헬스케어 기업이 있다. 서지컬마인드(Surgical mind)는 국내 최초로 VR 기술로 정교한 백내장 수술 훈련이 가능한 솔루션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다. 전문의는 숙련도를 높이고 레지던트와 의과대학생들은 수술을 경험할 수 있다. 수술 훈련 솔루션 범위는 향후 이비인후과, 성형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재활치료, 정신과치료에 도움되는 VR 콘텐츠도 개발 중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30170807&type=det&re==


4. 'VR 체험·미술품 감상·글램핑'…중소호텔은 무한 변신중
야놀자는 또 VR플랫폼 개발사 GPM과 손잡고 4∼5월 호텔야자 홍대점 프런트 앞 대기공간에 VR 기기를 설치해 체험 이벤트를 진행했다. 7월부터 H에비뉴 이대점과 호텔야자 광주 충장로점 일반 객실에서 VR 체험을 제공할 예정이며, 고객반응 등을 살펴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28/0200000000AKR20180528155000030.HTML


5. 울산시, VR·AR·MR 기술개발 본격 추진
울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신규 공모한 ‘2018년 가상증강혼합현실(VR/AR/MR) 플래그십 프로젝트’에 ‘선박의 안전 건조 및 안전 운항을 위한 가상증강혼합현실(VR/AR/MR) 콘텐츠 서비스 개발 및 상용화 과제’를 응모해 선정됐다고 밝혔다. 과제는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하고, 노바테크·에이딕·쓰리큐브즈·리얼리티탭·심지 등 5개 기업이 참여하며, 2018년 5월 착수해 2019년 12월 완료된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9925


6. 신화테마파크, 6월 다양한 할인 프로모션 눈길
신화테마파크는 6월을 맞아 가족 단위 방문객 대상으로 ‘썸머 패밀리 패키지’를 마련했다. 신화테마파크 대인과 소인 입장권 각 1매씩 총 2매로 구성되며, 추가로 신화테마파크의 새로운 어트랙션인 ‘범핑 튜브카’ 또는 가상현실(VR)어트랙션 1회 중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가격은 정상가 대비 30% 할인된 4만7000원으로 6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구매할 수 있다.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205616


7. 강력한 경험공유의 시대 온다
1인 미디어는 이제 동영상을 넘어 진정한 경험공유를 위한 오감융합의 경험산업으로 진화할 것이다. 시각·청각·촉각 등 오감이 융합하는 가상현실에서 더 강력한 경험공유의 시대가 열릴 것이다.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가 가상현실(VR)에 거액을 투자한 이유다. 가상현실 산업의 기회를 놓치지 말자.
http://www.sedaily.com/NewsView/1RZQG5EP8V


8. 애플, 2019년 트리플 카메라 아이폰 선봬
대만 온라인 매체 이코노믹데일리뉴스(Economic Daily News)는 28일(현지시각) 애플이 2019년 나올 신형 아이폰 후면에 카메라 3개(트리플 카메라)를 탑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애플 아이폰 신제품의 트리플 카메라는 증강·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용으로 쓰인다.  카메라 두 대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같은 피사체를 촬영한 후 이 사진을 조합하면 입체 3D 이미지가 된다. 여기에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더하면 증강현실 3D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30/2018053085007.html


9. 대구시와 경북대, 건설 4차 산업혁명 주도한다
본 센터는 건설 관리자 부족, 건설 노무자 부족, 생산성 지체요인 발생이라는 사회경제적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지능드론, 로보틱스, 군단제어, 컴퓨터 비전, 가상현실, 인공지능, IoT 센서, 건설관리정보시스템(PMIS) 기술 등을 활용해 생산성 혁명을 달성하는 미래형 건설기술을 창출한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9919


10. 수주잔량 반토막에 3개 독 가동 멈춰… 빈방 늘고 상권도 휘청
이 가운데 정부가 29일 울산 동구를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함에 따라 조선업 불황으로 인한 경기침체를 겪고 있는 지역 경제가 다소나마 활기를 띨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울산시는 동구의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과 관련, 우선 지난 21일 국회를 통과한 정부 추경 예산 361억 원으로 동구 대왕암공원 증강현실(AR)콘텐츠 체험존 조성, 울산대교 전망대 가상현실(VR)체험 콘텐츠 스테이션 조성 등 동구 지역 경제살리기 사업에 우선 활용하기로 했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53001071327108002


11. 나 어릴 적 콘솔은 말이지 … 세가 메가 드라이브, 스팀 VR 지원
지난 29일, 세가가 스팀에서 서비스 중인 레트로 콘솔게임 번들팩 ‘세가 메가 드라이브 & 제네시스 클래식’이 VR 지원 기능을 추가했다. HTC바이브만 적용된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90년대 초반의 감성을 담은 ‘플레이 경험’을 되살리는 것이다. 이에 세가는 가상공간에 레트로 풍으로 꾸며진 소년의 방을 구현, 방 안에 위치한 브라운관 TV나 전체화면을 통해 과거 ‘메가 드라이브’의 명작들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331


12. 스마트시티 4.0의 의미와 단계별 비교
이민화 이사장은 스마트시티 4.0을 위한 4단계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데이터화 단계인 1단계는 현실 도시에서 발생하는 시간, 공간, 인간을 데이터화하는 것. 2단계는 클라우드에 빅데이터를 형성하는 융합의 단계로 정보화를 뜻한다. 3단계는 인공지능이 예측과 맞춤의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화단계이며, 4단계는 증강현실, 가상현실, 로봇, 드론과 같은 기술이 현실을 스마트하게 만들어주는 스마트화 단계다.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00183


13. 슈퍼마이크로, 업계 최초의 스케일업 AI와 머신러닝 시스템 선보여
인공지능(AI), 딥러닝, 자율주행 차량,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빅데이터, 고성능 컴퓨팅(HPC), 가상현실 등과 같은 고도 병렬 애플리케이션의 속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 차세대 엔비디아 NV링크(NVLink™) 인터커넥트 기술을 적용한 슈퍼마이크로의 새로운 4U 시스템은 최대 성능에 최적화되어 있다. 엔비디아 HGX-T1급의 GPU 가속 서버 플랫폼의 한 부분인 슈퍼서버(SuperServer) 4029GP-TVRT는 클러스터와 하이퍼스케일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해 최대의 GPU-투-GPU 대역폭을 갖춘 엔비디아 테슬라 V100 32GB SXM2 GPU 액셀러레이터 여덟 개를 지원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30/0200000000AKR20180530086400009.HTML


14. 경북대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250억원 연구비 지원 받아
대구시 관계자는 “연구센터는 건설 관리자 부족, 건설 노무자 부족, 생산성 지체요인 발생이라는 사회경제적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지능드론, 로보틱스, 군단제어, 컴퓨터 비전, 가상현실, 인공지능, IoT 센서, 건설관리정보시스템(PMIS) 기술 등을 활용하여 생산성 혁명을 달성하는 미래형 건설기술을 창출한다”고 설명했다.
http://www.deconom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507


15. 스노우 제페토, 당신보다 조금 더 귀엽고 예쁜 아바타
지난 2018년 5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유나이트 서울 2018(UNITE SEOUL 2018)' 현장에서 스노우 위드 스튜디오에서 제페토(Zepeto) 프로젝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김대욱 리드를 만났다. 제페토는 증강현실(AR)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를 닮은 캐릭터, 아바타를 만드는 서비스다. 그리고 서비스이자, 플랫폼을 꿈꾼다. 제페토를 통해 생성된 아바타를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겠다는 것. 그의 말을 빌리자면, 아바타 플랫폼이다.
http://it.donga.com/27791/


16. 스마트폰, 부품 투자 키워드는 증강현실과 5G - 키움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출하량 모멘텀이 부재하다는 보수적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 부품에 대한 투자 키워드는 증강현실과 5G가 될 것이다. 3D 센싱 모듈, 듀얼 및 트리플 카메라, 안테나, MLCC 등의 성장성이 유 효할 것이다. Apple의 하드웨어 차별화 전략의 핵심은 3D 카메라이고, 메인 카메라는 듀 얼을 넘어 트리플 카메라로 진화할 것이다. 내년에 등장하는 초프리미엄폰 카 메라의 새로운 기준으로서, 전후면 3D 센싱 모듈과 후면 트리플 카메라가 더 해져 7개의 카메라 및 센싱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http://daily.hankooki.com/lpage/economy/201805/dh20180530090633138110.htm


17. 고팍스, AR기반 블록체인 '모스랜드(MOC)' 상장
국내 가상(암호)화폐 거래소 고팍스는 내달 1일 위치 기반 증강현실 게임을 지원하는 모스랜드(MOC)를 세계 최초로 상장한다고 30일 밝혔다. 모스랜드는 현실의 부동산을 소재로 하는 위치 기반 증강현실(AR) 모바일 게임 서비스로, 모스코인과 모스체인 및 제 3의 탈중앙화 앱들을 통해 현실의 자산, 재화, 서비스를 가상화해 거래할 수 있다.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26982


18. VR·AR 시장 급속 팽창… 2020년 6조원 예상 북한은 아직 3G, 통신분야도 남북협력 이뤄질까
5G(5세대 이동통신) 시대 통신업계의 근본적인 고민은 ‘먹거리’다. 특히 조단위가 훌쩍 넘는 5G망 투자액을 고려하면 우려는 더 커진다. 핵심은 ‘어떤 서비스로 이익을 낼 수 있을까’다. 국내 통신업체들은 최근 가상현실(VR)·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을 활용한 서비스를 앞다퉈 내놓고 있다. 360도 화면을 보여주는 VR 콘텐츠와 실제 화면에 가상의 이미지를 덧씌우는 AR는 일반 동영상보다 파일 용량이 크고 전송 속도도 빨라야 한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343616


19. 구글, 샤오미와 협업통해 AR플랫폼 지원
엔가젯, 나인투파이브구글 등 외신은 구글이 샤오미를 통해 AR개발 플랫폼 AR코어를 제공한다고 29일(한국시간) 보도했다. 샤오미 스마트폰 중 현재 AR코어가 지원되는 기종은 미믹스2S(Mi Mix 2S)가 유일하다. AR코어는 샤오미 앱스토어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구글은 현재 자사 플랫폼 배포확대를 위해 중국의 로컬 앱스토어와 협력중이며 샤오미 외에 안드로이드TV 미박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구글은 "중국내에 AR코어가 지원되는 스마트폰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7395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5월 29일 AR, VR, MR 관련 뉴스


1. LGD·서강대, ‘어지러움 줄인’ AI기반 가상현실 신기술 개발
서강대 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팀과 공동 개발한 이 기술은 저해상도 영상을 초고해상도 영상으로 실시간 생성할 수 있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VR용 디스플레이의 시간 지연 및 잔영 문제를 줄였다. 통상 VR에 사용되는 HMD(Head Mounted Display·머리 착용 디스플레이)는 몰입도는 높지만 시간 지연과 잔영으로 인해 어지러움과 멀미를 느낄 수 있는데, 이를 크게 개선했다는 것이다. 특히 딥러닝 기술을 통해 외부가 아닌 내부 메모리 반도체 사용만으로 이를 가능하게 했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http://www.sciencetimes.co.kr/?news=lgd%C2%B7%EC%84%9C%EA%B0%95%EB%8C%80-%EC%96%B4%EC%A7%80%EB%9F%AC%EC%9B%80-%EC%A4%84%EC%9D%B8-ai%EA%B8%B0%EB%B0%98-%EA%B0%80%EC%83%81%ED%98%84%EC%8B%A4-%EC%8B%A0%EA%B8%B0%EC%88%A0-%EA%B0%9C


2. 울산시 '선박 안전건조·운항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본격화
울산시는 선박 안전건조와 운항을 위한 가상·증강·혼합현실 콘텐츠를 개발한다고 29일 밝혔다. 울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2018년 가상·증강·혼합현실 플래그십 프로젝트'에 '선박의 안전건조와 운항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 개발·상용화 과제'를 응모해 선정됐다. 이 과제는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하고 5개 기업이 참여해 다음해 12월 완료된다. 사업비는 총 28억원이다.
http://www.sa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068


3. 플랜트시스템 정비에 가상현실(VR) 적용 체험
슈나이더 일렉트릭 이노베이션 서밋 서울 2018에서 고객이 가상현실(VR)을 통해 플랜트시스템 정비 과정에 대해 체험하고 있다. 고도의 전문성과 높은 노하우가 필요한 플랜트 시스템 정비과정을 초보 엔지니어도 쉽게 접근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http://icnweb.kr/2018/%ED%8F%AC%ED%86%A0-%ED%94%8C%EB%9E%9C%ED%8A%B8%EC%8B%9C%EC%8A%A4%ED%85%9C-%EC%A0%95%EB%B9%84%EC%97%90-%EA%B0%80%EC%83%81%ED%98%84%EC%8B%A4vr-%EC%A0%81%EC%9A%A9-%EC%B2%B4%ED%97%98/


4. '치과 공포증' VR로 극복?!
이번 실험 결과는 치과 치료시 VR 기기를 이용하면 치과에 대한 두려움과 긴장감을 낮춰준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또한 도시보다 자연의 모습이 환자들의 긴장감을 낮추는 데 더 도움이 된다는 것도 입증했죠. 연구진은 "환자들이 치과를 두려워해 치과에 잘 오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이번 연구 결과로 환자들의 두려움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치과 분야가 아닌 다른 의료 분야에도 이 효과가 적용되는지 알아나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http://www.astronomer.rocks/news/articleView.html?idxno=85772


5. HTC, 독립형 VR 헤드셋 Vive Focus 업데이트 실시.. HTC U12+ 스마트폰과 연동
시스템 업데이트 2.0을 통해 바이브 포커스는 HTC의 새로운 플래그십 스마트폰 HTC U12+와 통합되어 스마트폰 메시지 알림을 수신하거나 헤드셋을 쓴 상태로 HTC U12+를 통해 전화를 걸 수 있다. 또한 이번 업데이트로 HTC U12+에서 바이브 포커스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거나 바이브 포트(Viveport) 또는 스팀에서 5GHz Wi-Fi 네트워크를 통해 PC VR 콘텐츠에 액세스 할 수 있다.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46842


6. `스마트테크코리아`에서 AI 면접 받아보세요
올해로 8회째인 이번 행사는 오는 6월 27~29일 3일 동안 코엑스에서 진행된다. 매일경제신문사와 MBN이 주최하고 코트라(KOTRA)와 엑스포럼이 주관한다. `빛나는 미래를 연결하라(Connect the blooming future)`는 슬로건 아래 △AI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모빌리티 △드론 △로봇 △3D프린팅 △에듀테크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리테일테크 등 다양한 기술을 직접 살펴볼 수 있는 각종 전시회와 행사가 개최된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338728


7. 테크빌교육, VR 기술로 에듀테크 재도약 노린다
교사 원격교육업체로 잘 알려진 테크빌교육이 가상현실, VR 기술을 기반으로 에듀테크 리딩기업으로서의 재도약을 노리고 있습니다. 회사는 VR 기술로 미래성장 동력인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는 등 사업영역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http://news.mtn.co.kr/v/2018052909405113834


8. 증강현실에 추억의 게임까지…이재명 이색 선거캠페인 '눈길'
이들 봉사단은 유권자들의 선거 참여를 독려하는가 하면 이 후보를 지지하는 의미로 온라인 캐주얼게임 '이재명과 도리도리잼잼', AR(증강현실)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어플 '잼있는 증강현실'을 각각 개발했다. 명캠프는 해당 게임에 대해 이 후보와 관련된 두 장의 사진 속 '다른 그림 찾기', 조각으로 흩어진 사진을 바르게 배열하는 '슬라이드 퍼즐', 군중 속 숨은 이 후보를 찾는 '숨은 이잼 찾기' 등 '추억 돋는 8비트 감성게임'이라고 설명했다.
http://www.nocutnews.co.kr/news/4977036


9. 행정안전부, 첨단 기술로 재난안전 수준 높인다
△빅데이터 기반 재난 전조 감지 및 예측 △사물인터넷(IoT) 등 차세대 통신 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 실시간 감시 △가상·증강현실 기반의 재난 대비 실증형 교육·훈련 △인공지능 기반의 실질적인 재난 현장 의사 결정 지원 △지능형 로봇 등을 활용한 인명 탐지·정보 탐색 등 복구 지원 △무인기·위성을 활용한 현장 대응 지원 및 사고 조사 등 상황 공유 분석을 위해 단계적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9872


10. 토종 AR피팅 솔루션, 中매장에 깔린다
에프엑스미러는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 가상 피팅 솔루션이다. 거울 형태로 이뤄진 디스플레이 앞에 서면 신체 사이즈를 측정, 의상을 착용한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가상 의류를 5∼10분 안에 구현할 수 있는 의상 저작툴도 함께 제공한다. 에프엑스기어 측은 이번 계약에 따라 자사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가상 피팅 기기가 중국 내 주요 인기 의류 브랜드 매장에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납품 예정 의류 브랜드가 보유한 매장 수만 해도 1만여 개에 달하며 확대될 예정이라는 설명이다.
http://www.venturesquare.net/763815


11. 아이폰X 플러스, 후면 트리플 카메라 렌즈 장착 전망
트리플 렌즈 카메라 시스템은 깊이나 거리감 또는 3차원 공간을 입체시(stereoscopic vision, 立體視)로 인식하는 혁신적인 3D센싱과 함께 2개의 카메라 센서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동일한 사물의 이미지를 포착한다. 즉 삼각 측량법을 이용해 아이폰과 객체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식으로 전면의 트루뎁스(TrueDepth) 시스템과 동일한 3D 감지 기능을 통해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8/05/20180529354009.html


12. 한국엡손, B2B 더 강화… "올해 매출 목표 1378억원"
의료 분야에서는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라스 솔루션 도입에 힘쓴다. 엡손은 외부 시야와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모베리오’ 제품군을 생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격 의료 가이드, 수술 가이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9266


13. 소니, 0.5인치 초고해상도 O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11월 양산
통상적으로 O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는 디지털카메라의 전자식 뷰 파인더(EVF) 디스플레이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해상도를 늘리면 픽셀 피치 축소에 따른 화질 저하와 시야각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소니는 자체 OLED 디스플레이 기술과 미세화 공정기술을 활용해 명암비는 10만대1로 구현했고, 색배치를 조절해 시야각까지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 제품은 앞으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채택될 것으로 회사는 기대했다. 소니는 오는 11월로 이 제품을 양산하며, 가격은 5만엔이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52902109932816005

반응형
반응형


[주말종합] 2018년 04월 15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부산시, 지역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 위한 IoT 리빙랩 본격 운영
지역 IoT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이번 사업은 학생·스타트업·지역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인력 양성 과정, 개방형 IoT 플랫폼 개발 환경 제공, IoT 리빙랩 공모전, 실증기업 지원, 부산 리빙랩 네트워크(BNoLL) 운영, 국내외 마케팅, 전시 참여 등 다양한 세부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8438


2. 울산 에너지기업 엔엑스테크, 인도 스마트시티 개발 참여
인구 1억명의 웨스트벵골주정부는 콜카타 인근 뉴타운을 시작으로 10개의 스마트시티를 개발할 계획이다. 주정부는 올해 서밋에서 체결된 110개의 협약 중 10개 국가와 기업을 선정해 핵심 기관 협약을 맺었다.
핵심 기관 중 중소기업은 엔엑스테크놀로지가 유일하다. 엔엑스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융합해 개발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웨스트벵골주 스마트시티에 구축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지난해 9월 웨스트벵골 도시개발공사(HIDCO)에 시범 설치돼 호응을 얻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239935&sID=504


3. 조달청, 소프트웨어 기업 간담회 개최
박춘섭 조달청장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 분야 모두가 소프트웨어를 그 기반으로 하고 있다”며, “앞으로 소프트웨어 기업이 보다 쉽게 조달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수요기관은 구매에 불편함이 없도록 관련 제도를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8448


4. 배터리 필요없는 IoT 무선 센서용 독립전원기술 개발
전력선, 전자기기 등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자기 신호. 전기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는 항상 자기장 노이즈가 발생하는데 기존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대신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전시켜, 배터리 교체가 필요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전원기술이다. 류정호 교수 연구팀은 미세한 자기장변화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금속소재(자왜금속소재(Ga-Fe 합금))와 변형이 생기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재를 결합해, 일상의 자기장 변화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http://kidd.co.kr/news/201779


5. "ERP와 실시간 연동 `이지IoT`로 국내 스마트팩토리 시장 공략
"국내 제조업의 스마트팩토리 수준은 설비나 센서를 통한 데이터 수집에 그치고 있으나 우리는 전사적자원관리(ERP) 등 기업용SW를 연계해 제조·유통 고객사의 예측분석과 서비스 효율화를 가능케 합니다." 고광백 한국오라클 애플리케이션즈 비즈니스 부문장(사진)은 작년 글로벌 본사가 발표한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국내시장에 최적화한 '이지(Easy)IoT'로 맞춤화하고 오는 18일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41602101160753001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3월 29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중국, 전기자동차 무한 질주 "대륙은 좁다"
세계 최대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차세대 전기자동차시장이 무한 질주 중이다. 중국은 특히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이하 EV)의 대중화를 선언, 독일, 미국, 영국, 일본 등 전기자동차 선진국과 한치 양보없는 각축을 벌이는 중이다. 이들 국가 가운데 차세대 전기자동차산업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곳은 바로 ‘중국’이다.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08


2. 롯데렌터카, ‘제5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공식렌터카 선정
롯데렌탈이 보유한 렌터카 브랜드 롯데렌터카는 오는 5월 1일부터 6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개최되는 ‘제5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의 공식렌터카 업체로 참여, 행사 운영차 지원, 참석자 대상 특별할인 제공 등 행사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롯데렌터카는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참가 외에도 친환경 전기차의 고객 경험 확대를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http://www.evnews.co.kr/2018/03/%EB%A1%AF%EB%8D%B0%EB%A0%8C%ED%84%B0%EC%B9%B4-%EC%A0%9C5%ED%9A%8C-%EA%B5%AD%EC%A0%9C%EC%A0%84%EA%B8%B0%EC%9E%90%EB%8F%99%EC%B0%A8%EC%97%91%EC%8A%A4%ED%8F%AC-%EA%B3%B5%EC%8B%9D/


3. 벤츠, 전기차 생태계 구축 본격 "120㎞마다 충전소 설치"
독일 메르세데스 벤츠사(이하 벤츠사)가 전기자동차의 개발과 생산에 본격 나선다. 특히 벤츠사는 유럽연합이나 독일 정부와의 협력에 앞서 충전소를 늘리며 전기자동차가 원활이 운행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64974


4. 울산시·현대차, 수소 에너지 체험공간 수소전기하우스 운영
현대자동차와 울산시는 29일 울산 태화강 둔치에 수소전기자동차 기술과 친환경 수소에너지가 만들 미래를 체험할 수 있는 수소전기하우스를 개관했다. '자동차가 만든 에너지로 사는 집'을 콘셉트로 한 수소전기하우스는 세계 최초 수소전기차 양산에 성공한 현대차와 친환경 에너지 정책 확산에 앞장서는 울산시가 함께 만든 공간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29/0200000000AKR20180329058900057.HTML


5.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구축에 힘쓰다
고성군은 미세먼지의 원인이 되고 있는 자동차 배출가스를 저감하기 위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고성군에 등록돼있는 전기자동차는 8대이며 군 내 충전시설은 고속도로 휴게소 4기, 읍면사무소에 5기, 공동주택에 6기 등 총 15기가 설치돼 있다.
http://www.pedien.com/news/articleView.html?idxno=245463


6. "작년 한국 자동차 M&A, 5년래 거래건수 최다"
또 자율주행과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개발과 전기자동차의 확산 등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소프트웨어와 전자장비의 가치가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IT 및 전자 등 정보통신 기업들의 자동차 산업 진출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자동차 산업에서 크로스보더(Cross-border, 국경 간 거래) M&A도 주목되고 있다. 최근 5년 간 자동차 산업의 크로스보더 M&A 거래건수는 2013년 128건에서 2017년 232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자동차 산업 M&A(667억 달러)에서 크로스보더 M&A(359억 달러) 거래액 비중은 5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29/2018032900801.html


7. 전기차가 곧 ESS…한전 국제표준 기반 시스템 개발
VGI는 전기자동차와 충전기가 디지털통신으로 전력과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전기요금이 비싸거나 전력사용량이 많은 시간대를 피해 값싸게 충전하거나 전력피크 수요를 저감하는 것은 물론 전기자동차에 저장된 전력을 다시 전력망으로 보내거나 건물 등으로 보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저장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알려지고 있다.
http://www.energy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43786


8.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 주가가 곤두박질치고 있다
테슬라의 주가와 채권가격이 일제히 급락하고 있는 것은 첫 보급형 전기차인 ‘모델3’의 생산 차질, 재무상황 악화로 주가가 하락 압력을 받는 가운데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텔X의 교통사고까지 발생했기 때문이다. 27일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는 미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인근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모델X의 교통사고 조사를 위해 2명의 조사관을 파견했다고 밝혔다.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abc3bb9e4b04a59a31442f4


9. 보쉬·닛산·다임러, 배터리 사업 철수…"한·중·일이 시장 이끌 것"
“우리는 최고의 배터리를 가졌지만 (다른 회사의) 제품과 차이가 거의 없었고 비용도 너무 많이 들었다.”
디터 제체 다임러 최고경영자(CEO)는 다임러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자체 생산을 포기한 이유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탄탄한 고객 기반을 확보한 전문 제조사가 아닌 기업의 경우 사업에 어려움이 많다는 의미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28/2018032802459.html


10. ‘전기차(EV) 유럽 컨퍼런스·전시회 2018’ 개최
Electric Vehicles: Everything is Changing에서는 급속히 변모하고 있는 EV(Electric Vehicles) 업계의 최신 동향 및 향후 전망 등이 소개된다. 컨퍼런스에서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신규 기업의 임원도 등장하여 연구개발의 중요 성과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컨퍼런스를 주최하는 IDTechEx는 기존의 틀을 초월하는 기업 및 연구자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http://www.morningeconomic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40


11.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1회 주행거리 400㎞ 넘었다…“보급형 전기차 중 최고”
이에 따라 코나 일렉트릭(일반형 기준)은 환경부 국고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별 지원금을 더해 3000만원대로 살 수 있는 전기차 가운데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가장 긴 차가 됐다. 이전까지 가장 긴 주행거리를 보유한 전기차는 383㎞를 주행할 수 있는 한국지엠의 볼트EV였다. 또 보급형 전기차를 제외하고 1회 충전으로 400㎞ 이상 주행 가능한 차량은 테슬라 모델 S 100D(451㎞)와 P100D(424㎞) 등 2종에 불과하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33002100932052001


12. "상용차, 전기가 아닌 수소로 가야 정답"
임 연구원은 “트럭과 버스 등 업무를 목적으로 하는 상용차량들은 시간이 정말 돈”이라며 “시간으로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 전기차를 타게 될 경우 장시간 충전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따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대차의 신형 수소전기차 넥쏘의 충전 시간이 약 5분인 것을 감안해서 말한 것으로 보인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329134431&type=det&re==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3월 27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롯데렌터카,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공식렌터카로 2년 연속 선정
롯데렌탈 선릉타워에서 진행된 제 5회 국제전기차엑스포 공식렌터카 선정 협약식에는 롯데렌탈 대표이사 표현명 사장과 (사)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김대환 조직위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식으로 롯데렌탈과 (사)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는 제 5회 국제전기차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다각적인 업무 협조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롯데렌터카는 오는 5월 1일부터 6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개최되는 제 5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의 공식렌터카 업체로 참여해, 행사 운영 차량 지원, 참석자 대상 특별할인 제공 등 행사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384904&mn_name=news


2. 제주도, 차량 전기차로 100% 대체 2020년에서 2년 연장
도, 여건 변화로 중장기 종합계획 수정 로드맵 제시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차량 100% 전기차 대체는 불변
향후 5년간 총 1조6783억원 재정투자계획도 제시
http://news.joins.com/article/22479432


3. 한전산업, 전기자동차 제조 클러스터 조성 나선다
관련 기업·협회와 함께 협약… 미래 사업 영역 확대
http://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355


4. 영광군, 전기자동차 민간보급사업 2차 접수 시작
신청이 30대 이상일 경우 추첨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공고일 기준 1년 전부터 영광군에 주소를 두고 있는 군민 등은 차량 대리점을 방문해서 전기차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군청 방문 없이 대리점에 등본 또는 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하면 된다. 또 이번 2차 공고에서는 테슬라코리아 Model P100D가 보급대상 평가시험에 통과돼 보조금 지원이 가능하게 됐으며 기아 쏘울 EV(‘18, HP)와 EV(‘18, PCT) 모델은 보조금이 각각 1044만원과 1027만원으로 변경됐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32715500006182


5. 제주도, 전기차 중장기 종합계획 일부 수정
차량 100% 전기차 교체 시기 2020년에서 2년 연장
전기차·충전기 콜센터 통합·운영, 안전지원센터 구축 등 포함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22136789155406005


6. WSJ “트럼프가 중국에 원하는 것은 자동차 시장 완전 개방”
현재 외국 자동차 기업이 중국 현지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중국 법인과 합작회사를 설립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외국 기업이 확보할 수 있는 지분도 50%로 제한돼 있다.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는 중국 상하이에 지분 100%를 가진 생산 공장을 설립하려고 했지만 중국 정부에 의해 제동이 걸린 상태다.
http://news.donga.com/list/3/02/20180327/89319717/1


7. [미래를 향해 뛴다]테크트랜스
테크트랜스는 2015년 8월부터 테슬라 모터스 모델 S의 브레이크 및 액셀레이터 페달 표면처리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페달 제조업체로부터 부품을 받아와 친환경 알칼리성 용액으로 표면처리해 내부식성, 고광택, 강도를 높인 제품이다. 테슬라 차세대 모델인 X에도 제품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라 공급 물량이 지속 늘고 있다.
http://www.etnews.com/20180327000264


8. 경기도 미세먼지 대책 ‘알프스 프로젝트’ 실효성 의문
2016년 ‘알프스 프로젝트’ 착수…매년 2천억 투입
연평균 미세먼지 서울·인천은 25㎍/㎥에 경기도는 27㎍/㎥
경기도, 알프스 프로젝트 사업 40개에서 6개 추가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37900.html


9. 현대차-울산시, 미래 꿈의 공간 '수소전기하우수' 개관
수소전기차 기술과 수소에너지가 만드는 미래 체험공간
현대차-울산시, 세계 수소산업 메카 육성 공동노력
http://www.sedaily.com/NewsView/1RX56KOPLN


10. 쎄미시스코, 초소형 전기차 'D2' 한국서 생산한다
27일 쎄미시스코에 따르면 회사는 전국 이마트 10여 곳에 판매 중인 중국산 초소형 전기차 'D2'의 국내 생산을 결정했다. 지난해 5월 100억원의 자체 예산을 투입해 세종시 미래산업단지에 구축한 생산공장에서 올 하반기부터 부품조립생산(SDK)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차체는 기존 것을 활용하지만, 핵심 부품인 배터리시스템이나 파워트레인 등은 독자 개발을 통해 차량 완성도를 높이기로 했다.
http://www.etnews.com/2018032700024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