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9년 01월 06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이포넷- WTIT, 블록체인 기반 기부 플랫폼 ‘체리’ 사업 제휴
블록체인 기반 기부 플랫폼 ‘체리’ 개발업체인 이포넷(대표 이수정)은 지난 3일 국제정보기술민간협력기구(이사장 김정중)와 ‘체리’ 기반의 기부 사업 확산을 위한 전략적 협력제휴를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제휴로 이포넷과 국제정보기술민간협력기구(WTIT)는 블록체인기반 기부 플랫폼(CaaS, Charity as a Service) ‘체리’를 활용해 다양한 블록체인 사업 기회를 공동으로 발굴한다.
http://www.zdnet.co.kr/view/?no=20190105152834


2. 다빈치재단, 두바이·아프리카로 블록체인 사업 넓힌다
다빈치재단은 두바이에서 아랍에미리트은행(UAB) CEO(최고경영자) 초청으로 두바이 왕족과 중동 지역 기관장, 기업인을 만나 블록체인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UAB를 포함한 3개 기관과 협업한다. 이어 아프리카 기니 총리와 자원개발-블록체인 사업간 연계 방안 등 협업 방안을 공유했다. 아프리카 4개 기관·업체와 협약 내용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http://www.etnews.com/20190106000021


3. 中 후오비 그룹 부총재 "올해 알리페이 같은 블록체인 기업 탄생 기대"
4일(현지시간) 디엔스차이징(点石财经) 등 중국의 여러 매체에 따르면 웡샤오치(翁晓奇) 후오비(火币, huobi) 그룹 부총재가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Forbes)와의 ‘2019년 산업 전망’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처음으로 도입된 분야는 금융 산업으로서 올해에는 블록체인 산업에서 알리페이(Alipay, 즈푸바오-支付宝: 중국 모바일 전자 결제 앱)와 같은 기업이 탄생하길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http://www.coinreaders.com/3260


4. 트론의 이유있는 급등세…"주요 블록체인 이정표 달성, 비트토렌트 토큰 발행"
세계에서 가장 큰 분산형 네트워크 중 하나이며 이더리움(ETH, 시가총액 3위)과 이오스(EOS, 시총 5위)의 강력한 경쟁 블록체인이며 시가총액 10위 암호화폐인 트론(TRX)의 가격이 트론 재단(TRON Foundation)으로부터의 긍정적인 소식이 이어지면서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5일(한국시간) 오후 5시 50분 현재 글로벌 트론(TRX)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7.70% 급등한 0.021997달러를 기록 중이다
http://coinreaders.com/3263


5. '여행' 산업에도 블록체인…여행 스트레스 줄인다
블록체인은 금융거래뿐만 아니라 가치있는 모든 것을 저장하기 위해 자동화될 수 있는 원칙적인 디지털 장부 거래다. 블록체인 기술은 원장을 고치거나 조작하는 일은 불가능하고, 제3자가 개입하지 않는 개인 대 개인간 거래(P2P)를 기반으로 해 중앙으로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킨다. 거래내역도 투명하게 기록돼 감시하기도 쉽다.
http://news1.kr/articles/?3516838


6. 국내 게임사, 게임과 블록체인 결합에 나서
3일(현지시간) 다수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한빛소프트, 네오위즈 및 위메이드 등 다양한 국내 게임업체들이 블록체인을 적용한 게임 개발 및 출시에 나섬을 밝혔다. 앞서, 한빛소프트는 7억명의 가입자를 확보해 전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인기게임 '오디션'에 브릴라이트 블록체인 법인을 통해 발행한 암호화폐 브릴라이트코인(BRC)를 적용해 유저들에게 해당 코인을 유통할 계획이며 BRC 전용 월렛인 브링도 출시할 예정이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5338


7. 컨센시스-AMD, 블록체인용 클라우드 인프라 개발 나선다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기술 업체 컨센시스가 CPU 개발 업체 AMD와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개발인 골자인 W3B클라우드(W3BCLOUD) 프로젝트를 위해 손을 잡았다. 이번 협력에는 아부다비에서 활동하는 투자 관리 회사인 할로 홀딩스도 참여한다. 컨센시스는 4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협력과 관련 내용을 공개했다. 컨센시스 발표에 따르면 이번 협력은 블록체인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AMD 하드웨어 데이터센터 제품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57


8. MIT 교수 개발 블록체인 프로토콜, 1,100억 원대 투자 유치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크립토라마(Coincryptorama)에 따르면, 튜링(Turing) 상 수상자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MIT 교수가 개발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 알고랜드(Algorand)가 벤처투자펀드 알고캐피탈(Algo Capital)로부터 1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5868


9. 구리시, 행정분야 ‘블록체인 기술’ 활용방안 모색
구리시가 주요정책이나 지역사회 의사결정에 주민이 참여하고 과정·결과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블록체인 행정서비스'를 도입한다. 안승남 구리시장은 최근 직원들을 대상으로 월간업무 훈시사항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행정의 연계성 방안 모색을 당부했다. 실제 업무 추진과정이나 시민 의견수렴 방법, 의견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9010519258080509&type=4&code=w1603&VRN


10. 블록체인의 넷플릭스 ‘엠토노미’, 스트리밍 비디오 이더리움에 가져왔다
엠토노미는 분산돼 있지 않다. 익숙한 유일한 시스템으로 엔터프라이즈급 컨텐츠 제공 및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넷플릭스가 콘텐츠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기술이다. 이를 블록체인에서 처음 사용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더리움을 사용해 지불을 처리한다. 메타 데이터는 스마트 컨트렉트에 저장된다. 좋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동일한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서버를 사용한다. 암호화 및 디지털 권한 관리 보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다른 곳에서와 동일한 수준의 보호를 받는다.
http://www.dcoinnews.net/%EB%B8%94%EB%A1%9D%EC%B2%B4%EC%9D%B8%EC%9D%98-%EB%84%B7%ED%94%8C%EB%A6%AD%EC%8A%A4-%EC%97%A0%ED%86%A0%EB%85%B8%EB%AF%B8-%EC%8A%A4%ED%8A%B8%EB%A6%AC%EB%B0%8D-%EB%B9%84%EB%94%94/


11.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으로 생태계 확장 노린다
게임 보상으로 가상화폐 받아 식당에서 활용…블록체인의 투명성 접목한 게임도 늘어날 전망
http://news.mtn.co.kr/v/2019010502431682992


12. 제주, 개발위주 중국자본 유치 탈피...신성장동력 유치
관광지 개발에서 IT.BT, 신재생에너지, 블록체인 중심...북미-일본-유럽 유치 다양화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213440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2월 10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재규어 전기차 ‘I-페이스’, 연내 국내 출시 어려울 듯
자체 인증 테스트 못해...출시 시기 미정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210142036&type=det&re=zdk


2. 통학차량 등록제·전기차 전환 촉구
[현장] 30만 셔틀버스 노동자 2차 투쟁 결의대회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94703


3. 전기차 구매 보조 예산, 쓰지도 못하면서 과잉 편성
매년 확보 예산 대비 실제 집행율 낮아, 수요 부진도 영향
내년도 올해 대비 57% 증가한 3780억 책정, 국회 심사서 증액
http://www.gn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290


4. 폴크스바겐 GM, 중국 정책변화에 대응해 내년 전기차 출시 본격화
10일 남정미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019년 중국이 신에너지차(NEV) 의무판매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글로벌 연비·배기가스 규제도 점차 강화될 것”이라며 “글로벌 완성차기업의 전기차 모델 출시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2019년부터 신에너지차 의무판매정책을 실시한다. 그동안 전기차 구매시 소비자에게 보조금 혜택을 주던 정책에서 완성차기업에게 친환경차의 의무판매 비율을 할당하는 공급자 위주 정책으로 기조를 바꾸는 것이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05725


5. 르노삼성 전기차 '트위지' 부산서 만든다
10일 르노삼성 측에 따르면 부산시와 르노삼성, 산업통상자원부 등은 르노삼성부산공장에서 트위지를 생산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내주 중 교환할 예정이다. 이날 르노삼성은 내년 하반기께부터 부산공장에서 연 5000대 규모로 트위지를 생산하고 그 생산량을 늘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앞뒤로 2명까지 탑승 가능한 초소형 사륜 전기차 트위지는 현재 스페인 바야돌리드 르노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올해 1000여 대가 완제품으로 수입돼 국내에서 판매됐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81210000329


6. 美 커들로 국가경제위원장 "신재생E·전기차 보조금 중단 검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연방 행정부가 전기자동차(EV)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조금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지난 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들 보조금은 오바마 전 대통령 때 도입된 것들이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제너럴모터스 미국 공장 폐쇄 관련 기자회견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해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도입된 모든 보조금을 중단하고 싶다”며 “가까운 장래에 보조금이 모두 중단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www.koenerg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886


7. 삼성SDI 주가 떨어져, 폴크스바겐에 전기차배터리 공급 줄 수도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고객사인 독일 폴크스바겐이 자체 배터리 생산공장 건설 계획을 밝히면서 삼성SDI의 배터리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이 떠올랐다. 10일 삼성SDI 주가는 직전 거래일보다 1.92% 떨어진 20만4천 원으로 장을 마쳤다. 폴크스바겐이 전기차 출시 확대를 추진하면서 북미에 직접 전기차 배터리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05752


8. 전기자동차연구회·전기자동차엑스포, 업무협약 체결
대한전기학회 전기자동차연구회는 지난 7일 (사)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이사장 김대환)와 제6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의 성공적 개최와 전기차 관련 산·학·연 전문가 기술 교류의 장이자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 상호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을 통해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는 전기자동차연구회와 함께 단일 지자체중 최대 시장이자 최적의 테스트베드인 제주도를 기반으로 전기자동차 보급 및 사용현황, 제도 등 전기자동차 관련 연구를 협력해 지속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09472


9. 제주 전기차 충전기 보급 75.6%…관리주체는 '제각각'
개방형 충전기 1747기…관리·감독 한계 및 사고위험도
안전장비 구비 기준 부재…도 "일원화 운영 방안 논의"
http://m.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56038


10. 전기차 53%ㆍ수소차 664%…정부예산 대폭 증액
내년도 전기자동차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예산이 5402억 5600만원,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을 위한 정부 예산이 1420억 5000만원으로 각각 편성됐다. 특히 신재생 보급ㆍ금융지원사업은 40%이상 늘어난 5240억원이 편성됐다. LPG소형저장탱크 보급 예산은 113억 4300만원, 군단위 LPG배관망 지원예산은 531억 2800만원으로 각각 편성됐다.
http://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49


11. 신기술에 디자인 더해 매출 확 올렸죠
10년전부터 전기차 충전 뛰어든 모던텍
KIAT·아트핸즈 등과 제품 디자인 협업
작년엔 환경부 충전기 사업자로 선정
2년새 매출 2배 ↑...올해도 고성장 기대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ETECZXA


12. 국내 전기차 산업 발전 위해 ‘1등 전략’ 추구해야
7일 국회에서 ‘전기차, 그리고 새로운 성장동력’ 세미나 열려
http://www.kidd.co.kr/news/206153


13. 폴크스바겐·포드 자동차 동맹 결성, 자율주행차·전기차 등 기술변화 대응
CNBC는 이같이 전하고 동맹 결성은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이 치열한 경쟁뿐 아니라 엄청난 기술적 변화에 따른 위험요소에 직면한 상황에서 각사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양사의 ‘조각 그림 맞추기(jigsaw puzzle)’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1210010005272


14. 수소전기차 5500대 지원 기대한 업계, 국회 4000대 확정에 당혹
8일 새벽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2019년도 수소전기차 예산이 4000대로 확정됐기 때문. 이에 대한 예산은 당초 5500대로 예상돼 왔다. 이에 설비 증설을 위한 추가 투자도 그간 검토 돼 왔던 것. 업계에서는 4000대 예산안일 경우 기존 공장개선 작업으로 충분하므로 추가 투자를 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http://www.sp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702


15. SiC파워반도체 실장용 고상접합기술 개발… 전기차·로봇·스마트공장 전력 변환모듈 적용 기대
http://mtnews.net/news/view.php?idx=4923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18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투·개표 시스템에 블록체인 도입되나
이상민 의원, “도입 추진”…종이투표 비용 대비 10% 불과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8160419


2. 블록체인 개발 이제 안해?…미 기업, ‘블록체인’ 언급 ‘뚝’
미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Axios)는 시장조사기관 포레스터 리서치(Forrester Research)가 최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상장사들의 결산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인용해 기업들의 ‘암호화폐’나 ‘블록체인’에 대한 언급이 이전보다 크게 줄었다고 보도했다. 포레스트 리서치에 따르면 기업들이 ‘비트코인’이나 ‘크립토’를 을 언급한 횟수는 지난 1분기(1~3월) 60회 이상이었지만 4분기(10~12월) 들어서는 11회에 불과했다.
https://www.blockdaily.com/2018/11/18/3558/


3. MS, ‘애저 블록체인 개발 키트’ 출시
MS는 15일(현지시각) 애저의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 블록체인 워크벤치에 일부 기능을 추가한 ‘애저 블록체인 개발 키트’를 출시했다고 애저의 공식 블로그를 통해 알렸다. 애저 블록체인 개발 키트는 ▲인터페이스 연결 ▲데이터와 시스템의 통합 ▲스마트 계약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 블록체인 기반 앱 개발 툴이다. 이 툴은 음성 인터페이스와 SMS, 모바일 클라이언트 관련 솔루션 및 오픈체인 ID 제공, 모니터링, 사물인터넷 장치 통합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58


4. 빈곤국 농부에게 힘 싣는 '블록체인' 기술
블록체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일종의 디지털 공공 거래 장부다. 따라서 모든 유통 과정이 기록되기 때문에 특정상품에 하자가 발견됐을 때 핵심이 되는 문제를 파악해 즉시 해결할 수 있다.
http://www.news1.kr/articles/?3479734


5. 삼성전자, 오픈블록체인협회 등 마크롱 대통령 주도 ‘파리스콜’ 서명기관 참여
삼성전자, (사)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회장 오세현 SK텔레콤 전무) 등이 엠마누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주도한 ‘사이버공간의 신뢰와 안정을 위한 파리요청(The Paris Call for Trust and Stability in Cyberspace, 파리스콜)’에 초기 서명 기관으로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이버공간의 신뢰와 안정을 위한 파리요청(파리스콜)’은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개인 및 국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빈번해지고 안보는 물론 민주 절차, 글로벌 경제, 정보의 무결성 및 자유로운 흐름, 개인의 안전, 보안 및 프라이버시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20166619407032&mediaCodeNo=257


6. 한전, 에너지솔루션·블록체인 접목한 오픈 마이크로그리드 프로젝트 착수
이번에 개발하는 오픈 마이크로그리드는 연료전지를 발전원으로 추가해 신재생에너지만으로도 에너지자립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한전은 설명했다. 또 물을 전기분해해 만든 수소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메탄을 생산하는 P2G(Power to Gas) 기술을 활용,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전력을 수소로 전환해 저장하고 필요할 때 연료전지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다시 바꿀 수 있다. 기존 마이크로그리드보다 에너지 자립율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한전은 다가오는 수소경제 사회의 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8J0IAG0


7. 원희룡 제주지사, 보아오포럼 참석해 탄소제로섬·블록체인 소개한다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20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보아오포럼 서울회의'에 대한민국 자치단체장 대표로 참석한다. 그는 이 자리에서 '개방과 혁신의 주체: 작은 정부, 도시 정부, 지방 정부' 주제로 발표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해외 사례를 소개한다. 이 포럼에서 소개될 탄소제로섬 2030(카본프리 아일랜드) 프로젝트는 현재 제주도가 추진 중에 있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3590


8. "진입장벽 낮추고 수익배분 투명히"..블록체인이 그리는 음원유통의 미래
블록체인 음원유통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재미컴퍼니의 안신영 대표는 국내 첫 음원서비스로 꼽히는 벅스뮤직의 창업멤버였다. 음악생태계의 가치사슬을 잘 아는 그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려는 건, 뮤지션이나 창작자가 데뷔하는 데 진입장벽을 조금이라도 낮춰주기 위한 목적이 크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11811312581947


9. '암호화폐 부자' 브록 피어스 "내년 블록체인 재도약 원년"
최근 방한해 '경상북도 블록체인산업 홍보대사'에 위촉된 브록 피어스는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기존 산업과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연계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구글과 아마존같은 대기업들이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등 기업형 블록체인 시장이 커지고 있는 추세"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암호화폐 시장이 하락세라고 해도 앞으로 블록체인 산업은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문제없다"고 덧붙였다.
http://news1.kr/articles/?3479125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16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글로벌 車 업계 '전기차 전용 브랜드' 붐업…현대·기아차 뒤쳐지나?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전동화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고 나섰다. 날로 엄격해지는 각국의 배출가스 규제 속에 미래 자동차 산업의 향배가 전기동력에 있다고 믿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회사는 전기차 전용 브랜드까지 만들어가며 시장 선점을 위한 청사진 제시에 나섰다. 반면 현대·기아차는 빠르게 전동화 전환에 착수했음에도 ‘전기차 전용 브랜드’가 보이지 않아 대응이 더디다는 분석이 나온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16/2018111600410.html



2. 전기차가 불편하다고..일단 타봐! 기아 니로 EV
3,4년 전만 해도 한 세대 전인 기아 쏘울 EV나 BMW i3는 주행거리가 130~180km로 아 확실히 실생활에서 불편했다. 조금만 달리면 주행거리가 확 줄어 꽤나 신경이 쓰였다. 더구나 겨울철 히터를 틀면 주행거리가 수십km 감소해 '충전 스트레스 때문에 못 타겠다'는 오너들의 불만이 쌓였다. 이처럼 짧은 주행거리는 전기차 구입을 망설이게 한 가장 큰 이유였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34166619406376&mediaCodeNo=257


3. 수소차냐 전기차냐...미래차 주인공은?
5분 충전에 600㎞ 주행 수소차
가격경쟁력·유지비 앞선 전기차
수소차, 대형상용차·장거리용으로
전기차, 소형·단거리용 특화할 듯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7MN5LY4/GC01


4. 삼기오토모티브, LG화학과 941억원 규모 전기차 배터리 부품 공급계약
회사는 내년 3월부터 2026년까지 8년간 약 941억원 규모 앤드플레이트(end plate) 부품을 공급한다. 해당 부품은 LV와 HV가 1세트로 구성되며 각 656만대씩 총 1312만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삼기오토모티브는 전기자동차 관련 사업 확장을 위해 오랜 기간 기술 개발과 투자를 진행해왔다. 현재 글로벌 기업들과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ttp://www.etnews.com/20181116000206


5. 전기차 선도지역 제주, 보급만으로 '끝'
[도정질문]강성의 "정비 등 체계적 준비 미흡" vs 원희룡 "민간에서 해야할 문제"
http://www.jeju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008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14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SK이노베이션, 폭스바겐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SK이노베이션은 14일 "폭스바겐과 미국 및 유럽향 전기차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급 물량, 가격 등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수주물량은 미국과 유럽 공장에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SK이노베이션은 미국 내 신규배터리 공장을 세울 예정이다. 현재 최종 후보지 3~4곳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유럽에서도 헝가리를 포함한 신규 공장 후보지를 검토 중이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18/11/14/0004


2. 펜타시큐리티, 그리드위즈와 전기차 충전 솔루션 출시
“내년 유럽 시장에 우선 적용…유럽, 태국 업체와 협의 중”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14181700


3. 펜타시큐리티, 그리드위즈와 전기차 ‘Plug and Charge’ 솔루션 상용화
정보보안 전문기업 펜타시큐리티시스템은 스마트에너지기업 그리드위즈와 함께 전기차 충전 솔루션에 자동차 보안 솔루션을 적용한 Plug and Charge(플러그 앤 차지) 솔루션을 상용화했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4614&kind=0


4. 전기차 달리면 꽃길 열릴지어다
자동차 전장화와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반도체 관련 기업에 큰 기회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반도체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서다. 반도체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기판을 만드는 해성디에스는 이런 변화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이다. 게다가 자동차 반도체용 리드프레임 생산에 필요한 특허 기술까지 보유하고 있다.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620


5. 전기차 충전기 꽂기만 하면 알아서 인증·결제 'OK'
그리드위즈, 시큐리티시스템과 ‘플러그 앤 차지(Plug and Charge)’ 상용화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395


6. 전북, 수소전기차 보급 중장기 계획 발표
2020년부터 10년간 총 사업비 9,695억 원 투자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1만 4,000대, 수소전기버스 400대 보급
“전주 현대차공장 수소상용차 양산 발맞춰 수출산업으로 육성”
http://www.h2news.kr/news/article.html?no=7125


7. 올해 제주에 신규등록된 차량 중 15%는 전기차
제주연구원에서 관련 통계를 제공하기 시작한 올해 2월, 22%를 차지한 전기차 등록비율은 4월과 5월에 7%대까지 떨어졌으나 6월부터 다시 20% 수준을 회복하며 평균 15%를 기록했다. 이처럼 월별 전기차 등록비율 편차가 심한 것은 코나EV와 니로EV 등 2세대 전기차의 출시일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http://www.jejutwn.com/news/article.html?no=11325


8. 현대차, 수소전기차로 1000명 고용창출…2022년 3만대 목표
현대차, 협력사와 '넥쏘'에 2년 2200억 투자...車업계, 정부에 금융지원·규제완화 요청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111414064291595&type=2&sec=politics&pDepth2=Ptotal&MNE_T


9. 전기차 및 전기차 배터리 업계, 지능화된 제조 과정으로 승부수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신규 등록된 전기차는 총 1만 1847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34.8% 증가했다. 전기차는 기존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대체해 가는 추세다. 지난 상반기 처음으로 국내 친환경차 시장에서 전기차의 비중이 20%를 넘어섰고, 지금의 추세로는 올해 전기차 판매량이 처음으로 2만대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순수 배터리만으로 구동되는 전기자동차(BEV)의 성장은 더욱 가파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공용충전기 대수도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6912


10. 새안, 자사 대표 전기차 모델 ‘위드유’ 양산 임박
미국, 일본에 SKD 방식 수출, 현지 조립∙생산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587


11. 연료효율·전기차 확대로 차량 기름 소비 7년 내 정점
국제에너지기구 보고서 차량용 연료 소비 급감
http://www.et114.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085


12. 나주시, 전기차 이어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원
가정에서 충전가능, 저렴한 유지비, 농촌현장 뛰어난 기동성 장점 꼽혀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492698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1월 01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블록체인으로 폐기농산물 재발견
첨단시스템, 버려진 농산물 염가 판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B8%94%EB%A1%9D%EC%B2%B4%EC%9D%B8%EC%9C%BC%EB%A1%9C-%ED%8F%90%EA%B8%B0%EB%86%8D%EC%82%B0%EB%AC%BC-%EC%9E%AC%EB%B0%9C%EA%B2%AC


2. 퍼블릭 블록체인, 엔터프라이즈 시장도 파고드나
EY, 데프콘 행사서 이더리움 지원하는 영지식증명 툴 공개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63


3. "아직 블록체인 기술은 성숙하지 않았다" 가트너
모든 세션에서 가트너 애널리스트는 ‘블록체인을 하지 말라’는 동일한 조언을 전했다. 가트너의 데이비드 펄롱거 연구원은 31일 "대다수 기업이 블록체인 기술을 현재 성숙 단계로 간주하는데, 이는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그는 "기록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을만한 핵심 기술 수준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http://www.ciokorea.com/news/40049


4. 지속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의 조건
블록체인은 단연 눈길을 끄는 핫키워드다. 물론 긍정적인 뜨거움만 있는 건 아니다.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진행된 ICO 중 90%가 사기성이었다든지 실제 진행된 프로젝트가 미비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쏟아지는 코인, 토큰만큼이나 여러 문제점이 이 초기 시장에 공생하고 있는 것.
http://www.venturesquare.net/770378


5. 제주, 국내 최초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종합문서 시스템 도입
제주특별자치도-국토부 손잡고 내년부터 블록체인 시범 사업 추진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4203


6. 얍체인, 이스라엘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옵스와 기술 제휴
스마트시티를 겨냥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는 얍체인재단(YAP CHAIN / 대표 박성재)은 이스라엘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전문 기업 옵스(ORBS)와 기술 교류를 골자로하는 업무 제휴를 맺었다고 1일 밝혔다. 얍체인은 이번 협력으로 블록체인 기술력 강화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양사는 제휴를 맺으면서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 교류 △블록체인 관련 네트워킹 △전략적 상호 투자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8


7.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링카, 국내 거래소 한빗코 상장
링카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 신용 거래 및 지불결제, P2P송금, 코인교환을 제공하는 종합 금융 플랫폼이다. 플랫폼 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카드사와 은행의 역할을 대체하고 고객은 암호화폐 신용한도 만큼 결제, 인풀, 대출이 가능하다. 또 참여 당사자들 간 투명한 저비용 신용거래, 신속한 정산이 가능하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01131442&type=det&re=zdk


8. 베잔트, 모인과 블록체인 기반 송금 서비스 제휴
내년 1분기 메인넷 출시를 앞둔 베잔트는 모인과 협업으로 블록체인에 기반한 해외송금 서비스를 선보인다. 베잔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송금을 진행하면 모인 서비스 이용 프로세스, 사용자 인증, 정보 보관, 수수료 체계, 전송 속도 등 해외송금 서비스 전 부문에 걸쳐 효율화가 가능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6


9. 페이스북·구글·IBM…대기업 블록체인 개발 열기에 투자 '불씨' 활활
블록체인은 개인을 연결하고, 직접적인 거래와 지불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중개 역할로 막대한 부를 축척하는 중앙기관을 배제하기 때문에, 대기업 독점 분야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블록체인의 잠재 역량의 위협을 받는 분야 최고 기업들이 오히려 기술 개발 최전선에 나서는 방어 전략을 취하고 있다. 투자 전문가 에릭 잔센(Eric C. Jansen)은 31일(현지시간) CNBC FA PLAYBOOK을 통해 거대 기술 기업들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이 투자 열기를 고취하면서 블록체인 혁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713


10. 오라클의 야심, "블록체인을 부지불식화한다"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 오픈월드 컨퍼런스에서 오라클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 초점을 맞춘 4개의 공급망 사용사례를 곧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리고 여기서 멈추지 않을 것이다.
http://www.ciokorea.com/news/40041


11. 홍콩증권거래소, 거래 시스템에 블록체인 활용
홍콩 금융전문 매체 핀엑스트라는 홍콩증권거래소가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디지털에셋(Digital Asset)과 파트너십을 맺고 블록체인을 주식 거래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고 10월 3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핀엑스트라에 따르면 홍콩증권거래소는 최근 디지털에셋과 함께 거래 청산과 결제 위험을 줄이기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 테스트를 완료했다. 이 테스트에는 홍콩증권거래소 외에도 상하이증권거래소, 심천증권거래소 등이 참가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60


12. 中 징둥닷컴, 블록체인 기술 연구소 설립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의 지난달 31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징둥닷컴은 전날 블록체인 기술 연구소 설립 사실을 공지하고, 중국과학원소프트웨어연구소(ISACS) 및 뉴저지공과대학 연구자와 손잡고 댑(DApp) 및 보안 분야를 연구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날 발표했다. 연구 항목에는 DApp의 컨센서스 프로토콜, 개인정보 보호, 보안 분야 등이 포함되어 있다. ISACS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번 징둥닷컴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블록체인을 각 산업에 적용시켜 기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https://www.blockdaily.com/2018/11/01/3008/


13. 해치랩스, 11월 초 블록체인 개발 통합 솔루션 공개
최근 미국 IT 채용 전문업체 하이어드(Hired)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블록체인 개발자의 몸값이 인공지능 개발자의 임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업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나 개발할 수 있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다. 특히 블록체인은 수정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가스비라는 개념 등 보통의 개발 환경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개발자에게도 까다롭다고 여겨진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6


14. 엔진코인, 주문형 블록체인 아이템 제작 온라인 서비스 ‘민트샵’ 출시
글로벌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 플랫폼 솔루션 기업이자 블록체인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인 암호화폐 엔진코인(ENJ)을 내놓은 엔진이 세계 처음으로 주문형 블록체인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는 민트샵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엔진 민트샵 서비스는 이용자가 제작 보유한 디지털 사진이나 이미지를 제공하면, 주문자의 주문 조건에 맞춰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 아이템으로 제작해 주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블록체인 자산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문 코딩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만들고 블록체인에 배치해야 하는데, 이제는 민트샵 서비스를 통해 복잡한 절차를 자동화 시켜 간단한 주문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토큰을 완성하는 시대가 열린 셈이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949


15. 블록체인 비즈니스 플랫폼 '베리드', 3중 보안으로 보안성 강화
정부가 암호화폐의 보안문제 해결을 위해 제재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로그인 패스워드와 프라이빗 키, 전송 승인번호 등 3중 보안으로 보안성을 한층 강화한 블록체인 비즈니스 플랫폼 '베리드(BERITH)'가 주목받고 있다.  금융당국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는 지속하되 블록체인 기술은 육성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은 최대한 장려해 나갈 예정이지만 과도한 암호화폐의 투기적 거래는 제재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다.
http://www.etnews.com/20181101000131


16. “내가 보낸 사진이 블록체인 아이템으로”
디지털 사진이나 이미지를 제공하면 블록체인 자산 아이템으로 만들어주는 온라인 서비스가 나왔다. 소셜 게이밍 플랫폼 기업 엔진은 세계 최초로 주문형 블록체인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는 민트샵(Mint Shop)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엔진은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인 엔진 네트워크 플랫폼과 가상 재화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싱가폴 플랫폼 기업이다. 작년 10월에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프로젝트 엔진코인(ENJ)을 출시했다. 엔진코인은 ERC-20기반의 스마트 콘트랙트 플랫폼으로 게임 개발자, 콘텐츠 제작자, 게임 커뮤니티에게 가상 재화를 구현하고 관리하는 암호화폐 보증 가치와 솔루션을 제공한다.
http://m.fntimes.com/html/view.php?ud=201811011209428940f09e13944d_18


17. SL 블록체인 그룹 Treasure SL 코인, 인도네시아 금광물 공동 개발 협약 체결
암호화폐 중 송금속도 세계 1위인 Treasure SL 코인 개발사 SL 블록체인 그룹(대표 이상준)은 세계 7위 금 생산국가인 인도네시아 광산그룹인 PT. Koin Industri 와 금광물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보물코인으로 불리는 'Treasure SL 코인'은 가장 빠른 송금기능과 강력한 보안기능을 장착하고 채굴과 추천에 의해 토큰을 획득할 수 있는 암호화폐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788


18. 韓·싱가포르 연합 ‘아시아 블록체인 육성 컨소시엄’ 구성
블록체인 기술자문·개발지원·거래소 상장까지 다양한 엑셀러레이팅 역할 수행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939


19. 검증된 블록체인 플랫폼 BUMO 국내 진출 “韓 시장 매력적”
플랫폼 3.0 퍼블릭체인 프로젝트 BUMO가 지난달 31일 오후 7시 JBKHall에서 한국 거래소 상장과 관련된 내용과 추후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발휘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국 블록체인 업계에서 의미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49607


20. 글로벌 골드산업 블록체인 컨소시엄 골드링크스-유비쿼터스 WOT 네트워크 BUMO와 전략적 제휴
10월 31일 수요일 유비쿼터스 WOT 네트워크 BUMO 에서 발행되는 오리지널 암호 디지털 토큰이 내장된 'BU-Token'이 국내 디지털거래소 코인플러그Coinplug에 정식 상장되었다. 당일 저녁, BUMO는 한국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BUMO 기술 플랫폼의 비즈니스 응용 파트너인 글로벌 금 산업 블록체인 컨소시엄 골드링크스도 이 자리에 초청받아, 골드링크스 CEO 오우양윈은 BUMO의 성공을 축하하며 양사의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선포하였다.
http://www.etnews.com/20181101000542


21. 블록체인 쇼핑몰 샵콘, '한끼를 부탁해' 이벤트
블록체인 기반 종합쇼핑몰 ‘샵콘’은 오는 30일까지 ‘한 끼를 부탁해’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샵콘 신규 가입자 누구나 샵콘에서 판매하고 있는 식료품 또는 프라이팬, 에어프라이어 등 주방도구를 2만원 이상 구매한 후 이벤트 페이지에 참여를 완료했다는 댓글을 남기면 된다. 특히 개인 소셜미디어(SNS) 계정에 인증샷을 게재하고 댓글에 주소(URL)를 함께 남기면 당첨 확률이 높아진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4250886619401456&mediaCodeNo=257


22. 세계 첫 ‘상용망 블록체인’… 내년까지 성능 40배로 높인다
융합기술원장 직속 조직 출범 
초당거래량 2500→10만 목표 
中·日과 연합 로밍서비스 타진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110101035903011001


23. 블록체인 전문기업 컨센시스, 소행성 자원 채굴 업체 인수
컨센시스 '우주 이니셔티브', 소행성 자원 채굴 기술력 활용
플래네터리 리소스 시설에서 이니셔티브 운영 계획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0QI14M3


24. 엑솔라, 게임 아이템 디마켓과 블록체인 파트너십
게임 개발자-제작자 및 게이머 위한 새 서비스 지스타 2018 최초공개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9657


25. 금융의 시선으로 본 블록체인의 미래 '크립토 금융 포럼 2018' 개최
“디지털 자산 잠재력, 크립토 OTC 시장 확대로 크립토 시장 빠르게 성장할 것”
http://www.mnc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60


26.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지갑, 내년 상용화”
온라인 보안솔루션 전문업체인 라온시큐어가 생체인증과 블록체인을 접목한 개인정보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FIDO(Fast IDentity Online) 기술을 기반으로 연말 데모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공개하고, 내년 상반기에 1차 상용화를 마친다는 구상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81793


27. 블록체인, 인디아티스트를 만나다…‘팬덤’관리에서 ‘후원’까지 척척
예술가를 위한 블록체인은 어떤 모습일까. 뮤지컬 배우에서 클래식 연주자까지. 연예계로 스며든 블록체인 기술은 팬덤 관리에서 연예인 후원, 포트폴리오 관리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11011101 콘텐츠 임팩트 2018’에서 인디아티스트와 블록체인의 만남을 들여다봤다.
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682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0월 25일 자율주행차 관련 뉴스


1. KETI, 자율주행 기술 ‘라이다’ 융합산업 협의체 발족
자동차·스마트공장·무인기 등 이업종 기업 참여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025171946


2. 자율주행차 달리는 '세종·제주의 미래' 미리 본다
자율주행 특화도시 조성 콘퍼런스가 오는 31일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SCC)에서 열린다. 이 행사는 지방분권 상징도시인 세종과 제주의 산업분야 협력사업으로 추진된 것으로, 양 시·도의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 발전방안과 스마트시티 내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 계획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게 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25/0200000000AKR20181025093900063.HTML


3. 켐트로닉스 김보균 회장 "자율주행車 센서 수출 본격화할 것"
차량·사물 간 통신(V2X) 단말 사업을 추진해 왔던 자율주행 통신·센서 기술 전문기업 켐트로닉스(회장 김보균·사진)가 지능형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기술이 포함된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 기술을 내년 상용화해 중국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ADAS는 지형지물을 인지하고 차량 위치와 주변 상황을 판단해 차량을 제어하는 센서 기술이다. 이 중 가장 앞서 이뤄지는 단계인 `인지`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 부품으로 △레이더(Radar) △다기능 전방 카메라 △라이다(LiDAR) △SVM 등이 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667256


4. 모빌아이, 대구 엑스코에서 ‘자율주행 미래를 위한 안전한 오늘’ 주제 강연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전문 기업 모빌아이가 오는 11월 1일부터 4일까지 대구 엑스코(EXCO)에서 열리는 대구국제미래자동차엑스포(DIFA)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모빌아이 애프터마켓 사업부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및 아프리카 담당인 님도르 도르(Nimrod Dor) 이사가 DIFA에서 “자율주행 미래를 위한 안전한 오늘(Safety Today for the Autonomous Tomorrow)”라는 주제로 발표를 할 예정이다.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378


5. `AI·8K·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용광로, 코엑스로 집결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부터 27일까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2018 한국전자산업대전' 통합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49회째인 전자산업대전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융합과 혁신의 현장'이라는 주제로 729개 업체가 참가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자동차·IT 융합,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IT 산업의 융합 기술력을 보여줬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102402100932781004


6. 인스타그램의 미래, 테슬라의 생존 가능성
2010년 인스타그램을 공동 창업한 마이크 크리거(Mike Krieger: 인스타그램 CTO)와 케빈 시스트롬(Kevin Systrom: 인스타그램 CEO)은 인스타그램(정확히는 기업으로서 페이스북)을 몇 주 내로 떠나겠다고 2018년 9월 24일 공식 발표했습니다. 공식 발표에서 이들 두 명의 창업자는 “호기심과 창의성(curiosity & creativity)”을 다시 찾기 위해 휴식을 취하고 싶어 회사를 떠난다고 말했습니다. 모호한 표현입니다만, “새로운 일(new things)”을 시작하기 위한 힘도 필요하다고 했죠.
http://slownews.kr/71383

반응형
반응형


2018년 10월 21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삼성SDS, 네덜란드 기업과 손잡고 블록체인 물류 확대
삼성SDS(대표 홍원표)는 네덜란드 3대 은행의 하나인 ABN AMRO, 유럽최대 물동량의 로테르담 항만공사와 블록체인 기술 기반 해운물류 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블록체인 사업 강화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삼성SDS는 로테르담 항만공사의 해운물류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자사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를 ABN AMRO의 블록체인 플랫폼 코다(Corda)와 연계하는 시범 프로젝트를 내년 2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6


2. 적극적인 기술 지원 통해 '픽션'의 블록체인 콘텐츠 생태계의 완성도를 끌어올릴 계획.
디지털 콘텐츠 블록체인 스타트업 '픽션'(대표 배승익)이 최근 다양한 기업들과 본격적인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가운데, '코인플러그'와 '메타디움' 등 블록체인 기술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체결했다고 밝혔다. 10월초 웹툰 기업들과 제휴 소식을 전한지 얼마 되지 않아 이번에는 블록체인 기술기업과의 파트너십 체결이 이어진 것으로, 활발한 행보가 업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2422


3. LH·SK텔레콤 손잡고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SK텔레콤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모델 발굴 및 구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발표했다. 협약에 따라 LH는 주택사업 중 국민 생활의 편의성을 높이고 업무 과정을 혁신할 수 있는 분야에 SK텔레콤의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로 했다. 양사는 연내 블록체인 적용 후보군을 선정한 뒤 내년 서비스 도입을 추진할 방침이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2184081


4. 공공 부문 베스트 블록체인 서비스는 무엇?
우수한 국내외 블록체인 공공 서비스 사례를 소개하고 공공기관들에게 시범사업을 위한 정보를 소개하는 책자가 나온다. 20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 연말까지 ‘블록체인 시범사업 사례집’ 제작을 추진해 내년 초 이를 공개할 예정이다. KISA 관계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6개의 공공 부문 시범사업 경과를 국민들에게 알리고 해외 사례를 조사해서 베스트 레퍼런스를 소개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시범사업이 진행되는 만큼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담은 책자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5


5. 종이에서 모바일로 진화…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혁신의 열쇠 4차산업혁명, 신뢰성·저비용·탈중앙성 특징
빅데이터 통한 상권분석 활용, 다양산업 적용 확대 무궁무진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마중물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168680


6. 엔터테인먼트 블록체인 ‘슬레이트(Slate, SLX) 코인’, 한국 상륙
SLATE(SLX)는 멀티레이어 네트워크를 적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유틸리티 프로토콜으로 저비용, 고속, 고해상도 비디오를 전세계적으로 제공하고 블록체인 상 실시간 이벤트 타케팅을 용이하게 해주며 소비자는 전세계로부터 제공되는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에 슬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LX를 사용하면 기획사는 공정한 보상을 받음으로서 소비자는 더 높은 품질의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참여자로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http://www.it-b.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070


7. “중기부, 블록체인 업종 사행성으로 분류해 고사시키나?”
김규환 의원, 신산업발전 핵심 블록체인특허 ‘미국497건, 한국99건(19%)’ 불과 지적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482453


8. 제주서 미검증 블록체인 기업활동 벌여…암호화폐 투자 피해 우려
21일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고용호, 더불어민주당·서귀포시 성산읍)에 따르면 제주도민과 국민들을 현혹하는 검증되지 않은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권유가 도내 부녀자들을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19일 진행된 행정사무감사에서 고용호 위원장은 “블록체인 특구도 하기 전에 벌써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업체들이 제주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검증 안 된 암호화폐 투자 및 사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주도가 모니터링하고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3753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