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9월 28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가트너, 올해 주목할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으로 ‘옵스’ 선정
가트너가 올해 주목할 블록체인 기업으로 이스라엘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기업 ‘옵스(Orbs)’를 선정했다. 옵스는 블록체인 플랫폼 '이더리움'의 단점을 해소하겠다는 프로젝트로, 최근 한국에 사무소를 열고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옵스는 가트너가 올해 주목해야 하는 블록체인 기업으로 ▲미디어 분야의 ‘시빌(Civil)’과 ▲보안 분야의 ‘에버님(Evernym)’ ▲블록체인 기반 브라우저 프로젝트 ‘브레이브(Brave)’ 그리고 ▲블록체인 플랫폼 ‘옵스’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http://www.itworld.co.kr/news/110899


2. 라인 암호화폐 '링크' 10월 공개...블록체인 생태계 본격 공략
라인은 지난 27일 일본 도쿄 롯폰기에서 ‘라인 토큰 이코노미(LINE Token Economy)’를 주제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신규 디앱(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5종을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라인은 또 오는 10월 16일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에서 라인이 자체 개발한 범용 암호화폐인 링크(LINK)를 독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8/2018092802512.html


3. 퍼블릭형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탄생이(비트코인) 중앙집권형 금융시스템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탈중앙적인 사상을 담고 있다. 때문에 인프라 구축을 특정 중앙이 주도하지 않고 자발적 참여로 개개인을 통해 완성된다. 따라서 참여를 위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중앙집권적인 사업은 회사나 국가가 중심이 돼 인프라 확대가 가능하다. 하지만 개인 또는 회사가 자발적으로 해당 인프라 운영 및 확대를 하도록 유도하려면 이들에게 제공할 이익을 명확하게 구성할 수밖에 없다. 또 결과적으로 이익만큼 명확한 동기 요소도 드물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72313


4. 블록체인 TTC프로토콜, 테스트넷·모바일 월렛 공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TTC프로토콜(대표 정현우)은 테스트넷 메라피를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TTC프로토콜은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모바일 및 온라인 서비스에 간편하게 연동 가능하도록,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파트너 플랫폼 내 모든 참여자들에게 기여도에 맞는 TTC토큰을 제공한다. TTC 프로토콜 생태계 내 2천3백만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8092832


5. 中 중재위, 온라인 재판에 블록체인 시스템 개설
난징 중재위원회가 블록체인 기술이 내장된 온라인 판결 시스템을 발표했다. 해당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법률 분쟁 관련 자료를 증언·진술 기록 플랫폼, 금융기관, 기타 중재위원회 등 참여 노드 전체에 분산 저장 및 관리한다. 중재위원회는 "증거 자료의 조작 가능성을 차단하고, 모든 참여자가 분쟁 관련 디지털 증거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중국은 1995년 제정된 중재법을 통해, 시정부 중재위원회가 사업, 금융, 부동산 계약 관련 분쟁을 다룰 법적 권한을 갖도록 하고 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310


6. "암호화폐, 합법도 불법도 아닌 무법"…법제화 이뤄질까
"한국에서 암호화폐는 합법도 불법도 아닌 무법 상태다. 정부는 암호화폐공개(ICO)를 금지한다고 선언했지만 법적 근거는 없다. 블록체인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이제라도 제도권으로 흡수해 관리해야 한다." 블록체인산업 진흥기본법 등 관련 법률 제정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민관 입법협의체'가 이달 출범했다. 암호화폐·블록체인 법제화를 위해 결성된 첫 비영리단체로 블록체인의 바람직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입법 논의가 속도를 낼지 관심이 모아진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004867


7. AT&T, 공급망·의료 분야에 블록체인 솔루션 제시
AT&T는 제조, 소매,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개선할 수 있는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제시하며, 새로운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여러 참여자가 정보를 안전하게 추적·관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제조업체의 원산지 파악 및 상품 추적, 의료업계의 진료기록 보관, 소매업체의 재고 관리, 배송 추적 등 AT&T 블록체인의 여러 활용 방안이 강조됐다. AT&T의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BaaS)은 IBM의 블록체인, 마이크로소프터 애저 등 다른 유명 블록체인 플랫폼과 연결 가능하며, 자체 사물인터넷과도 결합돼 자동화 및 감시 기능 또한 제공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4306


8. 이탈리아, 유럽 블록체인 파트너십 가입...총 27개국 참여
미렐라 리우찌 이탈리아 국회의원은 “블록체인 파트너십 가입으로 블록체인의 기술적 발전을 위한 이탈리아만의 독자적인 노선을 정할 수 있게 됐다”고 자평했다. 유럽 블록체인 파트너십은 올해 4월 유럽연합(EU) 회원국 간 블록체인 산업 관련 기술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결성됐다. 초기 22개국이 참여했으며, 뒤이어 그리스, 루마니아, 덴마크, 키프로스가 합류했다. 이탈리아가 참여하게 되면 총 27개국으로 늘어난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3


9. "블록체인으로 디지털 콘텐츠 산업 판 바꿀 것" 배승익 픽션 대표
이를 돌파하기 위해 한 스타트업이 발 벗고 나섰다. 픽션 네트워크(Piction Network)가 그 주인공. 겉으로 보면 디지털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듯 하지만 여기에 블록체인(Blockchain)을 접목함으로써 창작자와 독자들을 연결하고자 했다. 플랫폼이 창작자를 보유/발굴하고 이들의 콘텐츠를 독자에게 서비스하는 구조와는 사뭇 다르다. 과연 어떤 부분이 다른 것인지 배승익 대표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다.
http://it.donga.com/28209/


10. 몰타, 암호화폐·블록체인 법률 11월1일부터 발효
ICO 시행 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백서 먼저 제시해야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8083956&type=det&re=zdk


11.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 ‘엔진코인’ 빗썸 상장
유니티+엔진의 블록체인 게임 개발 기술력...30일까지 1% 페이백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9280


12. 중국교통은행, 블록체인 기반 13억 달러 '디지털 모기지' 발행한다
27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중국 5위 규모를 자랑하는 중국교통은행이 독자 개발한 'Juicai Chain' 플랫폼을 활용해 93억 위안(미화 약 13억 달러)에 달하는 주택저당담보부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주택저당담보부채권은 주택담보대출을 기초 자산으로 발행된 자산유동화증권으로, 부동산담보증권의 일종이다. 중국교통은행이 블록체인 기반 주택저당담보부채권을 발행하는 것은 블록체인으로 모든 참여자들의 자산을 추적하고 현금 유동성을 관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4300


13. 中 바이두도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 본격화…슈퍼체인 백서 공개
지난 6월 공개한 슈퍼체인의 백서 발표
BaaS 및 주요 6개 앱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내용도 포함
http://www.sedaily.com/NewsView/1S4T7R1I5E


14. 블록체인 스타트업 “콘텐츠 생산자에게 이익 분배”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럭버스터는 여행을 즐기는 모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블록체인 기반 여행 커뮤니티 및 플랫폼 ‘트래블 디네이션(Travel dNation)’을 2019년 1월 선보인다는 목표다.  트래블 디네이션은 블록체인 기술과 여행 서비스 모델을 접목한 신개념 프로젝트다. 당장 여행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각자 능력에 따라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방법을 제시한다. 수행 결과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한 인센티브로 보상해 가치를 생산하고 높은 성취감과 소속감을 부여한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7/2018092702895.html


15. 세계 최초 블록체인 서바이벌 블록배틀, “국내 제도 방향 가늠할 수 있는 시간 될 것”
먼저 블록배틀은 전 세계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로 경쟁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최근에는 힐스톤파트너스와 50억원 규모의 투자의향서 체결하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문경미 실장은 “현재 블록배틀은 30여명의 전문가들이 백서 검토를 통해 사전심사까지 마무리 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후에는 프리젠테이션을 통한 10개의 팀이 최종 본선에 진출하게 되며 각 단계별 미션 수행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리게 된다.
http://www.ak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31


16. 글로벌 주요은행 75곳 참여한 JP모건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시동
JP모건은 독자적인 블록체인를 구축 및 개발해왔으며, 작년 캐나다 로열은행, 호주·뉴질랜드 은행그룹(ANZ)과 팀을 꾸려 R3 컨소시엄과 경쟁하는 위치에 자리했다. 주요 은행 75곳을 추가로 포섭하면서, 모든 은행이 접근할 수 있는 공동 원장을 통해 국경 간 지불 네트워크 간소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 기존 국경 간 지불 처리는 중개기관을 최소 3곳 이상 거치며, 충돌 방지를 위해 약 2주 가량이 소요됐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85


17. 오스트리아 정부,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 통해 국채 발행
오스트리아 정부가 13억5000만달러 규모의 국채 발행에 따른 공증을 위해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을 사용하기로 했다. 국채 공매는 10월 2일(현지시간) 진행될 것이라고 오스트리아 현지 언론인 클레이네 차이퉁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채 공매에 필요한 공증 서비스는  2017년 기준으로 260억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유한 오스트리아 최대 은행인 OeKB(Oesterreichische Kontrollbank)가 운영을 담당할 것으로 전해졌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0


18. 인도국립증권거래소, 블록체인 투표 플랫폼 시범 도입
27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인도국립증권거래소가 '투표권의 토큰화'와 함께 상장 회사, 등록‧전송 대리업체, 규제당국을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투표가 토큰화되면 결과 전송과 프록시 연결이 보다 손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시범 테스트는 블록체인을 도입한 투표 과정의 편의성 평가를 목표로 한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99


19. 원희룡 제주지사 선거법 위반 혐의 조사, 블록체인 특구 정책에 악영향 미치나
경찰은 지난 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2014년 지사 취임 직후 모 고급 골프장 주거 시설의 특별 회원권을 받았다는 금품수수의혹을 밝히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선거 당시 문대림 후보가 도의회 의장 시절 드림타워 개발사업에 관여했다는 발언에 대한 허위사실 공표혐의와 지난 5월 제주관광대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 일자리 공약을 발표한 부분에 대한 사전선거운동 혐의 진위 여부도 가려낼 예정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4303


20. 블록체인계 ‘안드로이드’ 나올까…플랫폼 ‘춘추전국시대’ 주도권 싸움 ‘본격’
- 두나무, 카카오, 라인 등 플랫폼 메인넷 선점 경쟁
- 국내 벤처기업도 플랫폼 경쟁 가세
- “개방성 관건, 국내 기업 경쟁력 확보도 시급”
http://heraldk.com/2018/09/27/%EB%B8%94%EB%A1%9D%EC%B2%B4%EC%9D%B8%EA%B3%84-%EC%95%88%EB%93%9C%EB%A1%9C%EC%9D%B4%EB%93%9C-%EB%82%98%EC%98%AC%EA%B9%8C%ED%94%8C%EB%9E%AB%ED%8F%BC-%EC%B6%98/


21. 오하이오 주, 블록체인 사용을 권장하는 법안 서명
미국에서 다섯번째로 큰 금융 시장인 오하이오 주는 블록체인 기술 사용을 지원하는 법적 틀을 세우고 있다. 오하이오 주 지사 존 카시치(John Kasich)는 지난 금요일, 블록체인 사용에 관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정한 법안에 서명함으로써 미국에서 첫번째로 금융 서비스, 부동산, 공급망 관리 및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주가 되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273


22. 아이블록체인 서밋 2018(iBlockchain Summit 2018) 광저우에서 11월 2일에서 이틀간 열려
iBlockchain Summit 2018 ( "iBS 2018")을 위해 2018 년 11 월 2-3 일 중국 광저우의 광저우 바 이윤 국제 컨벤션 센터에서 업계 지도자들이 모여 아시아의 개발중인 블록 체인과 흥미 진진하고 변형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발견하십시오. 이틀 간의 이벤트는 투자자, 업계 관계자, 전세계의 블록 체인 및 암호 애호가가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통찰력을 공유하면서 동시에 블록 체인 생태계의 모든 측면을 하나의 놀라운 위치에서 분석 할 수있는 빠른 속도감과 몰입 형의 기회입니다. Summit 주최측은 다양한 기조 연설자, 스폰서 및 출품자의 뛰어난 라인업과 최신 트렌드 블록 체인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61


23. 블록체인 스타트업 '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2500만 달러 투자유치
블록체인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스타트업인 빔은 골드만삭스를 포함한 다수의 투자사로 부터 25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골드만삭스를 포함해서 GV(前 구글벤처스), 트렌드포워드캐피털, 엑스톨캐피털, 클라이너퍼킨스, 판테라캐피털 등 다수의 투자사가 참여했다. 빔은 중소 규모 비즈니스의 결제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스타트업으로 국제 송금시스템의 속도가 느린것에 대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110


24. 中바이두, 블록체인 백서 발표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바이두가 블록체인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바이두의 블록체인 연구소(Blockchain Lab)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슈퍼체인(XuperChain)' 백서를 27일(현지시각) 발표했다.  바이두에 따르면 슈처체인은 1초당 1만건 이상의 트랜잭션(transactions )을 수행한다. 슈퍼체인은 멀티코어 병렬 연산을 사용해 처리 용량을 늘렸고, 사이드체인(sidechains)을 이용해 네트워크 속도를 높였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8/2018092802119.html


25. 페이뱅크, 중국블록체인협회와 밋업-컨퍼런스 연다
페이뱅크가 최근 업무협력을 추진중인 타이 그룹(Tai Group)은 중국에서 가장 먼저 ICO(가상화폐 기업공개)를 성공한 기업이다. 현재 임직원 약 400여명이 암호화폐거래소 'BCEX'과 '올코인(AllCoin)'을 운영하고 있고 블록체인 펀드를 운영하는 회사로 알려져 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284276v


26. "블록체인과 음악산업 간 시너지 찾는다"
서울시·서울경제 주최 ABF in Seoul '블록체인과 음악산업의 만남' 무대 공연 아티스트 8팀 모집
10월 27~28일 마포 서울창업허브, 29~31일 장충동 신라호텔, 11월 1일서초구 세빛둥둥섬 행사 무대
공연 아티스트 대상 멜리펀트의 블록체인 기반 아티스트 정산 플랫폼 '스플릿(SPLIT)'베타서비스 개시
http://www.sedaily.com/NewsView/1S4TALZQCJ


27. 블록체인 TTC프로토콜, 테스트넷·모바일 월렛 공개... "올해 4분기 중 정식 메인넷 런칭할 것"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TTC프로토콜(대표 정현우)이 테스트넷 메라피를 공개했다고 28일 전했다.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알려져 있는 TTC 프로토콜은 모바일 및 온라인 서비스에 간편하게 연동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파트너 플랫폼 내 모든 참여자들에게 기여도에 따라 TTC 토큰을 부여한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649


28. "이더리움 대체 않고 보완"...옵스, 한국 공략 가속
이스라엘 기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옵스(orbs)의 한국 시장 공략에 가속도가 붙었다. 카카오 블록체인 자회사인 그라운드X와 기술 제휴를 맺은데 이어 최근에는 서울 사무소를 열고 5명의 풀타임 직원을 투입했다. 또 경북코인 프로젝트와 관련해 경상북도와 손을 잡는 등 옵스의 국내 시장 공략은 최근들어 더욱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옵스는 이더리움을 보완하는 것을 표방하는 퍼블릭 블록체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아이콘이나 EOS 등 이더리움 대체제 성격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비교해 슬로건에서 차이가 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28


29. 클라우드 서비스도 이젠 블록체인 시대
일찌감치 블록체인 분야의 기술을 연구하면서 블록체인 업계 기술 표준을 지향하고 있는 IBM의 경우는 리눅스 재단과 ‘하이퍼레저’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으며 모든 산업영역에서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한다는 게 목적이다. 오라클, 아마존, MS와 같은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에서도 일찍이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신규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반의 앱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개발 툴킷을 제공하는 등의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https://kr.acrofan.com/detail.php?number=115444


30. 트루체인, 연내 메인넷 론칭..."첫 상용화 블록체인 3.0 목표"
이달 국내 가상화폐거래소인 빗썸에 상장된 트루체인이 올해 메인넷을 론칭한다고 27일 밝혔다. 퍼블릭 체인을 지향하는 트루체인은 보안과 초당거래속도(TPS)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독특한 합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미네르바(Minerva)라고 불리는 이 매커니즘은 작업증명(POW) 방식과 플랙티컬 비잔틴 장애허용(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PBFT) 방식을 합쳤다.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057


31.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파트너십과 엔트레이드 IO 블록체인 기술 공동 개발에 합의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더해 폐기물에서 에너지로의 전환, 태양광 및 전력 스토리지 등에 이르기까지 공동 개발작업은 북미주에서 처음 개시될 예정이며 추후 전세계적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이번 파일럿 프로그램은 증강현실(AR) 기술을 통해 시스템 개발, 모니터링,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재생가능 에너지 솔루션을 탐색할 예정이다. 새롭게 결성된 엔트레이드 IO 파이낸싱 플랫폼은 미국 이외 지역에서 이미 가동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프로젝트 필요가 가장 높은 지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되고 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101


32. 리텀 재단, 국내 실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내놔
리텀 재단은 2018년 싱가포르에 설립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국내 암호화폐 시장 활성화를 위해 리텀 코리아와 마케팅 협력 및 댑(dapp)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개인사업자 혹은 중소 비즈니스 운영자들을 ‘스몰리스트’라는 이름으로 통칭하여 다수의 스몰리스트가 올린 바운티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들이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현금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노력하고 있다.
https://kr.acrofan.com/detail.php?number=115484


33. 블록체인업계, 헬스케어 서비스 공략 ‘주목
’스타트업 중심 비즈니스 생태계와 환자 커뮤니티 구축 프로젝트 등 다방면 활동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0852


34. 라인, 블록체인 디앱(Dapp) 공개 … 시장 선도 나선다
네이버 라인과 카카오가 블록체인 서비스를 공개하며 큰 기대를 모은 바 있다. 거대 IT기업의 블록체인 진출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라인이 먼저 블록체인 서비스의 윤곽을 드러내며 앞서 나가는 모양새다.라인이 27일 도쿄 롯폰기에서 ‘라인 토큰 이코노미(LINE Token Economy)’를 주제로 신규 디앱(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5종을 공개했다. 또한 오는 10월 16일 라인이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에서 라인이 자체 개발한 범용 암호화폐인 링크(LINK)를 독점 공개할 예정이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968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18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업비트, 거래소에 머물지 않고 블록체인 미래에 투자”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이 개발중인 루니버스는 블록체인 기술이 없는 개발자도 쉽게 블록체인 상에 댑(dapp/분산형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다. 람다256 쪽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좋은 댑 개발에 집중해야 하는데, 어떤 블록체인 플랫폼이 좋을지 고민하느라 정작 서비스 개발에 몰입하지 못하고 있다”며 “루니버스는 사용자들에게 널리 보급될 수 있는 댑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62565.html


2. “블록체인, 투기 아닌 ‘신뢰’ 찾아야”
가상통화(암호화폐)의 인기가 뜨겁게 타올랐다가 냉각기에 들어서면서 최근 블록체인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은 두 가지로 양분된다. 과열되었던 가상통화의 거품이 꺼지고 난 지금 블록체인 시장은 가상통화 이상의 가치에 도전하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이 갈 길은 아직 멀어보인다. 차세대 블록체인 CEO들도 이를 인정했다. 이들은 블록체인의 한계점을 지적하면서도 잠재성이 높은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B8%94%EB%A1%9D%EC%B2%B4%EC%9D%B8-%ED%88%AC%EA%B8%B0-%EC%95%84%EB%8B%8C-%EC%8B%A0%EB%A2%B0-%EC%B0%BE%EC%95%84%EC%95%BC


3. 싱가포르 핀테크협회장 "블록체인, 기대 뛰어넘을 것"
[블록체인서울2018] 치아 훅 라이 싱가포르 핀테크협회장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73708


4. “블록체인은 에스토니아의 미래”
아세 사우가 에스토니아 암호화폐협회 회장은 1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서울 2018’ 둘째날 행사 ‘B7 서밋’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에스토니아는 정부 공공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나라로 꼽힌다. 또한 매우 이른 시점부터 암호화폐 관련 규제와 법제도 마련에 나선 나라기도 하다. 2014년 암호화폐를 공식 통화로 인정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15743


5. “로커스체인은 빠르고 가벼운 차세대 블록체인”
그는 “기존 블록체인은 사용자 증가나 거래 증가로 원장이 쌓이면 느려지고, 여러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며 “로커스체인은 아직까지 블록체인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차세대 블록체인으로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로커스체인은 합의 처리에서 DAG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여러 트랜잭션을 분리해 병렬로 처리함으로써 거래량 증가에도 빠른 처리 속도를 낼 수 있다. 샤딩 기술을 도입해 데이터와 사용자 수 증가 시에도 원장의 무게를 줄여 거래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62354


6. 바하마 주지사 "블록체인은 새로운 사업...암호화폐 환경 마련"
[블록체인서울2018] 돈 코니시 강연...블록체인 인력도 적극 양성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82937


7. 3세대 블록체인 메인넷 개발사 한 곳에…블록체인 서울 2018
9월 17~19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D홀에서 열리는 ‘블록체인 서울 : 2018-B7 서밋’을 위해 전세계 7대 메인넷 개발 회사 CEO가 연단에 오른다. 오아시스 랩의 CEO 돈 송 (Dawn Song) 교수, 테조스의 CEO 캐슬린 브라이트만 (Kathleen Breitman), 온톨로지의 창업자 준 리(Jun Li) 대표, IOST의 공동설립자인 지미 정 (Jimmy Zhong), FLETA(플레타) 박승호 대표, 보스코인 최예준 대표, 아이콘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아이콘루프의 김종협 대표 등이 참여해, 확장성, 보안, 탈중앙화라는 3가지 측면에서 블록체인의 기술적, 철학적 과제에 대해서 활발한 논의를 펼쳤다.
https://www.venturesquare.net/768760


8. 파수닷컴, 블록체인서울 2018 행사 참가
17일부터 19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블록체인서울2018'은 전 세계 7대 블록체인 국가 및 도시 책임자와 유명 블록체인 경영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블록체인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다. 파수닷컴은 블록체인서울2018 현장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컴플라이언스 지원 문서관리솔루션을 시연했다. 최근 출시한 '파수블록(FasooBlock)'이다. 파수블록은 전자문서의 시점 확인과 진본 증명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01333


9. KISIA, 블록체인 전문위원회 발족
"블록체인 보안강화, 서비스 활성화 및 적용분야 보안성 담보"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34931


10. 한양대, 내년 블록체인학과 설립한다
20일 한양블록체인연구원 설립...국내 최대 연구집단 육성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04901


11. "북위 30도 아래 36억명을 위한 블록체인"
리빈은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플랫폼 이다. 사용자들이 리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위치 및 콘텐츠를 게재하고 사용자간 평판을 합의하는 방식으로 리빈코인(VEEN)을 획득할 수 있다. 리빈은 플랫폼 기반으로 기부, 크라우드펀딩, 마일리지 교환, 광고, 전자상거래,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리빈 서비스의 1차 타겟 고객은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 남미 지역 36억 명이다. 5년 내 10억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31333


12. 유영민 장관 "블록체인 성공사례 빨리 나와야"
이날 유 장관은 정부가 혁신성장으로 추진하고 있는 8대 선도산업을 언급하며 “정부가 자원을 투입해 장기간 해야 할 분야는 데이터, 인공지능, 수소경제 등인데 또 중요한 하나가 블록체인”이라며 블록체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단기간에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선 인력 육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유 장관은 “숲이 만들어져 숲 속에서 나무들이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여기에 대한 성공 스토리와 레퍼런스(참고 사례)가 한국에서 시급히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44849


13. 한국IBM,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본격화
한국IBM은 국내 핀테크(기술 금융) 기업 ‘피노텍’과 블록체인 플랫폼 업체 ‘베잔트 파운데이션’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우선 피노텍과는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플랫폼을 함께 구축하고 있다. 피노텍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리빈’을 운영하면서 ‘이더리움’ 기반의 암호화폐 ‘빈’을 운영하고 있다. 피노텍은 한국IBM 클라우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SNS 사용자의 정보를 위·변조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가상화폐로 보상하고 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S4OPA74FL


14. 알리바바 마윈 "블록체인, 사회변화 일으켜야 의미有"
18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마윈은 첨단기술이 그 가치와 의미를 인정 받으려면,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회장은 17일 중국에서 열린 '세계 인공지능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가진 문제와 일반적인 오해들을 집중 조명하는 가운데, 새로운 '데이터 시대'의 기술적 분수령이 될 핵심기술로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을 언급했다. 그는 "데이터 시대는 제조산업을 변화시킬 큰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이 이러한 변화를 촉진하고, 종합적인 발전을 도울 수 없다면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211


15. 스페인 자치단체 아라곤, 공공행정에 블록체인 최초 도입
아라곤 자치정부의 금융 및 행정 처리 담당부는 스페인은 물론, 유럽 규제를 준수하는 블록체인 기반 각종 툴을 제작하는 274곳의 업체 및 기관들의 연합 'Alastria'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아라곤은 스페인 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국가 행정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도입하게 된다. 아라곤 자치정부의 금융 및 행정 처리 담당부 관계자인 Fernando Gimeno는 해당 계약이 매우 혁신적인 행보임을 밝히며, "가까운 미래에 세계는 블록체인의 힘을 확연하게 느끼게 될 것이다. 블록체인은 공공행정 처리에 필수적인 역할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4220


16. 미디어업체가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한 이유
이 질문은 해당 행사에 참가한 김상범 블로터앤미디어 대표에게 던져졌다. 미디어 업계가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를 별도 신설하는 일이 많지만,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직접 만든 사례는 국내에서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김상범 대표는 블로터앤미디어에서 진행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레벨’을 홍보하기 위해 ‘블록체인 서울 2018’ 행사장에 찾았다. 정장차림이 아닌 ‘레벨 프로젝트’ 로고가 새겨진 검정색 반팔 티셔츠를 입고 온 그는 “누구나 1인 미디어를 만들 수 있고 콘텐츠도 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며 “하지만 이 콘텐츠를 어떻게 유통시키고 유지하는지에 대한 비즈니스 적인 노하우는 1인 미디어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7161612&type=det&re=zdk


17. 딜라이트체인, 9월 18일 '자기지속적인 블록체인 국제 컨퍼런스' 개최
딜라이트체인 대표 이영환 박사는 인공지능과 핀테크, 블록체인 전문가로 알려진 인물로 최근의 블록체인 트렌드가 ‘자기지속성(Self-Sustainability)’이라는 의제로 향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자신의 국제학술 네트워크를 활용해 이번 컨퍼런스를 기획했다. “4차산업혁명과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시작점”이라는 제목으로 비전 세팅에 나선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원 자문위원이며 요즈마 그룹 과학기술사업화 총괄센터장 장세탁 박사의 기조강연을 필두로 인도 VJTI 뭄바이대학교 총장인 대렌 R. 파텔 교수, 월드뱅크 보안 아키텍처 윌리엄 장 디렉터, 고려대학교 암호화화폐연구센터 센터장 김형중 교수, 딜라이트체인 대표 이영환 박사가 강연에 나섰다. http://www.etnews.com/20180918000352


18. 글로스퍼, 프라이빗 블록체인 사업에도 하이콘 기술 적극 투입
블록체인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사내 벤처1호 ‘블록체인씨엔에스(Blockchain C&S)’를 출범했다고 18일 밝혔다. 자체 개발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콘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시장에도 투입하기 위한 행보다.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관련 기술과 노하우로 블록체인씨엔에스 실증 프로젝트와 기술 구현을 지원할 예정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4


19. “블록체인, 인터넷처럼 새시대 열 것”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 2018
“생활밀착형 서비스 개발 시급”
국내외 전문가들 한목소리
“암호화폐 규제 심해” 지적도
https://news.joins.com/article/22970224


20. IOST, '왓챠'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추진
투자는 IOST 재단 산하 벤처캐피털 겸 인큐베이터인 블루힐이 콘텐츠 프로토콜의 프라이빗 ICO(Private ICO)에 참여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캐리프로토콜에 이은 두 번째 국내 프로젝트 투자다. 콘텐츠 프로토콜은 주문형 비디오(VOD)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 왓챠가 진행중인 리버스 ICO 프로젝트다. 왓챠는 자사의 주력서비스인 왓챠플레이를 통해 이미 400만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했다. 콘텐츠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위에 동영상을 올리고, 시청자가 사용량의 일부를 보상받는 내용을 담았다. 이는 콘텐츠 유통 수익을 특정 플랫폼이 독식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5660g


21. 경직된 경연장 분위기 바꾼 AR 비트코인 게임
최고의 블록체인을 찾는 경연 행사의 경직된 분위기가 AR 비트코인 게임으로 인해 밝아졌다. 국내 업체 닉스블록은 18일 서울 코엑스 D홀 컨퍼런스 C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울 2018’ 부대행사 ‘최고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찾아라’ 부대행사에서 자체 AR 기반 비트코인 채굴게임 ‘코인몬스터’를 선보였다. 코인몬스터는 닉스블록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닉스코인(NiX Coin)' 기반으로 작동되는 게임이다. 포켓몬고같이 증강현실 속에 나타나는 닉스코인을 잡을 수 있고, 운이 좋으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가상 화폐를 얻을 수 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60942&type=det&re=zdk


22. 블록체인 관련 특허 보유량, 중국이 압도적 1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중국 알리바바가 전 세계 블록체인 특허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급부상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 분야를 장악하기 위한 중국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는 듯하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106


23. 네오플라이,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사업 본격 시동
올 초 크립토 투자 계획을 밝힌 후, 내부자금 크립토 펀드를 조성하고 6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를 집행했다. 네오플라이가 투자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플레이어원’, ’센티넬프로토콜’, ’TTC프로토콜’, ’코스모체인’, ’콘텐츠프로토콜'과 '테라' 이다. 네오플라이는 액셀러레이팅 사업 확대를 계기로 초기 단계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대한 액셀러레이팅도 본격화하고, 인큐베이션, 다양한 디앱 개발 및 지원, 투자/육성 노하우를 제공하기로 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6


24. 링크제니시스,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사업 다각화 추진
회사 측은 “사업 다각화를 통한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칸델라체인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링크제니시스는 2003년 12월 설립된 업체로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력 판매 제품인 MAT(테스트 자동화 지원 도구)는 국내 1위의 소프트웨어 검증 자동화 솔루션이다. 완성제품의 기능적 동작을 테스트하는 블랙박스 테스트가 주요 사업이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64840


25. 美 CTFC 의장 ‘미국은 블록체인 산업에서 4년 뒤쳐졌다’
청문회의 주제는 “CTFC를 위한 아젠다(Agenda) 검토”로 농업 하원위원회 의원들이 소집됐다. 청문회동안 지안카를로 의장은 오스틴 스콧(Austin Scott) 하원 의원으로부터 ‘핀테크의 혁신 커뮤니티와의 협력 허브인 LabCFTC의 목표를 설명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며 그는 기관이 작년에 설립됐고 “LabCFTC는 시장에서 핀테크 개발을 위한 새로운 규정을 발견할 수 있게 도와주며 빠르게 진행되는 혁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010


26. 다인리더스, 하노이개방대학교와 블록체인기술교류 MOU
3만여명의 재학생을 가진 베트남 최대 규모의 원격 고등교육기관에 안전한 블록체인기반 온라인 학위 증명 서비스를 내년 상반기까지 구축한다. 다인리더스는 국내 30여개 대학, 60만명의 대학생이 사용하는 통합 이력·경력개발 서비스 캐리어 PASS 2.0을 개발한 곳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아래 블록체인 기반 모든 자격증, 학력 또는 기타사항을 인증하는 개인별 포트폴리오 검증 플랫폼을 상용화했다. 이 기술을 온라인 학위 증명 서비스에 적용, 검증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
http://www.etnews.com/20180918000223


27. 블록체인이 가져올 광고 시장의 변화
모비아카데미에서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국내외 광고 프로젝트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디지털 광고 시장의 문제점과 동시에 앞으로의 광고 시장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강연을 준비하였습니다. 본 강의를 통해 블록체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부터 실제 블록체인 광고 프로젝트들을 바탕으로 블록체인과 광고 시장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모바일/디지털 광고 시장 종사자 및 마케터 등 블록체인과 광고시장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http://www.mobiinside.com/kr/2018/09/18/mobiacademy-digital-news-project/


28. 20여 개국 '글로벌 빅샷' 총출동… 블록체인 만난 부동산 미래를 본다
19일 개막…21일까지 코엑스서 
비트코인닷컴 CEO 등 연설
美 하와이·호주 퀸즐랜드 등 
해외 부동산 프로젝트 한눈에
국내 투자 전략도 알 수 있어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78711


29. 카탈루냐 정부, 블록체인 기술 통합 계획 수립
카탈루냐의 스페인 자치 커뮤니티 공식 정부 기관인 카탈루냐 정부(Government of Catalonia)는 “디지털 서비스를 대중에게 개선하고, 그 기술의 잠재력을 정부와 기업과 시민들 간에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홍보할 것”이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카탈루냐 디지털 정책국은 2018년 12월 말까지 공공 행정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합할 계획을 수립해야한다. 디지털 정책 부서의 전략은 통합 부서 그룹에 의해 정해질 예정이며, 블록체인 분야에 대한 지식, 교육과 인재 양성을 촉진하고 잠재력과 경제 가치를 최대화하는 기술 영역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007


30. 블록체인 주요 8개국 생태계 확산 MOU
'블록체인 서울 2018'에서…"기술·정보·인재 교류"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8153421&lo=z35


31. 세계경제포럼, 글로벌기후 정상회담에서 '환경문제 해결할 블록체인 활용안' 발표
해당 연구는 가장 시급한 환경 문제를 해결할 65가지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다룬 것으로 글로벌 기후 행동 정상회담에서 발표됐다. 연구는 천연자원, 수자원의 탈중앙 관리부터, 환경 파괴 없는 공급망 구축까지 블록체인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어획량 유지, 온실가스 배출, 분산 전력 거래와 같은 실제 활용 사례뿐 아니라 저탄소·지속가능 경제 성장에 필요한 새로운 펀딩 방식으로도 거론됐다. 세계경제포럼은 언론 보도를 통해 "투명성이 요구되는 공급망, 정책 수립 절차 등을 블록체인 컨트랙트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216


32. 연세대보건대학원, ‘블록체인과 의료 고위과정’ 개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은 블록체인 전문매체 블록미디어와 손잡고 10월부터 제32기 ‘블록체인과 의료 고위과정을 개설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고위과정은 블록체인의 개념, 국내외 의료분야의 블록체인 적용사례, 임상실험에서 블록체인 활용까지 이론에서 실제를 두루 망라하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10월부터 내년 1월 21일까지 총 15주 일정으로 진행된다. 의료기관 및 제약회사의 대표 및 임원을 비롯해, 블록체인 관련 기업의 대표와 임원, 기타 의료 경영에 관심 있는 의료인 등 각 분야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40명을 모집한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693697&code=61171911&sid1=cul


33. 호주 멜버른 공과 대학, 학생에게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 제공
로열 멜버른 공과 대학(RMIT)은 월요일 학생들이 블록체인에 저장된 자격 증명을 얻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디지털 자격 인증 플랫폼인 Credly와 함께 개발되었다. 새로운 유형의 자격증을 사용하면 학생들은 자신의 기술을 발표하고 블록체인에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LinkedIn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과 기술을 공유 할 수 있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006


34. 기프토, 블록체인 게임 기프토몬 한국어 버전 출시, 지난 7월 영어버전 출시후 2주만에 4000명 넘는 사용자 기록
- 기프토, 블록체인 게임 기프토몬 한국어 버전 출시, 지난 7월 영어버전 출시…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235


35. 블록체인시대 코인 교육 열풍
씨큐브코딩은 강서고 1학년 학생 320여명을 대상으로 2학기 코딩 정규수업을 운영하기로 하고, 8월부터 ‘피지컬 컴퓨팅-SPL로 컴퓨팅 사고력 키우기’ 수업을 시작했다. 씨큐브코딩은 이 수업을 위해 씨큐브코딩의 강사진과 교재·교구, SPL 등을 제공한다. SPL(Simple Program Language)은 씨큐브코딩이 자체 개발한 컴파일러로 블록 코딩과 스크립트 코딩의 격차를 줄여주는 중간언어이다. 일반고 가운데 2018학년도 서울대 등록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강서고는 학생들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중 하나로 코딩교육을 도입하고 커리큘럼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기관을 찾던 중 씨큐브코딩을 접하고 직접 제안을 해왔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861


36. 태그앤, 블록체인 기술로 코인 개발 전담 서비스 사업 진출
태그앤(대표 김기성)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코인시스템 개발 전담 서비스 영역에 진출했다. 코인 개발, 거래소 개발, 지불시스템 개발 등은 물론 채굴기 세팅·백서 작성까지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에 원스톱 서비스한다. 회사는 코인 시스템 R&D 전문 기업을 표방하고 있다. 회사는 독자적인 메인넷 시스템을 개발해 토큰이 아닌 코인 생성을 지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한다. 코인시스템은 스프링 기반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따르면서 확장성과 호환성이 뛰어난 자바를 지원한다.
http://www.etnews.com/20180918000287


37. 넘버스, 뉴질랜드 소셜카지노 회사와 MOU…블록체인 접목
넘버스(대표 문영오, 조한규)는 지난 17일 뉴질랜드 소재 소셜카지노 게임 개발사 지오팝스 리미티드(대표 Andrew HUR)와 블록체인 게임 비즈니스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넘버스에서 개발 중인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7Chain' 은 게임 플레이어가 난수 생성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게임 결과에 투명성을 보장하는 RNG 프로토콜이 핵심이다. 넘버스는 블록체인을 적용하고자 하는 게임 기업에 관련 기술을 지원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6420v


38. 블록체인 스타트업 템코, 투자자문사 TLDR과 글로벌 파트너십 맺어
템코(TEMCO)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급망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 및 운영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자문 회사인 TLDR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히면서  TLDR의 공동설립자인 톰 그라함(Tom Graham)을 비롯해 알렉스 야마시타(Alex Yamashita), 그라함 프라이드맨(Graham Friedman)이 템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고 전했다. 템코는 올 7월 ‘비트고(Bitgo)’ 창업자이자 전 CEO인 윌 오브라이언에 이어 8월 초 RSK의 설립자인 가브리엘 컬만을 어드바이저로 영입한 바 있다. 이번에 자문사인 TLDR과 파트너십을 맺게 됨으로써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시장에서 사업모델의 견고함을 어필 할 것으로 보인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652


39. ‘블록체인 허브도시’ 제안의 허와 실을 따져 본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모임 제주미래전략산업연구회(대표 김희현 의원)가 오는 20일 ‘제주, 블록체인 허브도시의 의미와 그 가능성 모색’이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원희룡 지사가 정부에 글로벌 블록체인 특구 지정을 요청하고 있는 가운데, 블록체인 기술과 산업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인 블록체인의 기술적, 산업적, 법적, 사회적 효과를 예측해보고 이를 통해 도민 삶의 질 향상과 제주지역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http://www.media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310056


40. 연세대·러시아 엠지모대학, '스마트시티 연구' 협약
블록체인 전문업체 에치닥·드림체인·부동산블록체인연구소 등도 산학연 협약
17일 연세대 스마티시티융합서비스연구개발단과 신촌캠퍼스 공학동에서 진행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87856i


41. 체이너스, 첫번째 공식 밋업 ‘CHAIN US’ 성료
비전크리에이터(Vision Creator) 그룹 소속 계열사 체이너스(Chainers)가 지난 14일 잼투고(Jam2go) 2층에서 첫번째 밋업 체인어스(Chain Us)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Chainers 2018, Ontology press conference 이후 체이너스(Chainers)가 주최한 첫번째 밋업으로, BUMO, SPIN PROTOCOL, IOTW, LAMBDA등의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자리다.
https://www.blockmedia.co.kr/chainers-meetup-chain-us/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14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IoT의 미래를 엿본다...'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손가락 하나 움직이지 않고 주변의 모든 사물을 조종하는 건 이제 영화 속만의 일이 아니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http://ytn.co.kr/_ln/0105_201809140236308645


2. 제주 대중교통 기반 사물인터넷 통합플랫폼, 최고상
제주특별자치도의 '대중교통 기반 제주 사물인터넷(IoT) 통합플랫폼 서비스체계 구축' 사업이 지역정보화 연구과제 발표대회에서 최고상을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13~14일 전국 정보화담당 공무원 300여명이 참석한 제35회 지역정보화 연구과제 발표대회'에서 제주특별자치도 '대중교통 기반 제주 IoT 통합플랫폼 서비스체계 구축'에 대통령상을, 전북 김제시 '특이차량 실시간 알림이 시스템 구축'에 국무총리상을 수여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71339


3. 생활속 IoT기술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최첨단 사물인터넷(loT)의 기술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2018 사물인터넷 국제 전시회’가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COEX)에서 개최됐다. 국내외 200여 개 기업이 400부스 규모로 참가했고 전시품목은 loT 응용서비스, loT 융합제품, loT 보안, 유무선 통신 등 네트워크, loT 플랫폼, loT 디바이스 등 다양한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를 선보였다.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46296


4. SBA, ‘도시 공공시설 문제해결 위한 서울 IoT 해커톤’ 개최
서울시와 서울시 일자리 창출의 주역인 중소기업지원기관 SBA(서울산업진흥원)는 서울의 공공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설공단, 세계적인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설계기업 arm, 클라우드 기반 사물인터넷 서비스 기업 달리웍스 등 IoT 관련 기관, 기업과 손잡고 ‘서울 IoT 해커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2990


5. 서울도시가스,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참가
자체 기술로 제작한 애플리케이션과 IoT 기반의 디바이스 전시
http://www.koenerg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626


6. 에어릭스, 사물인터넷 진흥주간에서 과기부 장관 표창
에어릭스의 IoT 시스템은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휴대용 디바이스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산업현장 설비의 고장 이력을 관리하는 스마트 정비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한 사전 정비 예측이 가능하고, 소모품의 수명을 연장시켜 운영 비용까지 절감된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63936


7. LG CNS·한컴 등 SW기업, 미래생활 변화시킬 신기술 선봬
LG CNS는 IoT 플랫폼 '인피오티', 스마트시티 플랫폼 '시티허브', 로봇 서비스 플랫폼 '오롯' 등 서비스를 소개했다. 인피오티는 가전 등 홈 IoT부터 자동차, 공장, 교통수단, 빌딩 등 다양한 IoT 기기의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한다. 데이터는 유형별로 한 번에 쉽게 표준화해 저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커넥티드카, 홈IoT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지원한다.
http://www.etnews.com/20180914000270


8. 다원디엔에스, IoT 기능 AI 스마트 플러그 개발
다원디엔에스(대표 여운남)가 최근 인공지능(AI) 스마트 플러그를 개발했다. 네이버, 구글, 카카오 등에 공급한다. 이 회사가 개발한 스마트 플러그는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통해 소비전력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무선통신을 이용해 스마트폰과 PC 등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과열 및 과전압 차단 보호 회로를 채택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소켓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타이머와 알림 등 다양한 기능도 갖추고 있다.
http://www.etnews.com/20180913000333


9. 효성중공업, 포스코건설과 '스마트 변전소 기술 개발' MOU
효성重 AHMS-포스코건설 플랜트 기술 접목해 변전소 통합 관리 기술 개발
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변전 설비 실시간 진단 및 관리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91410001667609


10. 인텔, 획기적인 이동통신 규격 5G로 미래의 먹거리 준비
인텔은 9월 12일 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MWC 아메리카에 앞서 5G 서밋이라고 불리는 기자 회견을 개최, 통신 장비 인프라 기업 및 미디어 기업과 함께 5G 보급을 목표로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인텔은 “2023년 분당 2PB의 모바일 데이터가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17년의 8배에 해당한다. 그중 75%는 스트리밍 동영상 등의 재생에 이용되면서 지금보다 45% 증가할 것이다. 이런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술이 바로 5G다. 5G는 현재 4G의 단순한 연장선이 아니라 매우 혁신적인 통신 기술”이라면서 “사물인터넷 및 자동 운전 등 미래 기술 구현에 5G가 필수”임을 강조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72540


11. "교사가 글라스 쓰면 학생들 학습 능력 한눈에"...이러닝 코리아 컨퍼런스
인공지능 학습의 권위자인 브루스 맥라렌 카네기멜런대학교 교수는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8 이러닝 코리아’(e-Learning Korea 2018) 콘퍼런스에 참석해 이런 질문을 던졌다. 브루스 교수는 AI를 활용한 지능형 교습 시스템을 연구했다. 토론 수업을 하는 학생들의 논의과정을 대시보드에 시각화할 수 있는 ‘아규너트’ 툴과 AI를 활용해서 학생들의 학습 형태를 분석하고 교사가 쓰는 스마트 글라스에 표현해주는 ‘루밀로’를 연구했다. 브루스 교수는 “전통적 교실에서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정보를 주입하는 역할이었지만 학생이 무엇을 하는지 교사가 직접 볼 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교사의 역할은 바뀔 것이다”라고 말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72541


12. 대구시,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 홍보관 운영…스마트시티 전시
대구시가 오는 18일부터 20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제2회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 2018’(이하 WSCW 2018)에 ‘스마트시티 대구 홍보관’을 운영한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스마트시티, 내 삶이 변화하는 행복한 도시’라는 주제로 스마트시티 전시관, 콘퍼런스, 국제협력 프로그램, 비즈니스 행사 등이 다양하게 구성된다. 대구시는 ‘대구홍보관’을 통해 수성알파시티,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대구 달성군 가창면 일대에 적용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들을 전시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72092


13. [오픈테크넷서밋 2018] 삼성전자 “개인화된 IoT, ‘엣지 컴퓨팅’에 주목”
기존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이 데이터 처리와 연산이 중앙에 집중된 방식이라면, 엣지컴퓨팅은 사물인터넷(IoT) 기기들과 가까운 주변이나 기기 자체에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방식이다. IoT 기기와 클라우드 사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해준다. IoT 기기의 확산으로 데이터량이 폭증하면서 이를 처리하기 위해 개발됐다. 박 그룹장은 “대부분 가정에 있는 기기들이 눈으로 보기엔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클라우드를 거쳐 연결되는 것”이라며 “쓰레기같은 데이터는 클라우드 보내지 말고, 정제해서 효율적으로 쓰자는 것이 엣지”라고 설명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2747


14. 아토피 관리 위한 실내공기질 측정기 나온다
포름알데히드는 건축 내장재에 사용되는 각종 접착제에서 많이 방출되는 1급 발암물질이다.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며 아토피피부염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브리즈에는 포름알데하이드(HCHO) 외에 부유먼지(PM10), 미세먼지(PM2.5), 초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온도, 습도 센서가 탑재돼 종합적인 실내공기질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간 측정한 값이 제품에 직관적으로 표시되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일반 가정뿐 아니라 병원, 조리원,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도 설치가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http://www.etnews.com/20180914000208


15. 모닛, 글로벌 IoT 수요에 부응하여 모닛 코리아 설립
모닛 코페레이션의 CEO 겸 설립자인 브래드 월터스(Brad Walters)는 “아시아 시장에서 원격 센싱 솔루션에 대한 엄청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모닛 코리아는 그러한 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아시아 시장에서 영업활동을 진행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현재 전세계에 걸쳐 87개국에 고객을 두고 있으며 현지 경험을 충분히 흡수하면서 그밖에 다른 지역으로 시장을 넓히게 되어 반가운 마음 금할 수 없다. 모닛은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파트너십을 개발 중에 있다. 우리의 궁극적 목적은 기존의 기술을 좀더 활용하기 쉽게 만들고 보다 지역적으로 초점을 맞춘 솔루션을 개발해낸다는데 있다”고 말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468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12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LG 삼성 SK 전기차 배터리 3사 활기...중국 3위 업체는 가동중단
LG화학, 삼성SDI (247,500원▼ 2,000 -0.80%), SK이노베이션 (201,500원▼ 1,000 -0.49%)등 국내 전기차 배터리 3사가 수주 증가로 활기를 띠고 있다. 반면 우리 기업들과 경쟁하는 중국 전기차 배터리 회사들은 실적 부진, 공장 가동 중단 등 악재가 터지며 고전하는 분위기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의 김병주 상무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중장기적으로 한국 기업의 입지가 강화될 것"이라며 "중국 전기차와 배터리 업계는 난립한 기업들의 구조조정과 기술력이 높은 기업의 집중 성장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1/2018091102953.html


2. 현대기아차가 新 전기차 플랫폼에 집중하는 이유
배터리 용량 조절-전기모터 배치 효율성↑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2145805&type=det&re=zdk


3. “전기차 대세도 SUV” 국내 판매 전기차 절반 이상 차지
자동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레저용차량(RV)이 국내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도 대세로 자리 매김하고 했다. 하반기에만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 3종이 고객 인도를 시작하면서 하반기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http://www.etnews.com/20180912000221


4. 미세먼지 비상조치 때도 전기차·하이브리드차는 운행 가능
환경부는 수도권의 공공·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내년 2월부터 전국 민간부문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미세먼지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제정안을 13일부터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12일 밝혔다. 미세먼지 특별법은 지난 7월 26일 국회를 통과해 지난달 14일 공포됐으며, 공포 6개월 후인 내년 2월 15일 시행될 예정이며, 일부 조항은 내년 8월 15일 시행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64034


5. 여수시, 하반기 전기차 53대 보급…보조금 전국 최고
승용전기차 기준 1352~2300만원…17일까지 대리점 신청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641


6. 전기차 메카 제주, 내년부터 ‘공짜 충전’ 사라진다
충전료 징수(제14조의5) 근거를 신설, 제주도가 소유한 충전시설을 이용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경우 충전료를 징수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제주도내에 설치·운영 중인 공공용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549대. 이 중 제주도가 관리하는 충전기는 294개(급속 57개, 완속 237개)다. 이들 충전기는 제주도청과 각 읍면동, 도 산하기관 내 관용차 충전용으로 설치됐지만, 제주도가 전기차 보급 확산 차원에서 지난 3년간 무료로 개방했다.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209797


7. IOTA, 네덜란드의 전기차 충전기 테스트 완료
지난 4월에 실시된 네덜란드의 ElaadNL 테스트는 IOTA의 충전기가 포함되었으며, 특히 IOTA의 Tangle은 혁신적인 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유형으로 성공적인 IOTA 충전 스테이션을 증명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즉, 안전한 데이터 전송과 수수료없는 실시간 마이크로 지불을 포함하여 새로운 M2M(Machine-to-Machine)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하는 오픈 소스 프로토콜이다.
http://cointoday.co.kr/2018/09/12/iota-%EB%84%A4%EB%8D%9C%EB%9E%80%EB%93%9C%EC%9D%98-%EC%A0%84%EA%B8%B0%EC%B0%A8-%EC%B6%A9%EC%A0%84%EA%B8%B0-%ED%85%8C%EC%8A%A4%ED%8A%B8-%EC%99%84%EB%A3%8C/


8. 전기차 배터리 이어 車소재까지…LG화학의 질주
車용 접작체 업체 美 유니실 인수
그룹 차원 미래車 시너지도 기대
http://www.sedaily.com/NewsView/1S4LVKZAF4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12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정부, 블록체인 기술과 ‘옛법’ 부조화 개선 나섰다
페이스북트위터공유스크랩프린트크게 작게
‘규제개선 연구반’ 운영
개인정보보호법·민법 등
블록체인 충돌사항 정비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61710.html


2. 신현성 "블록체인, 실생활서 안쓰면 붕괴"
신현성 티몬 의장이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결제 서비스 시장에 도전한다. 그가 지난 4월 공동창업한 테라는 최근 바이낸스 캐피탈, 두나무앤파트너스, FBG, 해시드를 포함한 주요 투자 펀드에서 360억원의 초기 투자를 유치했다. 블록체인 플랫폼(메인넷) 개발 프로젝트가 아닌데 이 정도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경우는 흔치 않은 사례다. 최근 만난 신 대표는 테라가 주목 받는 이유에 대해 "실생활에 가치를 주는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는 점이 높게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신 대표는 이제 블록체인 업계가 "실제 고객에게 줄 수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블록체인이 실생활에 쓰이지 않으면 지금 200조~300조 규모의 블록체인 경제가 다 무너질 수도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2160719&type=det&re=zdk


3. 다시 주목받는 ‘블록체인 10만 양병론’
[박승정 칼럼] 유비무환의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킹덤’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80912102920&type=det&re=zdk


4. “블록체인 객원기자에게 이더리움 준다”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 티코노미(Tconomy)와 벤처스퀘어(VentureSquare)가 9월 10∼20일까지 블록체인 전문 객원기자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에 참여하려면 블록체인과 관련한 주제라면 컨퍼런스나 행사 직접 취재나 인물 인터뷰, 프로젝트 소개나 분석, 블록체인 관련 해설 기사 등 10건 이상을 제출하면 된다. 기사 중 외신 번역이나 업체 제공 보도자료는 제외다. 또 컨퍼런스나 행사 취재를 진행할 경우에는 프레스 입장권을 제공하며 동영상이나 웹툰 등 글이나 이미지 이외에 다른 콘텐츠 기획일 경우에는 사전 협의를 거쳐야 한다.
http://www.venturesquare.net/768501


5. 블록체인 컨퍼런스 · 교류 통해 시장혁신 추구
블록체인코리아(대표 김준영)는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정직한 정착을 추구하는 블록체인 유저연합이다. 엔드유저(일반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된 이 그룹은 국내에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던 시기에 블록체인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과 정보공유를 바탕으로 한국의 암호화폐 시장을 이끌어 성장시켜온 선두주자다. 온라인 활동은 물론 소모임, 세미나, 전국 단위 컨퍼런스등을 통해 무분별한 ICO와 투기로 점철되던 국내 분위기에 편승하지 않고 국내 투자자들에게 사실에 근거한 분석을 통해 올바른 지침을 제공해왔다.
http://hankookilbo.com/v/0145715f43a442a5a44b4bf062dd3f7b


6. 중국 블록체인 '보안' 국제 표준 영향력 세계 최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그룹(SG17)에 따르면 중국이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SG17 회의에서 12개의 표준 항목 제정에 기여해 세계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8개로 2위였다.이 회의에서 각국 전문가가 모여 분산식장부기술 보안, 5G 보안, 클라우드 보안 등 표준에 대한 제정 작업을 진행했다. 중국 기업 중에는 '360'이 가장 많은 5항의 표준 제정에 기여해 중국 내 블록체인 보안 표준 국제 영향력 최대 기업으로 꼽혔다. 중국 기업 중 2위는 국가인터넷응급센터(CNCERT)(2항), 차이나모바일(2항), 차이나유니콤(2항), 알리바바(1항) 이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2085522&type=det&re=zdk


7. SKT,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최초 공개
SK텔레콤은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 동안 강남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에서 상용화를 준비 중인 해당 서비스를 최초로 시연한다. ‘전 국민 모바일 신분증’을 표방하는 SK텔레콤의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온‧오프라인 경계 없이 모든 서비스를 연결해 신뢰할 수 있는 자격 증명을 제공한다. SK텔레콤은 모바일 신분증이 블록체인 ID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분‧자격‧권한의 인증 방식을 올인원(ALL IN ONE)으로 통합한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151


8. "값비싼 농기계, 공동 소유·관리하자"··· 블록체인 기반 자산 공유 플랫폼 개발
호주연방은행(CBA)과 어니스트앤영(EY)이 값비싼 자산을 더 쉽게 공유해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개발했다. 올해초 진행한 개념증명(PoC)의 결과물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대시보드 형태다. 이를 이용하면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달린 농기계에서 데이터를 확인, 관리할 수 있다.
http://www.ciokorea.com/news/39556


9. "아프리카TV서 '블록체인 서울 2018' 본다"
18일 오전 11시에 방송…블록체인 관련 토크도 진행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2172210


10. 세계는 블록체인 특허 경쟁…"분쟁 대비해야"
"신생 및 벤처기업도 지적재산권 소유 관심둬야"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2094001&type=det&re=zdk


11. 금감원, 블록체인 기업 대상 ICO 일제조사 착수
최대주주·국내 배정 물량 등 52개 항목 물어
업계 “영업비밀 해당할 소지까지 통째로” 우려
금감원 “제재 위한 것 아냐…제도정비 위해 파악”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861824.html


12. 데이터젠 " 블록체인 플랫폼 '다프체인'으로 세상 바꾸겠다"
"가장 단순한 서비스로 세상을 바꾸겠다. 기술이 중요하지만 사용자(유저) 평가는 더 중요하다. 현재의 블록체인 평가는 기술 요소만 존재한다. 기술은 만들어져도 갈 길이 멀다. 우리 데이터젠은 외국이 아닌 우리 기술을 활용해 투명하고 명확한 구조의 블록체인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임선묵 데이터젠 대표는 10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다프체인(dap CHAIN)’ 공식 출범식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1184656


13. 플레타, 3세대 블록체인 레이스 출사표...내년 초 메인넷 공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것을 표방하는 이른바 3세대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국내외에서 계속 등장하고 있다. 플레타(FELTA)도 그중 하나. 플레타는 확장성을 강화하면서도 탈중앙성이라는 가치를 흔들지 않은 플랫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플레타는 올해 4분기 테스트넷을, 내년 1분기 메인넷과 이를 지원하는 암호화폐를 공개할 예정이다. 플레타가 메인넷 플랫폼과 관련해 강조하는 것은 크게 5가지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0


14. 나무기술, 시그마체인과 MOU…"블록체인-클라우드 융합해 다양한 산업분야 시너지 효과 낼 것"
- 나무기술, 시그마체인과 MOU…"블록체인-클라우드 융합해 다양한 산업분야 …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895


15. 中 정부, 사회복지 투명성 더한다…'블록체인 도입 계획' 발표
11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중국 민정부는 '2018~2022 사업계획'에서 공공 기부의 투명성을 더하기 위해 블록체인 도입 계획을 밝혔다. 해당 계획은 사회복지 분야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인터넷 기술 도입 분야를 기술하면서, 그 일환으로 기존 기부금 추적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방안을 거론했다. 기관은 올해 말 기술 도입 여부를 결정하고, 2020년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분산 네트워크로 데이터 확인이 더 수월해지기 때문에 기부 시스템에 대한 대중 신뢰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4154


16. 노벨 경제학 수상자, 블록체인 연구그룹 합류…게임이론, 매칭이론 대가 모여
블록체인 연구소이자 기업 액셀러레이터인 크립틱랩스는 성명을 통해 보상 메커니즘, 게임이론, 거시경제에 대한 높은 이해를 제공할 두 경제학자 영입 소식을 밝혔다. 자문위원으로 합류한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 교수는 게임이론의 대가이다. 매커니즘 디자인 이론의 토대를 마련한 공로로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매스킨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은 현대 경제에 영향을 미칠 잠재력이 있다. 관련 논의 대부분이 기술에 집중돼 있는데, 기술이 가져올 경제적 가치에 더 관심이 간다"고 전했다. 그는 게임이론, 메커니즘 디자인 지식을 통해 사용자 보상 개발 방안에 대해 조언할 예정이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4146


17. '크립토 아일랜드' 몰타 "11월부터 블록체인 라이선스 발급"
블룸버그 통신, 조셉 머스캣 몰타 총리 ”PwC와 협력 발급 시작“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9101


18. 블록체인 확산 막는 '낡은 규제' 푼다…과기정통부 연구반 운영
과기정통부, 민간 주도 '블록체인 규제개선 연구반' 운영
12일 오전 연구반 첫 회의…운영 방안과 논의과제 목록 발표
"블록체인, 성장잠재력 큰 범용기술…낡은 규제 바로잡는게 우선"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911_0000415993


19. 퍼블릭 블록체인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인수에 담긴 메시지
스텔라,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체인' 인수하고 기업 정조준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6


20. 바이너리즈, 블록체인 전문기업 제미니스와 MOU
제미니스는 블록체인 전문 기업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전문 커뮤니티 `땡글(DDENGLE)`을 운영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자사 암호화폐인 `이더소셜(ESN)`을 발행 중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정액제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맥스의 신규 서비스 개발 ▲신규 코인 상장 전략 공유 ▲제미니스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암호화폐 전문 커뮤니티 `땡글` 유저와의 만남 등 다양한 연계 업무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9&year=2018&no=575713


21. 원희룡 지사 “제주 블록체인 허브로 조성해 산업유치”
원희룡 제주지사는 지난 11일 오후 제주칼호텔에서 ‘블록체인 허브도시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열린 제주경제와 관광포럼 10주년 기념 제100차 특별 초청 강연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원 지사는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인터넷 방식에 새로운 도전이 되는 것으로 세계적인 대기업의 판을 바꾸는 분산형 인터넷”이라고 정의하고 “정보 데이터 블록들이 꼬리를 만들어 연결되면서 아무도 위조할 수 없고 해킹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964241


22.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정책 플랫폼 ‘코밸런트’ 테스트넷 공개
코밸런트는 컴퓨터 등 IT 기기가 민감한 정보나 데이터를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 정해주는 ‘스마트 정책(Smart Policy)’ 플랫폼이다.  특정 조건이 주어지면 계약이 실행되는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처럼 코밸런트는 컴퓨터 같은 머신(machine)에게 데이터 사용 정책을 만들어 주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회사측에 따르면 코밸런트를 활용하면 결제 시 1회만 사용하고 폐기 가능한 신용카드 번호, 15회만 공유할 수 있는 전자책, 통합적으로 처리 및 관리되는 CT 스캔,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 고객 정보 수집을 차단하는 모바일 GPS 데이터 등 개인이 원하는 스마트 정책을 만들 수 있다. 코밸런트는 고유한 블록체인 기술 ‘센트리퓨지(Centrifuge)’, ‘코바VM(CovaVM)’으로 스마트 데이터 기능을 단계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5


23. 코티, 블록체인 3.0 프로토콜 트러스트체인 데뷔
코티는 낮은 확장성, 높은 수수료, 미흡한 사용자 보호 대책 등 기존 블록체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차세대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이다. 블록 생성이 없는 DAG 기반 트러스트체인 프로토콜을 통해 초당 수만 TPS에 상응하는 빠른 합의 시간과 낮은 수수료, 참여자가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자랑한다. 론칭한 트러스트체인은 DAG 환경에서 모든 사용자가 일종의 '신뢰'를 구축해 나가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신뢰 기반 합의 매커니즘이자 알고리즘이다.
http://www.etnews.com/20180912000269


24. 경희의료원, 블록체인 기술기반 암병원 최신경영 가능성 모색
1부 세션(좌장 정상설 후마니타스암병원 개원준비단장, 유방외과)에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바라보는 블록체인 기술현황과 미래(김항진 theLooP 이사), 블록체인 활용 난제 및 해결 방안(한호현 경희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미래의료 패러다임 변화와 블록체인의 역할(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특강이 진행됐다. 데일리인텔리전스(theLooP) 김항진 이사는 “블록체인 기술은 신분뿐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을 매개자의 중개 또는 신뢰보장 없이도 신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가능성과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9121722001&code=940601


25. 금융 패러다임 바꾼 블록체인… 새로운 비즈모델 만든다
글로벌 IB들 기술 특허 잇따라
디지털 화폐 전송·자산 관리 등
블록체인 기반 미래 금융 경쟁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1302101958054001


26. NASEM “블록체인, 선거 활용 이르다”
미국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전자투표를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블록체인 기술을 선거에 사용하기에는 이르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2/2018091201411.html


27.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링카, 한국에서 결제 서비스 출시
링카는 결제 서비스를 먼저 출시한다. 링카의 결제 서비스는 신용카드 등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보유한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링카 토큰을 리워드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또 링카는 스테이블 코인 개념인 링카포인트로 결제를 할 때는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가맹점들에 사용할 이점을 준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신용카드, 알리페이 등의 결제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POS와 로열티마케팅 솔루션도 무상으로 제공한다. 이외에 소상공인 결제수수료 절감이나 지역화폐 발행을 계획하는 지자체, 경제 특구의 요청이 있을 경우도 무상으로 시스템을 구축해준다는 계획이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4


28. 블록체인 프로젝트 젤스코인, 19일 첫 단독 밋업 개최 9월 19일(수) 강남 베스트웨스턴 호텔에서 국내 첫 단독 밋업 진행
블록체인 운영자문업체 넥스트블록(대표 정규화)은 오는 9월 19일(수) 저녁 7시 서울 강남구 논현동 베스트웨스턴 호텔에서 젤스코인의 첫 번째 단독 밋업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글로벌 블록체인 컨설팅 기업인 ICOBOX가 주관하는 이날 행사에는 젤스코인의 타케시 노지마(Takeshi Nojima) 대표가 직접 자사의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투자자들이 궁금해 하는 프로젝트 진척 상황 등에 대해 자세히 답변해줄 예정이다. 아울러 현장에 방문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총 1,600만원 상당의 젤스코인 및 추석선물세트를 경품으로 증정한다.
http://www.blocktimestv.com/news/view.php?idx=927


29. 블록체인에 최적화된 디지털 광고의 탄생 주목하라
블록체인 전문기업 애드포스인사이트 산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광고 플랫폼 프로젝트 위블락이 기존 디지털 광고 생태계의 역학 관계를 뒤집는 비전을 들고 암호화폐 생태계에 출사표를 던졌다. 사용자가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 중심으로 디지털 광고 판을 재편하는 것이, 결국은 광고주들에게도 낫다는 것이 위블락이 강조하는 핵심 메시지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67


30. EOS 탈중앙화 거래소 DEXEOS, 네오플라이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팅 팀 선정
EOS 기반 탈 중앙화 거래소 덱시오스(DEXEOS: https://dexeos.io)를 운영하는 위즈랩(Wizlab: 대표 조민규)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네오플라이(대표 권용길, 오승헌)의 첫 번째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팅 팀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DEXEOS는 바이낸스, 업비트 등 중앙화된 거래소와 달리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 소유의 계정으로 투자자가 직접 거래할 수 있는 탈중앙화 거래소(DEX)다.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3


31. 中 정부, 자선 기금 추적에 블록체인 사용 검토
중국 내무행정 총괄 민정부, 올해 말 까지 블록체인 자금 추적 기술 도입
자선·기부 관련 데이터 블록체인 통해 공공에 투명하게 공개
http://www.sedaily.com/NewsView/1S4LVVH1S2


32. 링카, 블록체인 기반 결제서비스 첫선
링카는 12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결제와 신용, 대출, 송금 등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결제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링카의 결제서비스는 신용카드 등 기존 결제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기존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링카의 토큰을 보상으로 지급한다.  가맹점 입장에선 링카 포인트로 결제하면 따로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신용카드와 알리페이 등 모든 결제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POS와 할인쿠폰과 포인트 등 로열티 마케팅 솔루션도 모두 무상으로 제공한다. 대금도 실시간으로 정산해준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18/09/12/0018


33. 미국 주요 암호화폐 기업들, 로비 단체 결성
이 로비 단체는 블록체인 교육 및 법, 제도 변화에 주력함으로써 암호화폐 스타트업과 미국 의회와의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지난 11일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다. 코인베이스(Coinbase), 서클(Circle), 디지털 커런시 그룹(Digital Currency Group), 폴리체인 캐피털(Polychain Capital), 프로토콜 랩스(Protocol Labs) 등이 블록체인 협회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블록체인 협회는 설립과 함께 상원의원 보좌관 출신으로 쇼핑몰 오버스톡닷컴(Overstock.com)의 블록체인 로비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크리스틴 스미스를 가장 먼저 영입했다. 스미스는 협회가 순조롭게 출범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겠다고 말하며, “나는 오랫동안 로비와 관련된 기본적인 교육 업무를 맡아왔다. 이 분야에 참여할 수 있게 돼 기쁘다.”라고 합류한 소감을 전했다.
https://www.coindeskkorea.com/cryptolobbying/


34. 아시아-태평양 블록체인 서밋, 26일 도쿄에서 개최
가장 먼저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 블록체인 서밋(Asia-Pacific Blockchain Summit)은 이번 도쿄 블록체인 위크에서 열리는 행사 중에 규모가 제일 크다. 일본의 전 정치인, 금융청(FSA) 고문,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블록체인 협회장, 거래소 대표 등 각계각층의 유명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일 예정이다. 이번 서밋에서는 각국의 변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블록체인 정책에 대해 분석하고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그려보며 연도별 발전하는 트렌드를 논의한다. 또한, 수백 개의 전시 부스를 설치해 서밋 참가 업체와 투자자 사이에 소통의 장을 만들 것으로 보인다. 수십 개의 협력 언론사들 또한 여러 인터뷰와 프로젝트 홍보를 담당할 예정이다.
https://www.blockdaily.com/2018/09/12/1048/


35. 유망 코인 - 블록체인 기반 3D 콘텐츠 유통 플랫폼, 프리제B&C
기존 콘텐츠 창작자들과 광고주들은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 분산되어 있고, 접촉 창구도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어 왔다. 프리제B&C는 플랫폼 내에서 거래될 영상 내에 들어갈 광고 영상, 플랫폼 사이트에 들어갈 배너 광고 등을 P2P 방식으로 연결한다. 프리제B&C의 플랫폼을 통해 광고주는 광고대행사 없이도, 마음에 드는 창작자를 쉽게 접촉할 수 있으며 프리제코인(FRBC)을 통해 거래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성사시킬 수 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348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9월 06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핸디소프트,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참가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의 사물인터넷 관련 전시회다. 국내 주요 IoT 관련 업체 193개사가 전시에 참여하고 국내외 2만3000여명의 참관이 예상된다. 핸디소프트는 4년 연속 전시회에 참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핸디피아 IoT 플랫폼! 세상을 움직이는 스마트 IoT의 시작`을 슬로건으로 업무에서 일상까지 다양하게 활용되는 IoT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9&year=2018&no=562436


2. [알립니다] 생산성본부-아두이노 사물인터넷 콘퍼런스
한국생산성본부가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고 있는 아두이노의 사물인터넷(IoT) 전략과 미래 교육 패러다임을 공유하기 위한 콘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아두이노는 세계 최고의 오픈 소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으로 제품 개발과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전세계 수십만 명의 디자이너·엔지니어·학생·개발자·제작자가 아두이노를 사용해 음악·게임·농업·자율차량 등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번 콘퍼런스에는 마시모 반지 아두이노 창립자가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아두이노의 미래 청사진을 밝힙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40000006&year=2018&no=563304


3. 핸디소프트, 스마트 빌딩 관리 등 IoT 기술력 선봬
플랫폼 기반 다양한 서비스 접목시키며 확장…공유오피스 IoT 도입 사례 등 소개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196


4. 이통사 IoT '왕좌 다툼'…KT 커넥티드카 질주·원격검침 SKT 독주
사물인터넷 미래먹거리로 급부상
7월 기준 회선수 772만개 달해
KT 커넥티드카 매출 5,000억 노려
SKT 원격관제서 2위와 두배 차
LGU+는 보안서비스 등 압도적
http://www.sedaily.com/NewsView/1S4J5MP0R7


5. 핸디소프트, 스마트 빌딩 관리 등 확장된 IoT 기술력 선보인다
핸디소프트(대표 장인수)가 스마트 빌딩 관리, 공유오피스 IoT 서비스 도입, 커넥티드카 등 최신 사물인터넷 트렌드와 활용 방안을 소개한다.  핸디소프트는 오는 12일부터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에 참가, 스마트 시티&오피스, 커넥티드카, 스마트 피트니스, 스마트 홈 등 다양한 IoT 구축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0602109931041004


6. 삼성전자, 멕시코서 IoT 기반 '스마트 리빙' 공개
QLED TV·더 프레임·패밀리허브 통해 콘셉트 선봬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06084333


7. 팹리스, 신사업에 올인…스마트폰 등 주력 산업 부진에 생존 위협받아
자동차·IoT·AI 가전 등 개척...떠오르는 산업군서 반전 노려
http://www.etnews.com/20180906000301


8. 가석방 비율 2배 확대…출소자 IoT기술로 철저히 감시한다
가석방 시기 앞당겨 비율 25%→50% 늘려
4차산업기술 적용한 전자발찌 이달부터 사용
전자발찌 모든 범죄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
http://www.sedaily.com/NewsView/1S4J64KSR7


9. 바른앱 '반려동물 스마트볼', 日 클라우드 펀딩 대성공…목표치 27배 달성
소프트웨어(SW)개발업체 바른앱(대표 이성호)은 반려동물 헬스케어 사물인터넷(IoT) 기기인 '스마트볼'이 일본 클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 펀딩에 대성공을 거뒀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볼은 센서가 장착된 플라스틱 재질의 공으로,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하는 일종의 장난감이다.
http://www.etnews.com/20180906000209


10. 델 EMC, ‘키네틱 인프라’ 기반의 ‘파워엣지 MX’ 출시
신제품 ‘파워엣지 MX(PowerEdge MX)’ 시리즈는 서버 분리(server disaggregation) 및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을 포함한 ‘키네틱 인프라(Kinetic infrastructure)’를 기반으로, 기존 워크로드는 물론 IoT(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머신러닝에 이르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까지 지원한다. 델 EMC 파워엣지 MX 시리즈는 새롭게 디자인된 섀시(chassis)와 함께 서버와 스토리지 등 스마트 I/O 패브릭을 통해 인프라와 연결되는 규격화된 블록으로 구성된다. 파워엣지 MX와 함께 소개하는 키네틱 인프라는 컴퓨트, 스토리지, 네트워킹 패브릭 자원들을 분리해(disaggregate) 온-디맨드로 할당 및 재할당하는 델 EMC 고유의 모듈형 아키텍처다.
http://www.itworld.co.kr/news/110683


11. 페이큐, ‘IT-스타트업’ 특집 퀴즈쇼 연다
이번 특집 방송은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국내외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높이고, 새로운 기술혁명을 선도하는 기업과 서비스를 알린다는 취지로 기획됐다. 또 사회의 다양한 불편과 문제를 해결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스타트업들을 응원하는 목적도 반영됐다. 페이큐는 팟캐스트 앱 '팟티'를 통해 실시간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서바이벌 퀴즈게임이다. 매일 밤 9시에 퀴즈쇼를 시작하며 유민상, 홍윤화 등 스타급 개그맨이 문제 출제자로 나선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06095721


12. 포스코ICT '스마트팩토리' 확산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최신 기술을 공장에 적용하는 포스코ICT의 스마트팩토리 서비스를 기업들이 잇따라 도입하고 있다. 포스코ICT는 최근 목재 전문기업 동화기업이 파티클보드 공장에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했다고 6일 발표했다. 포스코ICT 관계자는 “동화기업 스마트팩토리는 국내 최초의 클라우드 기반 모델로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685811


13. 두산, 드론용 연료전지 사업 진출…"내년 상반기 양산 계획"
두산은 이달 5~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2018 인터드론(Inter Drone)’ 전시회에 자체 개발한 드론용 연료전지 제품을 처음 선보였다. 두산은 국내외에서 시범사업과 실증 테스트를 진행한 뒤 2019년 상반기 내 드론용 연료전지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06/2018090600976.html


14. 오라클, ‘자율운영’ 클라우드 강화…“운영 효율성 확보”
6일, 오라클은 서울에서 인공지능,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관련 오라클 행사인 ‘임팩트(IMAPACT)’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오라클은 ‘자율(Autonomous)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등의 신기술 기반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 자리에서 아쉬쉬 모힌드루 오라클 본사 부사장은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이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활용해 좋은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있다”며 “하지만 운영 및 관리의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다양한 기술을 섞어 사용하고 있다면 백업, 확장 방식에서 노하우가 필요하고 회복 탄력성, 다운타임 방지를 위한 역량이 필요하다. 이기종 환경에서 운영 효율성 확보가 시대의 과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2503


15. 초연결사회로의 초대…'스마트클라우드쇼 2018' 19일 개막
모든 것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연결된 세상 ‘울트라 커넥티드 월드(Ultra Connected World, 초연결 사회)’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통신 등 첨단 기술이 사람, 기기, 공간을 연결하며 우리의 삶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내년 초 상용화를 앞둔 5세대(G) 이동통신을 비롯해, 증강(AR)·가상(VR)현실, 자율주행차,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의 발달은 변화에 속도를 더할 전망입니다. ‘스마트 시티(Smart City)’ 형태로 구현될 가까운 미래, 자율주행차를 타며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세상을 어떻게 맞이해야 할까요.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06/2018090600528.html


16. 딜로이트, 도쿄서 이노베이션 서밋…“글로벌 스타트업·투자사 출동”
딜로이트 스타트업 자문그룹(리더 김유석 상무)은 오는 1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2018 재팬 이노베이션 서밋(이하 재팬 서밋)’에 참여한다고 6일 밝혔다. 이 행사는 딜로이트 재팬(Japan)의 딜로이트 토마츠 벤처 서포트(리더 요시무라 타카오)가 주관하고 한국을 포함한 10개국 딜로이트 회원사가 후원하는 이노베이션 콘퍼런스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06/2018090602661.html


17. 스마트시티 제주로 `범죄의 섬` 오명 벗는다
안전·교통 등 도민생활에 위협적
이달중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도시 가치 높이고 경쟁력 향상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0702101631041002


18. 무선통신·위성·GPS기술 결합 건설현장 無人기계 개발 ‘가속’
대표적인 ‘굴뚝 산업’ 가운데 하나인 건설기계에도 디지털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기존 제품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모바일,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외형은 과거와 유사하지만, 작동 방식은 판이한 새로운 형태의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건설기계회사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러한 디지털 전환에 특히 적극적이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90601032127100001


19. 욕실용품 만들던 이누스, 스마트체중계 내놓은 까닭
제라100은 체중, 체지방, 체질량지수(BMI), 수분, 골격량, 기초대사량, 근육량, 내장지방 등 총 여덟 가지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이누스헬스’ 전용 앱(응용프로그램)을 내려받아 연동해 사용하면 매일 몸의 변화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본체 강화유리 위에 전기전도성을 지닌 투명전극(ITO) 필름을 특수 코팅해 미세하고 고른 전류를 보내 생체 데이터를 측정한다. 특히 수분을 차단하는 코팅 유리를 적용해 발이 젖은 상태에서도 안전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롯데닷컴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685631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8월 15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이을수록 돈 된다”… 사물인터넷 ‘골드러시’
매년 5억개 디바이스에 AI 심고 일상 속 로봇으로 빅데이터 축적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80814/1196964


2. 5G 상용화를 선도할 삼성의 멀티모드 모뎀 칩
자율주행 자동차,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등 5세대 통신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상용화가 한 걸음 다가왔다. 삼성전자가 5G 이동통신 표준을 적용한 멀티모드 통신 칩 ‘엑시노스 모뎀 5100’을 공개하며, 이를 탑재한 개발용 단말기로 5G 기지국 기반 무선환경 송수신 시험에 성공한 것. 5G 상용화를 선도할 ‘엑시노스 모뎀 5100’의 특징을 아래 인포그래픽에서 한눈에 살펴보자.
https://news.samsung.com/kr/%EC%9D%B8%ED%8F%AC%EA%B7%B8%EB%9E%98%ED%94%BD-5g-%EC%83%81%EC%9A%A9%ED%99%94%EB%A5%BC-%EC%84%A0%EB%8F%84%ED%95%A0-%EC%82%BC%EC%84%B1%EC%9D%98-%EB%A9%80%ED%8B%B0%EB%AA%A8%EB%93%9C-%EB%AA%A8%EB%8E%80


3. 생각보다 빠르게 다가온 400G 이더넷
전세계 통신사업자와 기업 데이터센터는 10G, 40G를 거쳐 100G로 네트워크 성능을 한창 높이고 있다. 100G 업그레이드 여정이 아직 끝나지 않은 와중에 더욱 넓은 대역폭을 요구받는 상황에 투자가 400G로 빠르게 이동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오늘날 통신사업자, 클라우드 운영자, 기업 모두 기하급수적 트래픽 증가에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증강현실/가상현실(AR/VR), 4K 비디오 등이 이미 네트워크 인프라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다. 5G는 모바일 네트워크 단계에서 10~20G 성능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그간의 모바일 네트워크 세대 진화 과정 중 어느때보다 많은 통신가능한 기기가 5G망에 붙게 된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15011436&type=det&re=zdk


4. 삼성 아틱, 4년 새 파트너사 85곳..."생태계 커졌지만 상용화 더 집중해야"
삼성전자 개방형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아틱(ARTIK)이 출시 4년 만에 파트너사를 85개로 확장했다. 대학에서도 아틱을 활용한 강의가 늘고있는 등 교육·서비스 위주로 생태계가 넓어졌다. 다만 아직 실제 타사 제품 제조사에 적용된 사례가 적은만큼 실제 제품 적용 사례를 키우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관측도 있다. 15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아틱을 활용해 서비스·제품을 제공하는 파트너사는 올해 85개사로 늘었다. 이는 아틱 출시 이듬해인 2016년 28개사보다 3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올해 상반기에만 파트너사 15곳이 신규 추가됐다. 연내 파트너사 100개 돌파 가능성도 점쳐진다.
http://www.etnews.com/20180814000400


5. ‘걷기만 해도’ 매달 통신비 1만2000원 아낀다
SKTㆍAIA생명 고객 대상 SK C&C가 플랫폼 개발ㆍ운영
http://www.hankookilbo.com/v/dabf5e1f57e14302b6dc61c9b3f48f37


6. “2019년 전세계 정보보안 지출 1,240억 달러 이상 예측”
가트너, 한국 2019년 보안 관련 지출 규모...22억 달러 육박 예상
감지 대응 역량 구축과 개인정보보호 관심, 보안 제품과 서비스 수요 견인
개인정보보호 우려로 2019년 보안 서비스 시장 수요 최소 10% 증가 전망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2231


7. 와이파이 잘못 쓰면 암호화폐 채굴기에 감염된다고?
’ISEC 2018’, 암호화폐 관련 해킹 시연으로 포문 열어
30일 오전 9시 30분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참관 가능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2217


8. 롯데월드타워에 'BIM' 적용...미래형 건축기술 선도
스마트건설 코리아<8> 롯데건설
초고층 공사 안전성·품질 높여
국내 첫 '亞 BIM 어워드' 수상
편의성 향상 '스마트홈' 구축도
http://www.sedaily.com/NewsView/1S3DDP564G


9. 全가구 와이드창… 홈 IoT 시스템 도입
제주 최초로 LG 홈IoT(사물인터넷) 첨단시스템을 도입했다. 스마트폰이나 음성으로 사물을 제어할 수 있다. 1 대 1 자주식 주차공간 설계로 넓고 편리한 주차공간을 제공 할 계획이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535101


10. LG유플러스, 2017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LG유플러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3개 분야에서 24개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들을 선별, 이를 △일등 U+ △신뢰 U+ △함께 U+ △나눔 U+ 등 핵심 보고 이슈로 선정해 기술했다. 일등 U+는 2017년 경영성과와 5G(세대)이동통신, AI(인공지능), 산업/홈IoT(사물인터넷)의 미래 성장동력확보와 친환경 기술개발 노력을 담았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81502109931055006


11. 제주 악취 잡으러 울산 태성환경연구소가 간다
태성환경연구소는 20년 축적된 악취제거 기술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축산농가 악취, 공단 악취 등 1만여 개에 이르는 다양한 냄새 유발 성분을 1000여 개로 압축해 실물처럼 재현하는 원천기술을 갖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고성능 냄새감지 센서와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융화합한 자기학습 머신비전 기술로 냄새 원인물질을 감지해 똑같은 냄새유발물질로 재현할 수 있다”며 “제주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악취유발 물질을 실시간 분석하고 저감 컨설팅과 악취제거 시설 설계 등 악취제거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543321


12. 은행권, '동산금융' 속도···IoT 기술 업고 활성화 가능할까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과 신한은행 등 국내 주요 은행들이 동산담보대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담보물의 위치 및 상태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구축하고 있다. 동산담보대출은 부동산 이외의 물건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2년 본격 출시됐다. 기계설비, 재고자산, 농축산물, 매출채권, 지식재산권 등을 담보로 대출이 진행된다. 담보력이 떨어지고, 자금난을 겪는 자영업자나 중소기업이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http://news.tf.co.kr/read/economy/1730771.htm

반응형
반응형


2018년 08월 07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미투’부터 ‘불량 백신’까지…블록체인으로 정부 검열 맞서는 중국인들
블록체인을 통한 검열 견제 움직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중국에서는 ‘미투’ 운동이 블록체인을 통해 전개된 사례가 있었다. 지난 4월, 중국 북경대의 한 학생은 당국의 인터넷 검열을 피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성폭력 사건을 폭로하는 글을 올렸다. 20년 전 북경대 내 교수-학생 간 성폭력 사건에 대한 실태를 밝히고자 하는 움직임에 대해, 중국 당국이 제재를 가하자 네티즌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해 당국에 맞선 것이다. 한 네티즌은 이를 ‘역사적인 거래’라고 평하기도 했다.
https://platum.kr/archives/104406


2. "블록체인 기업, 제주서 맘껏 놀게 하자"
업계·협단체, "특구 지정해야" 한 목소리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07150843&type=det&re=zdk


3. 파리스 웨이스, 블록체인으로 ‘소셜 임팩트’ 꿈꾸다
국제연합(UN)에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블록체인 위원회’가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소셜 임팩트를 꾀하는 조직이다. 지난 7월23일 이 위원회의 파리스 웨이스 위원이 한국을 찾았다. 그는 블루웨일이 7월23일 개최한 ‘VIP 서밋 코리아’ 행사에 참석했다. 디지털타운 부사장이기도 한 파리스 위원은 “블록체인 기술은 서울, 뉴욕 등 선진화된 도시에만 필요한 게 아니다. 개발도상국의 소도시와 마을 공동체에도 필요하다”라고 역설했다.
http://www.bloter.net/archives/316520


4. 테조스 창립자, 수원 삼성전자서 블록체인 강연
테조스는 지난해 암호화폐공개(ICO)를 통해 2억3천200만 달러를 모금한 대형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팀 드레이퍼, 윙클보스 브라더스 등 유명 암호화폐 벤처캐피털리스트가 테조스에 투자해 주목을 받았다. 캐슬린 브레이트만은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분야 전문가다. 테조스 창립전 70개 이상의 금융 회사와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 선임 전략가로 일한 바 있다. 또 액센추어,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월스트리트저널에서도 근무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07091849


5. 2030년 은행, 블록체인 도입으로 '30조 절감 효과' 본다
6일(현지시간) CCN 보도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주니퍼리서치(Juniper Research)는 자산 관리, 규제 이행 등 블록체인으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다양한 금융사업 부문을 다룬 보고서 '블록체인의 미래, 핵심 기회와 도입 전략 2018~2030'을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온체인 거래 기준, 은행 운영비의 11% 이상을 절감할 수 있다. 규제 이행 부문의 경우, 블록체인으로 자금세탁 검토 절차를 자동화해 2~3년 내 최대 50%의 비용 절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3697


6. 인도 주정부, '블록체인 지구 형성' 목표로 IT업체와 MOU
현지 보도에 따르면 텔랑가나 주정부는 직접 나서 해당 지구 인프라 건설을 지원하며,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규제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테크 마힌드라는 블록체인 생태계 설립을 위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테크 마힌드라는 현재 인도 내 스타트업들에게 맞춤화된 블록체인 플랫폼 '일레븐01 프로토콜(Eleven01 protocol)'을 개발하고 있다.
https://tokenpost.kr/article-3694


7. '2018 블록페스타', 전세계 블록체인 리더가 한 자리에 모인다
블록체인 암호화폐 전문뉴스인 '블록미디어'와 블록체인 산업진흥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서울시가 후원하는 '2018 블록페스타'가 오는 8월 22일, 23일 이틀 간 서울 SETEC(학여울역 국제회의장 및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블록페스타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과 건전한 암호화폐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글로벌 리더, 전문가, 관계자 등이 모여 현안과 과제를 논의하고 통찰력을 공유하는 자리다.
http://it.donga.com/28027/


8. 블록체인 휴먼스케이프, 서울성모병원과 환자데이터 연구협력
블록체인 프로젝트 휴먼스케이프(대표 장민후)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가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와 ‘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양사는 희귀, 난치질환환자 신약과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블록체인 기반 환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07093952


9. NFL 플레이어 협회, 블록체인 시동에 투자
6월 스포츠캐스터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스포츠 시장을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인 팬체인을 발표했다. 팬체인을 통해 스포츠캐스터 사용자는 플랫폼에 참여할 때 토큰을 받을 수 있으며 이 토큰을 사용해 프리미엄 NFL 플레이어 콘텐츠를 잠금 해제하고 스포츠 티켓이나 상품을 구매하고 NFL 플레이어에게 가상 선물을 보낼 수 있다. 이 계약의 일환으로 스포츠캐스터는 사용자가 비디오 스트림 및 채팅을 포함해 다양한 스포츠 주제에 관해 토론할 수 있게 해주는 모바일 앱 및 웹 기반 플랫폼의 범주에서 NFLPA의 공식 라이센스를 취득하게 된다.
http://www.dcoinnews.net/nfl-%ED%94%8C%EB%A0%88%EC%9D%B4%EC%96%B4-%ED%98%91%ED%9A%8C-%EB%B8%94%EB%A1%9D%EC%B2%B4%EC%9D%B8-%EC%8B%9C%EB%8F%99%EC%97%90-%ED%88%AC%EC%9E%90/


10. 웨스트버지니아, 55개 카운티에 블록체인 부재자 투표 시스템 도입
웨스트버지니아 주가 블록체인 모바일 투표 앱을 55개 전체 카운티에 제공한다고 7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주는 지난 5월 예비 선거 당시, 해리슨 카운티와 모넌갈리아 카운티의 일부 군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투표 앱의 파일럿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시 웨스트버지니아 주 보좌관 맥 와너(Mac Warner)는 파일럿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11월 중간 총선 기간에 투표앱을 주 전역에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https://tokenpost.kr/article-3700


11. 프랑스 기업 "항공기엔 블랙박스, 스마트시티엔 블록체인"
고드프루아 조르당 스마트합 대표는 최근 “항공기 블랙박스가 운항 정보를 수집하듯 스마트시티에도 데이터 관리 장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스마트합은 프랑스 블록체인 스타트업이다. 2016년 문을 열었다. 스마트홈에 도입 가능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선보였다. 조르당 대표는 “스마트시티를 둘러싸고 30억개 이상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작동한다”며 “블록체인을 통해 수많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http://www.etnews.com/20180807000186


12. 이뮤직(eMusic) "블록체인으로 음악산업의 공정한 수익구조 만들 것"
20년 간 4,700만 명의 이용자들이 이뮤직에서 새로운 음악과 아티스트, 음반사를 접할 수 있었다. 약 2,600만 곡이 10억 회가량 다운로드됐다. 작년 트라이플레이(TriPlay)에 인수되면서 기존 할인 스토어에서 다기능의 디지털 음원 서비스로 탈바꿈했다. 이뮤직은 대형 음악 서비스업체 최초로 블록체인을 도입해 아티스트와 서비스업체, 그리고 이뮤직 이용자를 위한 지속 가능한 음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공정하고, 간편하고, 투명한 음원 배급 플랫폼으로 균형을 잃은 음악 업계를 개선해가고자 한다.
https://tokenpost.kr/article-3687


13. “블록체인 기존 기술로 얼마든지 해킹 가능해”
심준보 HARU 이사장, "블록체인, 탈중앙화·확장성·보안 충족 못해"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0


14. 다인리더스, 동국대 블록체인 연구센터와 블록체인 경력개발 시스템 공동 추진
이번 협약으로 다인리더스와 동국대 블록체인 연구센터 양 기관이 갖고 있는 자원 및 인프라를 상호 교류한다.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 학력 또는 기타사항을 인증하는 개인별 포트폴리오 검증 플랫폼(Career PASS 3.0)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캐리어 패스 3.0은 다인리더스가 지난 6월 중소벤처기업부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 R&D지원 사업 제품서비스화 부문으로 진행 중인 프로젝트다. 블록체인 기술을 대학생 경력개발 시스템에 적용, 채용 플랫폼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http://www.etnews.com/20180807000240


15. 정부,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지원…수강생 모집·무료
표준협회·월튼교육원, 오는 19일까지 총 50명 선발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6개월 동안 하루 8시간 수업
서울·대전 각 25명씩…이론·실무에 프로젝트도 진행
헤드헌팅사·엔젤투자자와 연계해 취업·창업 지원
http://www.sedaily.com/NewsView/1S39OOIB43


16. '성숙시장 뚫는다' 중국 블록체인 스마트폰 돌풍
탕궈 창훙 레노버 HTC 등 대형 업체 주도
세계 최초 기술 채택, 신개념 폰 출시 잇달아
http://www.newspim.com/news/view/20180807000416


17. 디센트레-시큐어스, 보안·블록체인 제휴 체결
디센트레는 이번 제휴를 통해 준비 중인 ICO플랫폼 보안솔루션 및 블록체인 결제솔루션 구축 등에 시큐어스와 협업할 계획이다. 시큐어스는 10여년 간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에 보안 인프라 구축과 네트워크 및 시스템 컨설팅, 유지보수 사업을 진행했다. 최근 정부 긴급신고 통합시스템, 인터폴 전용통신망 보안장비 유지관리 등을 수행했다.
http://www.etnews.com/20180807000079


18. 리밋, 블록체인 기반 국경 없는 송금·거래 가능 플랫폼 개발 진행
레밋은 해외 송금을 진행하고자 하는 참여자들에게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적용한(활용할 수 있게 하는) 레밋 플랫폼을 제공해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더 안전하고 더 빠르고 더 저렴하게 국경 없는 송금을 가능하게 한다. 레밋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은 거래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고 전용 메시지 채널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으며 최적화된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http://www.inter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3060


19. 바이오테크 거대 기업, 블록 체인에서 유전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할 계획
한국에 기반을 둔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바이오테크 거대 기업이 해킹이나 환자의 사생활 침해 위험 없이 유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블록 체인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서울에 본부를 두고 있는 DNA 시퀀싱 서비스 제공 업체인 마크로젠(Macrogen)은 월요일 빅 데이터(Big Data) 회사인 빅스터(Bigster)와 협력하여 2019 년 6 월까지 완료 될 계획인 게놈 정보의 배포를 위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개발하기로 했다고 언론에 보도했다.언론에 따르면 의료 분야에서는 게놈 데이터를 맞춤형 환자 진단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반면, 의약 분야에서는 신약과 치료제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263


2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 ‘아프리유니온 코인(Afriunion Coin)’ 나온다
아프리유니온 프로젝트는 아프리카에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형 디지털 통화 화폐를 제공하기위한 것으로, 아프리카 지역의 필요와 요구에 맞는 진보적이고 새로운 디지털 화폐인 ‘아프리유니온 코인(AUC)’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위해 현재 디지털 결제솔루션을 개발하는 중이다. AMBC는 이것이 단순한 지불 시스템을 넘어서 아프리카 블록체인의 미래전망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264


21. 마이토큰, 암호화폐계의 위키백과
왜 마이토큰은 암호화폐 산업의 “위키백과”로 불릴까? 마이토큰은 24시간 암호화폐 산업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상승장과 하락장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는 거래소를 떠나더라도 마이토큰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암호화폐 시세동향을 주시하게 될 것이다. 즉 마이토큰은 시장의 상승과 하락을 초월하는 플랫폼으로 암호화폐 산업의 정보 외에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https://www.blockinpress.com/archives/770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