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시나 요즘 최대의 화두는 AI... 
거기에 더해서 AI의 두뇌에 해당하는 칩에 대한 관심이 높은듯 합니다. 

AI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글로벌 업체들의 노력들이 칩 개발이 한창입니다. 
화웨이를 시작으로 인텔과 애플까지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이번에는 인텔에 이어서 애플까지 인공지능 칩을 아이폰 8에 탑재하고 기존의 GPU도 업체에 맡기던 것을 직접 설계하여 탑제하면서 핵심 부품을 직접 설계하기에 이르고 있습니다. 

화웨이도 기린 970을 자사의 폰에 탑제할 예정이고 구글도 조만간 칩개발에 뛰어들 것으로 보여서 적어도 2018년도에는 모든 폰에 AI칩이 장착되어 새로운 AI 시장이 열릴 것으로 보여집니다.


[관련기사]

글로벌 IT기업의 모바일 AI칩 전쟁

- 구글·애플·화웨이 등 모바일 기기에 인공지능 기반 특수 반도체 칩셋 내장
http://www.itnews.or.kr/?p=23790

반응형
반응형

4차산업 혁명의 가장 우려점이 바로 대량실업...

그런 대량실업을 피할 수 있을까??
사실 이미 예견된 부분이기도 하지만 이 기사에서는 보라색 인간이라고 언급하는 부분에 관심을 갖을 필요가 있습니다. 핵심은 전달형 일자리의 축소와 창의성 일자리의 확대라는 점이 중요하지 않을까 하네요.

버틴다고 사라지는 일자리가 유지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지금 하는일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업에 두려움을 떨 시간에 보다 현실적인 나만의 지식을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 하네요.

 

[관련기사]
[AI시대] A I가 우리의 일자리를 노린다면?...‘보라색’ 인간이 돼라
[추석 연휴 기획...AI 시대 성큼] 기계가 볼 수 없는 ‘큰 시야’ 가져야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437

반응형
반응형

앞으로 몇년 뒤 AI의 선두가 미국에서 중국으로 바뀌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이미 핀테크로 화폐거래 자체가 없어지고 있고 가상화 사회의 구조를 다방면에서 만들어가는 중국이 이제는 AI의 선두를 넘어서 4차산업의 최대 수혜국가가 되지 않을까 하네요.

특히나 10억이 넘는 내수시장은 무엇을 해도 된다는 생각으로 다양한 시도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서 Fast Fail을 통한 빠른 성공이 일어나는 환경이 조성되는듯 하네요.

이번기사도 안면인식을 AI를 통해서 한다는 점에서 파급력이 큰 것이 안명인식 기술 자체가 다수의 표본이 모여서 그것들을 정교하게 조합한 뒤에 활용이 가능해서 시장화에 시간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는데 이것을 우선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역을 이용하는 곳에 활용함으로써 동양인의 안면인식 기술 및 지식을 축척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히 개표에 활용된다고 보기보다는 이것을 통해서 더 많은 곳에 활용가능한 안면인식 빅데이터 확보를 중점적으로 보시면 좋을듯 하네요.

[관련기사]
中 기차역, AI 안면인식 검표 확대
국경절 연휴 맞아 각 도시에서 'AI 역무원' 활약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1006113739&type=det&re=

반응형
반응형

이제 주가조작이 근절되는 것일까??

증권거래소에서 감시시스템에 AI를 활용한다고 합니다.
이제까지 본 AI 중 가장 AI 스럽다고 해야할지.. ^^

하루 거래되는 엄청난 데이터에 대해서 실시간 감시를 통해서 탐지 시간을 대폭 단축하기도 하고 처리속도도 2배 이상 증가한다고 하니 기대가 됩니다.

특히나 기존의 감시 방법은 주가조작 등 사고가 발생 한 이후 몇일이 지난 뒤에 처리가 가능했던 점에서 개인투자자의 피해도 최소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나름 가장 기대되는 부분이라 빠른 시일내 도입되었으면 하네요.

[관련기사]
불공정거래 AI 기술로 잡는다
거래소, 내년 4월 차세대 시장 감시시스템 도입
http://www.sedaily.com/NewsView/1OM7KWRPFJ

반응형
반응형

인공지능에서 어쩌면 가장 현실성 있는 AI 스마트 시티가 아닐까 합니다.
사실 돈이 되는 것은 B2C보다는 B2B가 더 현실적인 수익이 담보되기도 하고 빠르게 확대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런 스마트 시티는 여러 건설관련 곳에서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엔비디아의 플랫폼을 알리바바와 화웨이가 채택을 했다는 점이 향후 주도권 싸움에서 엔비디아에게 유리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AI 스마트 시티의 의미는 향후 자율주행자동차 등 AI 관련 인프라를 선도하는 것으로 중국기업이 채택했다는 점은 빠른 시일내 AI 스마트 시티가 착수될 것이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AI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는 중국의 입장에서 선점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까지 더해질 것으로 예상되어서 최초의 AI 스마트 시티는 중국에서 만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네요.

[관련기사]
알리바바·화웨이,엔비디아 메트로폴리스 AI 스마트 시티 플랫폼 채택
엔비디아는 알리바바와 화웨이가 인공지능(AI)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엔비디아 메트로폴리스 플랫폼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또한, 실시간 동영상 분류를 돕는 엔비디아 딥스트림 SDK를 새롭게 탑재했다고 발표했다
http://betanews.heraldcorp.com:8080/article/750001.html

반응형
반응형

인공지능 스피커의 광고 중에 자주 나오는 것이 1:1 대화입니다.
아무도 없는 공간에 혼자서 말하면 인공지능스피커가 대답하는 것이죠.

사실 그렇게 말한다고 해서 사람들이 원하는 정답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많죠.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언제부터인가 대화상대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점 입니다.

일각에서 이미 이런 것을 생각해서 심리치료까지 가능한 수준의 AI스피커를 생각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 AI의 기술이 인간의 감성까지는 가지 못해서 그런 부분까지는 먼 이야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대화의 상대가 있다는 점... 그것만으로도 사람들의 심리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이미 어느정도 효과를 내고 있는 듯 합니다.

이미 애플의 경우도 심리학 전공한 엔지니어를 고용하는 것을 보면 이런 분야의 확대에 대해서 빠르게 진행되지 않을까 하네요. 특히나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개인의 고민을 남에게 털어 놓는 것이 아닌 AI스피커로 하기 때문에 보다 더 활성화도 쉽게 될 것이며 개인들도 편하게 대화하다보면 생각보다 빠르게 심리치료의 영역에도 확대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관련기사]
"은밀한 고민은 인공지능에게"…AI가 내 심리치료사?
애플 시리·챗봇 엘리·카림…인공지능에게 더쉽게 속마음 털어놔…"아직 기술적으로 먼 얘기"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92516521310285&outlink=1&ref=http%3A%2F%2Fsearch.naver.com

반응형
반응형

매번 산업혁명시기에 언급되는 단어 "대량실업"
그런데 이번에는 그것에서 더 나아가 대량실업과 전쟁까지 야기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산업혁명은 기존의 일자리를 없애는 것은 맞지만 새로운 일자리가 대체하는 구조로 이전의 산업혁명때 나온 부분이 있죠. 하지만 전쟁은 아마 이번 4차산업혁명으로 전혀 다른 구조가 되지 않을까 하네요.

이전까지는 모든 전쟁에서 인간의 개입이 중요했는데 이제는 그런 인간을 대체하는 것들이 더 많아지고 심지어는 인간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 전쟁이 가능한 수준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지금도 무인드론으로 전쟁을 하는 문제로 여러가지 언급이 되고 있는데 조종사들이 게임하듯이 사람을 죽이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없다보니 오폭이 잦은 것도 이유가 아닌가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대량실업보다는 전쟁에 대한 양상이 달라질 수 있고 기존의 기계를 해킹을 통해서 테러단체들의 도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네요.

아무튼 AI가 인간의 조력자가 될 것인지 인간과 대립관계가 될것인지는 인간이 어떻게 인공지능을 성장시킬건지 중요하지 않을까 하네여.

 

[관련기사]
AI 로봇, 대량실업ㆍ전쟁 일으킬 수 있어
로봇이 전쟁과 대량 실업사태 등을 일으켜 세계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유엔(UN)이 경고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0929000744

반응형
반응형

4차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 기반기술에 대한 고민이 되어야 합니다.

AI와 Cloud로 인해서 가려진 기술 중 하나인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뜨겁다고 할 수 있죠.
블록체인이 세상에 나온 이유는 바로 가상화폐로 인한 것...

가상화폐가 가능하게 된 이유가 바로 블록체인...
블록체인에 대해서는 현재 가상화폐의 인증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확장성이 뛰어나서 관심이 있는 기업들이 많이 있죠. 특히나 블록체인을 통해서 인증체계 전체를 대체하는 방법까지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는곳이 많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인증체계는 관리가 중앙에서 이루어짐에 따라서 비용, 운영 등의 어려움이 많은 반면 블록체인은 그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더 높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그래서 MS도 이런 것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쪽으로 전략을 수립한듯 하는군요.
플렛폼을 제공해서 블록체인을 하려고 하는 기업들이 쉽고 빠르게 블록체인기술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입니다. 결과적으로 더 큰 시장을 노리는 것으로 보여지는군요.

하지만 걱정이 되는 부분은 MS의 기술력에 비해서 해당 서비스의 완성도는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지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닐까 합니다.

[관련기사]
MS 블록체인 비즈니스가 주목되는 이유
마이크로소프트(MS)는 블록체인 기술 자체를 만들기 보다는 여러 기업들이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더 빠르고 쉽게 개발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에 집중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12406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