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1월 02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1. 삼성전자, 혁신이 화두…사물인터넷·AI·전장에 올인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와 각종 글로벌 경쟁 환경의 리스크 구도에서 삼성전자는 '초격차' 전략을 유지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전장(VC) 등 핵심 사업 영역에서 새해에도 혁신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1464


2.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서비스 무료 제공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지난달 29일부터 민간 자율의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IP카메라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서비스는 사물인터넷 제품이 일정한 기준의 보안 시스템을 갖고 있는지를 시험하고 인증하는 서비스이다. 이번 인증서비스는 인증·암호·데이터보호·플랫폼보호·물리적보호 5개 영역에 대해 Lite’와 ‘Standard’ 2개의 등급을 매긴다.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45


3. SF 영화서 본 듯한 스마트 기기, 일상을 바꾸다
LG전자는 문을 두드려 내부 내용물을 볼 수 있는 ‘LG 디오스 노크온 매직스페이스 냉장고’를 선보였다. 고객들이 냉장고를 여닫는 횟수의 절반은 냉장고 내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라는 조사 결과에 착안했다. 문을 두드리면 냉장고 안의 조명이 켜지고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을 열지 않고도 보관 중인 음식물의 종류와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무선랜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LG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스마트씽큐’와도 연결할 수 있게 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냉장고 상태를 확인하고 온도를 설정하거나 탈취 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876559&code=11161100&sid1=eco


4. 이젠 스마트 시티… AI·IoT에 도시를 통째로 연결하라
'스마트홈' 화두 1년 만에 확장, 기조연설에 가전업체 대표 全無
자동차·로봇·헬스케어·의류 등 4000여 기업 IT 첨단기술 선보여
삼성, 빅스비 적용한 생활상 공개… LG, 인공지능 브랜드 '씽큐' 소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 총출동, 음성·뇌파로 제어하는 기술 눈길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02/2018010200656.html


5.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5G 선도해 국가 경제 이끌겠다”
박 사장은 “4G까지는 기존 유선 서비스가 무선화 되는 과정이었지만 5G는 오프라인 세상 자체가 무선으로 들어오는 것을 의미한다”며 “5G 시대를 맞아 텔레매틱스 등 지도 기반의 서비스가 모두 무선화되고, 뱅킹 등 금융거래가 무선에서 일반화되며 인공지능(AI)이 융합되는 등 오프라인과 모바일의 융합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02/2018010202946.html


6. 3D프린터·AI가 건설현장에... 국토부,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 수립
정부는 또 드론과 사물인터넷(IoT) 센서, 초소형 로봇 등을 활용해 시설물의 문제점을 알아내고 대응하는 시스템도 개발한다. 이 밖에 해외시장 진출에 필요한 해저터널 등의 핵심 원천기술도 확보하도록 연구개발(R&D) 예산을 투입한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02/2018010201066.html


7. 지식과 기술의 융합으로 전력산업 미래를 열자
발전, 송변전, 배전 분야는 감시, 진단, 운영, 예지, 유지 정비의 효율성 향상 및 노후화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등 주변의 모든 정보를 수집해 디지털화하고 유용한 정보를 분류 저장 가공한 후 학습을 통해 스스로 사고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전력산업에 적용돼야 한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은 전력분야 및 산업 현장에서 정확한 진단, 예측, 감시 등 다양한 부분에 활용될 것이며 문제해결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범용기술로 이용될 것이다.
http://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258


8. 모바이크, 국내 서비스 공식 론칭 …. 30분 당 300원
모바이크는 자전거 거치대 및 키오스크(무인 정보 안내 시스템)가 필요하지 않은 무인 대여 자전거 시스템으로, 사용자는 모바이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변의 자전거를 검색하고, 자전거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해 잠금을 해제한 후 이용할 수 있다. 사용 후에는 목적지 인근 공공 자전거 주차 공간에 세워 두면 된다.
http://platum.kr/archives/93936


9. IoT와 자율주행차 ‘시스템 반도체’에 달렸다
그러나 신성장 동력으로 등장한 사물인터넷(IoT)으로 인해 시스템 반도체의 성장 기회를 더욱 확대할 수 있게 됐다. IoT는 스마트워치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부터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로 앞으로 활용 범위가 넓다. IoT 관련 시장은 대부분 소비자 관련 시장으로 인식되기 마련이지만, 초기 성장이 소비자 중심으로 진행되더라도 결국 실질적인 성장 기반은 제조업, 서비스업, 리테일, 빌딩 등이 차지하는 규모가 훨씬 크다.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142


[이전뉴스]
 - 2018년 01월 01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 [주간종합] 2017년12월 31일 사물인터넷(IoT) 관련 뉴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