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자동차의 하이차저

앞의 블로그에서 언급했던 주행거리의 증가가 왜 큰 의미가 없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했다.
"[전기차 거꾸로보기] 9. 배터리 용량/주행거리의 집착"

그렇다면 왜 주행거리의 집착을 해소할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전기차의 최대 문제점인 충전 이슈는 당면한 숙제이다. 아마도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는 순간까지 지속되지 않을까 한다. 그래서 그것을 회피하는 것으로 주행거리를 늘리는 것에 OEM(자동차제조사)들이 지금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이다. 

그렇다면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과연 무엇일까. 

1. 전기차의 불편함의 근본 원인
기본적으로 전기차의 태생적 한계인 충전문제는 사람들에게 선택에 있어서의 가장 큰 고려사항이다. 단순히 주행거리를 늘린다는 것도 거꾸로 말하면 충전시간이 증가한다는 것과 같은 말이 된다. 아무리 완충을 하더라도 결국 충전을 하게 되고 그 시점이 긴급하거나 이동중에 발생할 경우 특히나 장거리 주행이 필요한 상황에서 충전을 해야 하는 경우는 주행거리가 길어도 모든 전기차에게 동일하게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더 문제는 충전의 접근성이다. 주유소처럼 찾아서 주유하고 나오면 되지만, 충전소를 찾는 것도 그리고 그곳에서 충전하는 것도 불편한 것은 피할 수 없다. 충전이 필요한 시점에 충전소를 찾으면 다행이지만 수도권이 아닌 지방의 경우에는 이런 것들도 엄청난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막상 충전소를 찾아도 그곳이 완속인 경우와 급속인 경우, 급속도 50kW, 100kW에 따라서 충전시간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완속대비 급속의 경우는 전기요금도 차이를 나타나게 된다. 이런 기본적인 문제에 더해서 겨울에는 베터리의 효율의 하락으로 기대하던 주행거리가 아닌 더 낮은 수준의 주행거리로 이런저런 충전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매번 완충을 하면 되지 않을까?

2. 완충과 Battery의 비효율
사실 전기차의 경우 완충보다는 적당한 충전구간을 사용하는 것이 Battery 수명에 좋다. 역설적이게도 완충시에 오히려 화재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차량별로 다르지만 전기차 OEM의 경우 DOD 설정을 5%~10% 내외로 설정을 한다. DOD(Depth of discharge)는 방전깊이라고 한다. 잔존용량(State of charge, SOC)의 반대말로 DOD가 증가하면 잔존용량은 감소한다. 흔히 SOC라고 말하는 것은 흔히 충전용량을 의미하며 차량에서 보이는 충전량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 이때 보여지는 SOC는 DOD가 적용된 것으로 실제 SOC와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Battery 수명예측 등의 Data 분석을 하게 되면 실제 Battery 용량과 DOD로 조정 된 차량에서 보여지는 SOC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실제 전기차에 탑제된 Battery 용량보다 DOD 적용된 만큼의 용량을 제외한 것이 전기차 운전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그래서 실제 탑제된 Battery 용량이 55kWh이라면 DOD 적용되어 50kWh로 충전으로 제한된다. 

왜 DOD가 생겼을까!!! 전기차와 Battery를 분석하다보면 가장 의아한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DOD의 제한은 사실 Battery 태생적 문제점에 기인한다. Battery를 100% 충전할 경우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모 Battery 화제에서도 OEM이 먼저 취한 조치가 바로 DOD의 상향조정이였다. 

그래서 Battery의 완충보다는 적절한 구간 내에서 충/방전이 일어나는 것이 전기차의 안전과 수명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충전의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완충을 선호하게 된다. 완충을 해야 그래도 안심을 가지고 전기차를 탈 수 있다고 하지만, 사실 상당수의 전기차는 완충을 할 필요도 당일 사용하는 거리보다 항상 많은량의 전기를 충전하고 있다. 

그렇다면 완충의 굴래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을까!!!!

3. 최적충전의 시작!!
최적충전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안정성과 수명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시작된다. 여기서 말하는 최적충전이란 사용자에 맞는 충전패턴과 충전방식을 Life-cycle 기반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최적충전은 기본적으로 SOC의 20%~80%를 기준으로 삼는다. SOC가 90%가 높아질 경우 일부 위험도가 높아지는 특성도 있고, 간혹 회생재동등으로 높은 충전상태에서의 과충전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으로 80% 내외로 운영을 하는 방법이다. 

최적충전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전기차 운행 패턴을 기반한다. 사용자가 어떻게 전기차를 사용하는지 하루 또는 주행하게 될 경우 소모되는 전기량을 분석하고 그 분석에 따라서 최적의 충전용량을 산정한다. 이렇게 산정된 최적용량은 전기차의 충전 Base로 설정하고 그 안에서 충전량을 산정하게 된다. 

또한 최적충전은 기본적으로 완속충전을 기반으로 하고 급속충전은 최소화 하는 방법이다. 이유는 Battery의 수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실질적인 전기요금과도 연관이 된다. 급속충전의 kW에 따라서 충전요금의 차이가 발생한다. 심하게는 완속충전대비 2배정도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급속충전은 최소화하고 완속충전을 최대한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서 A회사원은 주로 출퇴근으로 전기차를 사용한다. 대량 왕복 80km정도의 거리를 출퇴근한다. 이럴 경우 전기차의 전비를 1kWh당 5Km로 잡을 경우 대략 16kWh의 SOC가 필요하다. 이것을 정리해 보면
 - 차량 SOC 용량 : 50kWh
 - 1일 사용 SOC : 16kWh(전비 5km/1kWh 기준)
 - 차량 SOC 안전용량 : 일 사용량의 150%인 25kWh로 SOC의 약 50%.
 - 충전범위 : 40%~80% 내외로 설정

이렇게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실제 운행 데이터와 적용한다. 그 다음부터 최적충전을 시작하게 된다. 

4. 최적충전의 적용
개인이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스케줄이 가능하다. 원래 시스템 기반의 최적충전은 사용자 패턴에 맞는 최적의 충전관리 스케줄을 제시해 준다. 기본적으로 집에서 완충으로 80%를 유지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사용하다보면 그게 생각보다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운행 중에 충전이 필요하거나 SOC가 20%로 낮아진 경우 필요한 충전량을 산정해서 급속으로 최소충전을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현재 SOC가 20%인 경우 20Km를 가야한다면 약 필요한 용량은 약 10%정도 된다. SOC로 충분히 갈 수 있지만,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 급속으로 약 4kWh정도만 충전한다. 그리고 도착지에서 완충으로 80%를 충전하는 개념이다. 

사실 최적충전의 경우 일반적 전기차보다는 주기적 운영하는 영업용전기차의 경우 그 효과는 더 크다. 전기차의 안정성과 수명을 높이면서도 충전요금의 절감도 같이 얻을 수 있어서 영업용의 경우 연료비의 절감을 가져오게 된다. 

지금이야 전기요금이 낮지만 앞으로 전기요금은 현행화 될 것이다. 또한 현재는 심야전력이 저렴하지만, 향후 재생에너지의 환경이 될 경우는 이런 전기요금의 시간대도 달라지게 된다. 이 부분은 다음에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최적충전을 강조하는 이유는 전기차의 확대에 따라서 전기의 효율적 운영과 전력망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기차에 대한 기본적인 Data 수집의 구조가 확립되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의 의미로 볼 수 있지만 단순하게 전기차의 SOC값의 변동만을 관리하는 것으로 한다면 개인의 전기차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면서도 국가적 전력망의 관리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부분은 이후 조금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다. 

전기차를 그저 보급에만 열 올리기 보다는 이런 향후 전력망과 전력거래 그리고 재생에너지의 활용 등의 구조를 고려한 전기차 인프라 구축이 더욱 필요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최적충전은 효율적 전기차 사용과 국가적 전력의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전기차에 대한 시장을 분석하고 관련 서비스를 만들다보면 문득 의문이 드는 부분이 과연 배터리의 용량은 어디까지 증가할 것이고, 에너지 밀도는 얼마나 높여서 완전충전 기준 몇 Km를 원할까 하는 생각에 빠진다. 

대다수의 자동차 업체들은 최장거리라는 것을 강조한다. 1회 충전으로 몇 Km를 간다는 것을 가장 큰 차별점으로 강조한다. 용량을 높이고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 1회 충전거리를 최대한 늘리면서 1000km를 강조하는 자동차 업체까지 생기는 상황에서 문득 정말 충전거리를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인가 

주요 전기차 주행거리 비교

■ 충전의 불편함의 보상심리
전기차는 태생적으로 불편함을 안고 태어났다. 그건 바로 충전... 그래서 전기차를 개발하는 것의 핵심은 이런 충전의 문제를 어떻게 해소시키느냐... 어쩌면 충전의 문제는 해소될 수 없다. 급속충전이 아무리 개발되더라도 태생적 한계는 극복하기 어렵다. 

그러다보니 1회 충전거리의 증가는 이런 충전의 불편함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 빠지게 되었다. 즉 한번 충전으로 여러번 충전이 필요 없이 전기차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존의 200~300km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대폭 증가시키는데 사활을 걸고 있다. 

위에 표에서 보듯이 이제 1회 충전으로 1000km까지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존재한다. 이렇게 사람들에게 주행거리가 길어졌으니 당신은 충전에 고민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하지만 주행거리의 증가가 충전의 불편함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충전이라는 것 자체를 하지 않는다면 모르지만 그저 주행거리만 늘어났을 뿐 충전자체는 변화가 없다. 하지만 심리적 안정을 준 것은 맞다. 그렇다고 충전을 소홀히 할 경우 결국 충전의 문제에 부딛힌다. 항상 충전하는 습관이 없이 기존 내연기관 타듯이 타다 주행거리가 얼마 안남았을 경우 결국 충전이란 일정한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만약 급한 일일 경우 충전을 깜빡한 상황에서의 전기차의 긴 주행거리를 자랑한다고 하더라도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다. 

 급속충전의 확대

딜로이트 자료 인용

주행거리 증가는 거꾸로 충전시간의 증가로 이어졌다. 주행거리는 늘어났지만 그에 따른 충전시간은 더 길어지는 문제가 생겼다. 배터리 용량의 증가로 인해서 기존의 급속충전(50kw, 100kw)으로는 오히려 충전시간만 더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50kWh의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 50kw는 1시간, 100kw는 30분정도이다. 

주행거리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두가지가 있다. 배터리 용량을 증가하거나 배터리 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현실적인 방법은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기존에 50kWh에서 100kWh의 배터리 용량으로 두배 증가시키면 그에 따라서 주행거리가 증가하는 것이다. 반대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방법은 기존의 동일 용량에 담을 수 있는 전기량을 높이는 것으로  L당 몇 Wh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밀도를 높이면 기존의 크기에 충전량을 높여서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다.

이렇게 충전량의 증가는 충전시간의 증가로 이어지고 그에 따라서 새로운 충전의 대안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서 새롭게 2022년부터는 350kw급의 충전기가 도입되기에 이른다. 그래서 주행거리 증가에 따른 충전시간의 단축을 하고자 한다.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 이런 급속충전의 전력 증가는 오히려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준다. 잦은 급속충전은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문제해결의 방법이 다른 문제를 야기하는 상황이 반복되게 된다. 단순히 충전속도만 높인다고 해결이 될까!!!

 비용의 증가
주행거리와 충전속도를 높이는 것이 전기차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그에 따라서 역설적이게 비용의 증가가 발생한다. 배터리 용량의 증가는 배터리 가격의 상승을 가져온다. 현재 2021년 기준 1kWh당 143달러이다. 앞으로 2030년까지 93달러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은 되지만 전기차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원가는 그만큼 크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전기차의 원가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것은 40% 이상이다. 이런 상황에서 배터리의 용량증가는 전기차 가격인상과 맞물리고 특히 최근처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배터리 가격을 낮추어야 하는 상황에서 어려움이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 하나 급속충전의 비용적 측면의 문제이다. 현재 충전요금을 전력 기준으로 볼 경우
 - 완속 : 170원~200원
 - 급속(50Kw) : 290원 내외
 - 급속(100kw) : 310원 내외

급속충전의 확대는 충전비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급속충전에 대한 속도만 부각시키다 보니 정작 그에 따른 비용은 뒤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된다. 마치 충전의 편리함을 강조하며 사람들에게 전기차의 판매에 열을 올리는 와중에 정작 유지관리 비용의 증가는 고객에게 떠넘기는 것이 되어 버린다. 

비용의 증가와 유지관리비의 증가가 과연 전기차 확대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 효율적 충전과 관리가 해법 - 제조사가 아닌 소비자를 보자!!
전기차의 보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기차의 충전효율이다. 주행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들이 정말 소비자를 위한 것인지 곰곰히 따져봐야 한다. 우리가 차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 패턴을 보면 300km 이상을 하루에 주행하는 차량은 전체차량에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영업용 차가 아닌 경우 대부분의 차량은 출퇴근 차량으로 100km 이내에서 사용한다. 즉 500km이상의 전기차가 과연 필요한지에 대한 소비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기차의 보급과 전기차의 확대를 위해서는 주행거리의 자동차 회사들의 경쟁에서는 소비자는 정작 제외된 상황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경제성을 기반으로 접근한다면 오히려 효율적 충전관리가 해법이 될 수 있다. 내연기관처럼 한번에 연료를 주입하는 방식처럼 전기차를 바라보는 것부터 바꾸어야 한다. 전기차의 경우는 오히려 SOC 20%~80% 구간의 충전관리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 충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 그리고 충전의 매커니즘을 기존의 주유소가 아닌 주행과정의 일부로 녹여내는 방법이 그 해법이 될 것이다. 사실 이 부분에 최근에 집중하고 있다. 이 부분이 해결이 된다면 굳이 500km이상의 비싼 전기차를 구매할 필요 없이 300km 이하의 전기차로 장거리를 운행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 

이미 보조금의 경우도 축소되고 전기요금도 점차 상승하고 있다. 아마도 이런 것들을 인지하는 업체의 경우 보급형 전기차에 눈길을 돌릴 것이다. 이미 충전인프라가 확대되고 있고, 스마트시티 등의 도로정보의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미래의 전기차는 주행거리가 아닌 보급형 전기차를 어떤 기업이 선점하느냐에 달려 있다. 

관점의 전환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앞으로 전기차를 바라보는 시각, 즉 기존의 내연기관의 습관에서 벗어나 새롭게 전기차의 사용문화를 재정의하는 것 만으로 보다 빠르게 전기차 시대를 앞당기게 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앞서 언급했던 충전의 문제에 보다 심각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데 바로 충전방식의 표준이 아직 없다는 점입니다. 흔히들 전기차를 말하지만 정작 어떤 충전방식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냥 아무 전기차 충전소에 가면 내차가 충전되겠거니 생각했던 사람들이 난관에 빠지게 되는 이유가 바로 이 충전방식의 비표준으로 인해 발생됩니다.

이런 충전방식의 비표준은 어떻게 존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급속충전과 완속충전
일단 충전속도 기준으로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으로 나누어집니다. 급속충전은 30분에 80%를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고 완속충전은 4~5시간 정도 걸리게 됩니다. (단, 이 시간은 차량의 구입상태, 유형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공시설의 경우 대부분 급속충전 위주로 설치가 되고 완속충전은 가정용 또는 휴대용이 많습니다. 가격도 그래서 급속이 완속보다 2배정도 비쌉니다.

사실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은 어찌보면 표면상으로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구조적 측면을 보면 급속충전의 경우 비용적 측면에서 1기당 약 4천만원 내외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입니다. 이런 문제로 정부에서는 급속충전시설 보조금까지 지원하면서 민간의 충전소 확대를 지원하고 있지만 설치비용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유지비용을 따지자면 여전히 회의적인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정말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2.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
사실 전기차의 비표준의 가장 큰 문제가 바로 이 커넥터입니다. 커넥터는 충전시설과 전기차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른바 주유기 역활을 하게 됩니다. 현재 주유소는 휘발유와 경유 두가지로 구분되어 있지만 이것은 유종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의 커넥터는 사용하는 차종별로 다양하여 현재까지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 AC단상 5핀(완속) : 레이, 쏘울, 아이오닉, 볼트 등
 - AC3상 7핀(급속/완속) : SM3
 - DC차데모 10핀(급속) : 블루온, 레이, 쏘울 등
 - DC콤보 7핀(급속) : 스파크, 볼트, 아이오닉 등
 - Type2 : 테슬라

현재 국제적으로 DC콤보로 급속충전은 통일되는 분위기지만 테슬라와 같이 시장점유율 50%의 업체가 사용하는 충전방식이 다르게 되면 사실 충전공간의 활용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이미 제주도의 경우 보급된 전기차와 충전방식이 상이하여 해당 커넥터에 맞는 충전소를 찾아다녀야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커넥터의 불일치는 전기차 충전공간의 문제를 더 심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게 됩니다. 앞으로 표준의 방향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전기차 생산업체들이 표준에 따를지 관건이고 국내는 미국방식인 DC콤보로 17년부터 생산되고 있지만 시장의 분위기에 따라서 이런 충전표준은 여전히 문제로 자리잡게 됩니다.

3. 가격
사실 충전비용에 대해서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흔히들 전기차 충전요금이 한전으로 귀속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주유소처럼 다양한 업체들이 충전소를 운영하며 다양한 가격정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정부중심의 지원이 되고 있지만 사실 충전비용이 저렴하다기 보다는 정부의 보조금 지원으로 낮은 비용으로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제주도의 경우도 렌트카에 한해서 비용을 지원하던 것을 이제는 유로로 전환되고 있고 충전소 확충의 정부의 한계로 인해서 민간사업자에게 확대하고 있는 추세여서 이런 전기차의 가격문제는 또 다른 복병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여전히 전기차가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 충전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지만 이런 기조가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여전히 전기차는 진행 중이라는 생각입니다. 충전방식 등의 비표준의 문제 등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전기차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미 제주도에서 발생된 비표준으로 인한 차량에 맞는 충전소를 찾아다니는 문제는 표준화에 대한 방향으로 정리될 수 있지만 여전히 국가간 표준에 대한 싸움과 전기차 선도기업인 테슬라가 참여하지 않거나 미국, 일본, 유럽 특히 전기차의 가장 큰 시장인 중국이 어떤 방식을 선택하느냐도 앞으로 전기차 충전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충전의 문제에서 또 다른 문제는 무엇이 있을지 배터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