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07월 16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한층 강해진 인공지능, 바둑·포커 이어 ‘도타2’도 접수?
인공지능이 인간과 겨루기에 바둑과 컴퓨터 게임 가운데 무엇이 더 까다로울까? 직관적으로는 수천 년 역사의 심오한 바둑보다 같은 컴퓨터로 만들어진 게임이 더 쉬워 보인다. 하지만 들여다보면 게임이 오히려 인공지능에 훨씬 어려운 과제로 꼽힌다. 이세돌을 꺾은 구글 딥마인드 쪽이 당시에 다음 과제로 컴퓨터 게임 “스타크래프트”를 언급한 데에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이 바둑 최강의 자리를 기계에 내준지 2년 만에 컴퓨터 게임마저 내줄 것 같은 전조가 최근 나타나고 있다. 이르면 내달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리는 ’도타(Dota)2’라는 게임의 세계 대회, ’인터내셔널’이 그 자리가 될 수도 있을 전망이다.
http://www.hani.co.kr/arti/science/technology/853399.html


2. 일본공영, 대홍수 예측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일본 서북 지역을 강타한 폭우로 희생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매뉴얼 사회라고 일컬어지는 일본에서 희생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이 커지고 있다. 하천 둑의 범람과 범람 지역을 예측하지 못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일본 건설 컨설팅 기업 ‘일본공영(日本工営)’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대홍수로 상승하는 하천의 수위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일본경제신문이 보도했다. 과거에 경험하지 않은 폭우가 오더라도 강우 시점부터 6시간 후에 홍수가 발생할지를 예측할 수 있다. 홍수를 예측하면 홍수가 발생하기전에 주민 대피령을 내리거나 긴급 복구 조치를 취하는 등 지방 자치단체나 전력 회사들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63


3.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컴퓨터 기반 독성 예측 알고리즘은 실제 동물실험의 결과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신뢰도를 지닐 수 있다.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b4c8cf9e4b0e7c958fd51d3


4. 프런티어들이 진단했다···'음악, 인공지능을 켜다 그 이후'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지만 창작의 범위를 넓히는 것에 도움이 될 거라 생각을 하고 있어요."(한윤창 대표) 지난해 11월 한국콘텐츠진흥원, 엑소·레드벨벳을 매니지먼트하는 SM엔터테인먼트의 융합형 콘텐츠 협업 프로젝트 '음악, 인공지능을 켜다'가 대중음악계에서 주목 받았다.기술기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퓨처플레이, 구글캠퍼스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와 함께 음악과 인공지능(AI)이 만나는 미래형 콘텐츠를 쇼케이스 형식으로 선보인 자리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716_0000365240


5. 블록체인, AI, AR/VR··· 美 의료 M&A 물망에 오른 8가지 기술
기술은 종종 노동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많은 의료 회사가 고유의 치료법을 개발하기보다는 이를 보유한 기업을 사들이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의료 회사가 기술 신생기업을 인수하면 수익성을 높이고 IT 및 규제 준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기술 회사가 의료 기업에 가장 큰 도움이 될까? 기술 컨설팅회사인 인 웨스트 몬로 파트너스 (West Monroe Partners)는 의료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는 100명의 고위급 임원과 투자자에게 가장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인수 대상 건강관리 기술을 물었다. 이들이 꼽은 8가지 기술을 정리했다.
http://www.ciokorea.com/news/38913


6. 한화S&C, 고려대 데이터마이닝 연구실과 AI 산학협력
한화S&C(대표 김경한)가 16일,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데이터마이닝(DMQA : Data Mining & Quality Analytics) 연구실(김성범 교수)과 AI(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화S&C는 올해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관련 분야를 미래 전략 사업으로 선정하고 본격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딥러닝 분야 창시자인 요슈아 벤지오가 창업한 캐나다의 엘리먼트 AI(Element AI)와의 기술 파트너십을 통해 한화손해보험의 장기보험 클레임 자동 심사 고도화 프로젝트 등을 수행한 바 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0655


7. 다리 6개 HEXA로봇, 식물 광합성 돕는 인공지능 탑재
탐색을 위해 HEHE는 야간 시력 기술이 장착된 720p카메라를 사용, 어두운 곳에서도 볼 수 있고 적외선 송신기, 거리를 측정하는 전용 센서 및 가속기를 사용한다. 무선인터넷 연결을 통해 통신하며 Wi-Fi액세스 지점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기술적인 사양들은 직사광선, 물이 필요할 때의 신호, 행복감을 닮은 춤 등에서 스스로 움직이는 맞춤형 HPC꽃 화분에 설치돼 있다.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36607


8. 중국 AI업체 '아이플라이텍', 사카디아 아시아에 투자
사카디아의 장치는 여성의 브래지어 안에 착용할 수 있는 센서 패치다. 이 패치를 매월 2시간 동안만 착용하면 모바일폰 앱으로 자신의 유방 건강을 모니터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생체 리듬 대사 변화를 모니터하는 데 클라우드 기반의 AI를 사용한다. 또한, 이 기술은 검사 참여도가 낮고, 암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다수의 여성 인구의 유방 조직이 조밀한 아시아에서 특히 이점이 있다. 유방 조직이 조밀하면 전통적인 이미징 기술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64


9. AI 바탕으로 공유자동차와 헬스케어…안전하고 편리한 도시로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 16일 세종 국가시범도시 기본구상 발표
http://hankookilbo.com/v/e213eafad56641bdb4077a2d3afb197f


10. AI 한의사로 한의학 과학화에 ‘성큼’
임상시험의 경우 AI 기법 검색으로 적합한 질병과 환자를 탐색해 임상시험의 준비 기간을 단축시키고 객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약물 개발 과정에서는 질병 치료에 더욱 효과적인 약물의 조합과 용도 변경을 탐색해 약물 후보군과 임상 환자군을 최적화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영역에서 AI 기술은 유전체, 임상병리 빅데이터의 연관성을 분석, 모델링해 예후 예측과 진단·치료를 하는데 사용된다. 이 외에도 정확도를 높이고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 추가 진단 검사 프로세스를 추진하는데 AI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http://www.akomnews.com/?p=399953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