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11월 09일 AI(인공지능) 관련 뉴스


1. 삼성전자, 인공지능 국제협력단체 ‘PAI’ 가입
삼성전자는 8일(미국 현지시간) AI의 미래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적극 참여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국제협력단체인 ‘PAI(Partnership on AI)’에 우리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가입했다. PAI는 2016년에 AI의 잠재적 위험성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사람과 사회를 위한 윤리적인AI 연구와 개발을 통해 사회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설립된 국제협력단체이다.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EC%9D%B8%EA%B3%B5%EC%A7%80%EB%8A%A5-%EA%B5%AD%EC%A0%9C%ED%98%91%EB%A0%A5%EB%8B%A8%EC%B2%B4-pai-%EA%B0%80%EC%9E%85


2. "뉴스 속보를 알려드립니다"…중국서 인공지능 아나운서 등장
관영 신화통신은 8일 검색 포털 써우거우(搜狗)와 함께 저장성 우전에서 열린 ‘제5회 세계 인터넷 대회'에서 최초로 ‘AI 합성 아나운서'를 발표했다. 신화통신은 이와 함께 AI 아나운서를 활용해 자사 앱과 위챗 공식 계정 등을 통해 중국어와 영어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09/2018110902090.html


3. LG, 인공지능·빅데이터로 스마트 워크 가속화
LG가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기술 적용을 통한 스마트한 업무 환경 혁신에 박차를 가한다. 이와 관련 LG는 지난 8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한 업무 환경을 만들고 있는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제1회 LG AI Bigdata Day’를 개최했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4462


4. 첫 ‘인공지능(AI) 스피커’ 공개
삼성, SF서 ‘갤럭시 홈’, 가격은 300달러 내외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81108/1213571


5. 유통에서 기술 기업으로.. AI 챗봇 활용한 신세계의 기술 혁신
거대 유통 기업이 첨단 IT 기술을 다루는 디지털 기업으로 거듭나는 것은 필연이다. IT 기술을 적극 활용해 고객들이 원하는게 무엇인지 파악한 후 이를 제공함으로써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아마존닷컴, 중국의 알리바바, 일본의 패스트리테일링(유니클로) 등을 들 수 있다. 당연히 국내에도 이러한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이 있다. 바로 국내 유통업계의 빅3 가운데 한 곳인 신세계 그룹이다.
https://it.donga.com/28353/


6. KT-달콤, 로봇카페 ‘비트’에 인공지능(AI) 기술 도입
KT가 결제전문기업 ‘다날’의 투자로 설립된 달콤(달콤커피)의 무인 로봇카페 ‘비트(b;eat)’에 기가지니 솔루션 적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8일 열린 협약식에는 KT AI사업단장 김채희 상무, 달콤 지성원 대표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체결로 양사는 ▲로봇카페 비트에 인공지능 기술 연동 및 지능형 CCTV 도입 ▲5G를 활용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및 연동 ▲AI 서비스 공동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http://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82


7. 보이스피싱 실시간 차단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
금감원-IBK기업은행-NIA, 보이스피싱 실시간 차단 시스템 구축 MOU
http://www.morningeconomics.com/news/articleView.html?idxno=7847


8. "의료 인공지능, 산업 활성화가 아닌 임상 검증을 통한 신뢰도 구축부터"
임상의사, 개발부터 현장 검증까지 다양한 의료 인공지능 활용 역할 기대
http://www.medigatenews.com/news/2246824798


9. 내년부터 AI가 금융상품 약관심사…기간 ⅓로 단축
내년부터 인공지능(AI)이 금융상품 약관을 심사한다. 금융감독원은 ‘AI 약관심사 시스템’의 시범 운영을 마치고 내년에 본격적으로 도입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AI가 독해능력을 활용, 금감원에 제출된 약관에서 점검 항목(체크리스트)을 찾아 심사기준에 맞는지 판단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82%B4%EB%85%84%EB%B6%80%ED%84%B0-ai%EA%B0%80-%EA%B8%88%EC%9C%B5%EC%83%81%ED%92%88-%EC%95%BD%EA%B4%80%EC%8B%AC%EC%82%AC%EA%B8%B0%EA%B0%84-%E2%85%93%EB%A1%9C-%EB%8B%A8%EC%B6%95


10. 은행 직원에 디지털금융 교육…AI 알고리즘도 학습
이번 교육에서는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해 파이썬 프로그래밍, 머신러닝, 딥러닝 등에 대한 이론적 교육뿐만 아니라 GPU 24개를 갖춘 딥러닝 서버 2대를 사용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실제 구현하는 실습활동이 9주에 걸쳐 이뤄졌다. 이를 통해 교육생들은 디지털금융을 위한 머신러닝, 텍스트 애널리틱스, 딥러닝 활용 방안을 보다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110103?cloc=rss|news|total_list


11. 인공지능(AI) 강국 꿈꾸는 한국, 현실은…
인터넷·게임 등 한정된 분야 집중으로 성장 한계
http://www.kidd.co.kr/news/205641


12. "인공지능 리더십 확보, AI 드림팀 필요하다"
현장 연구자들 "각 출연연 참여하고 AI 기반 미래 국가 설계 해야"
KISTI, 국가연구개발과제 중심 데이터 확보·관리위한 시범 시스템 개발 중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66546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