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년12월 12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1. 중국 전기 자동차 부산 상륙…대형마트서 전시·판매
D2는 중국 쯔더우(zhidou)사가 제작한 자동차로 지난해 중국과 유럽에서만 2만 대가량 팔렸다. 1회 충전으로 150㎞를 달릴 수 있고, 최고 속도는 시속 80㎞ 수준이다. 가정용 콘센트로 충전(완속충전기 기준 4시간, 220V 기준 6시간 완충)이 가능하다. 길이 2m82㎝ 폭 1m52㎝로 크기는 작지만, 에어컨 히터 내비게이션 스마트키 시스템 등 기본적인 편의시설을 갖췄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0&key=20171213.22002005215


2. '전기자동차 이용자' 전남도립공원 입장료 감면
개정조례안은 전기자동차 보급 촉진을 위해 전기자동차 주차료를 50% 감면하고 의사상자 등은 도립공원 시설사용료를 징수하지 않도록 했다. 한, 전남도립공원위원회의 위촉위원으로 도립공원안에 거주하는 주민이나 사업자 등 이해관계인을 위촉할 수 있도록 했다.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843


3. 4차 산업혁명ㆍ전기車 증가에도… 정부, 왜 전력수요 13GW 줄였나
전력수요가 많이 늘어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에너지 다소비 사업인 4차 산업혁명,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등으로 인해 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텐데 8차 전력계획 전망에는 고려가 충분히 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http://www.hankookilbo.com/v/ee96946735a24cd19ba68fc68db78a85


4. '광주자동차인의 날' 개최…“친환경자동차산업 육성·협력 및 소통 구축”
윤장현 광주시장을 비롯해 천정배 국회의원, 유관기관장, 대학 교수, 기업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올해 '친환경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본격 착수되고 세계전기차협회로부터 전기자동차 모범도시상을 수상하는 등 굵직한 성과가 많아 그간의 성과를 되새기며 자축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http://www.etnews.com/20171212000362


5. 횡성군 신성장 동력 '이-모빌리티'사업 주력…센터도 개소
강원 횡성군이 전기동력을 기반으로 한 운송수단인 '이-모빌리티(e-mobility)' 사업을 본격화한다. 횡성군은 최근 우천산업단지 준공에 맞춰 전기자동차를 생산하는 기업과 이-모빌리티 투자 협약을 체결하고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2/0200000000AKR20171212146100062.HTML


6. 도요타·닛산·혼다 등 11곳 '수소충전소 일본연합' 결성
도요타자동차·닛산자동차·혼다·JXTG에너지 등 일본 11개 회사가 연합해 2022년 3월 말까지 연료전지차(FCV)용 수소 스테이션(충전소) 80곳을 건설하기로 했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이 같은 계획이 완성되면 일본내 수소충전소 수는 거의 배로 늘어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2/0200000000AKR20171212108500009.HTML


7. 전남도, 내년 첨단산업 등 경제과학 분야 국비 885억원 확보…'역대 최대'
우주항공 및 친환경 전기자동차 분야에선 '항공센터 비행시험평가 기반 확충' 58억원, '항공기 비행종합시험 인프라 구축' 29억원, '전기구동 운송수단 실증환경 기반 구축' 58억원, '미래이동수단 사용자 경험랩 증진 기반 구축' 6억원의 예산이 확보됐다.
http://www.etnews.com/20171212000332


8. 전력반도체 상용화 R&D사업 특정기업 쏠림 논란
12일 관련 업계와 정부부처에 따르면 올해 시작한 전력반도체 상용화사업의 8개 연구개발(R&D) 과제 가운데 3개가 코스닥 상장 팹리스 업체 아이에이의 계열사인 하이브론, 트리노테크놀로지에 배정됐다. 하이브론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용 1200볼트(V) 실리콘카바이드(SiC) 모듈 개발(30개월, 정부출연금 15억원), 산업용 650V급 모스펫(MOSFET) 모듈 개발(18개월, 정부출연금 7억8000만원)을 수행하고 트리노테크놀로지는 1200V급 고효율 전력반도체스위칭소자(IGBT) 개발(42개월, 정부출연금 19억1000만원) 과제를 수행한다.
http://www.etnews.com/20171212000231


9. 잘나가던 배터리株, 원가상승 '암초'에 주춤
'사상 최고가' 코발트 가격 2017년 127.6% 상승, 코발트 원가비중 20%대까지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121214034033828


[이전뉴스]
 - 2017년12월 11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 [주말종합] 2017년12월 10일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