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년12월 21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1. 관세청, 수출 통관 업무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
수출기업이 수출통관 첨부 서류를 블록체인망에 공유하면 위·변조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이 확보된다. 또한 서류제출 절차가 원천적으로 생략되고, 데이터의 재입력이 불필요해 신고서 오류 정정이 사라지는 등 수출 통관·물류 절차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1040


2. 글로스퍼·재미컴퍼니,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유통 플랫폼' 공동연구 협약
글로스퍼와 재미컴퍼니는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플랫폼 사업 개발과 구축분야에 있어 양사가 공동으로 투자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세계 최초로 음원 유통과정에 각종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계획이다.
https://tokenpost.kr/article-1035


3. 비트코인 열풍...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의 미래는?
사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오래 전부터 칼럼을 하나 쓸 생각이었는데 실기한 느낌이다. 정보의 탈중앙화를 주도하는 블록체인 기술은 인터넷의 미래를 바꿀 정도로 대단한 기술이다.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3&mcate=M1003&nNewsNumb=20171227306&nidx=27307


4. 안혁 "10년 뒤, 비트코인만 살아남을 것"
이런 상황에 대해 안혁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훈련이 되지 않은 사람들의 투기적 행태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진단하면서도 “암호화폐 투자에 대해 색안경을 끼고 무조건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지적했다. 안 연구원은 지난 7일 발표한 ‘CME와 CBOE의 비트코인 선물 상장’ 리포트를 통해 비트코인을 화폐가 아닌 ‘디지털 금’, 즉 상품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비트코인을 자산배분의 수단으로 바라보고 장기 적립식 투자를 할 것을 제안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2/20/2017122002965.html


5. IoT(사물인터넷)에 보안, 확장, 안정의 날개 단다
블록체인 기술을 IoT에 적용한 ‘블록체인 기반 IoT’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우선 분산 구조로 디도스(DDoS) 공격에 대한 예방이 가능하다. 각 노드가 데이터를 보유하고 검증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 위변조가 어렵다. 기기간 연결이 돼 있지만 일부 기기에 문제가 발생해도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또 시스템 내 노드간 연결을 통해 신규 노드가 쉽게 참여 할 수 있어 확장성도 좋다. 여기다 IoT 기기간 연결로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기 때문에 중앙서비스를 구축하고 유지해야 하는 기존의 IoT 시스템에 비해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OOXXZK4FR


6. 핀테크산업협회, '2017년 핀테크 10대 뉴스' 선정…블록체인·비트코인 강세
 올해 10대 뉴스는 ▲KPMG 선정 ’올해의 글로벌 50대 핀테크기업’에 한국기업 첫 포함 ▲P2P 금융시장, 2조원 돌파 ▲비트코인 2400만원 돌파, 가상화폐 거래량 1위 ▲인터넷전문은행 돌풍 ▲간편결제 10조 돌파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 연간 투자액 1,000억원 돌파 ▲금융위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추진 ▲소액해외송금업 허용 ▲크라우드펀딩 규제 완화 ▲개인 금융데이터를 제3자가 활용 가능하게 하는 ‘유럽 PSD2(결제서비스 지침)’ 도입이 선정됐다.
https://tokenpost.kr/article-1036


7. 이더리움 100만원 시대, 분산앱 가능성 증명되나
이더리움은 단순히 화폐를 대체하는 기능을 넘어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더리움 프로젝트는 크게 스마트계약서(Smart Contract)와 분산앱(Dapp)으로 구성된다. 스마트계약서는 '어떤 조건을 만족시키면 A가 B에게 1이더를 지급한다'는 계약을 별도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해 놓은 것이다. 이를 활용하면 부동산 거래, 중고차 매매, 보험, 물류 등을 포함해 각종 계약을 종이문서나 중개기관 없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구현할 수 있다.
https://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1221165242


8. 빗썸, 청년·스타트업 지원 프로젝트 ‘핀테크 아이디어 사업 공모전’ 개최
이번 공모전은 사회적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빗썸의 첫 번째 가치 선순환 CSV(Creating Shared Value) 프로젝트다. 빗썸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과 핀테크 신사업을 육성하고 정부의 국정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http://www.outsourci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899


9.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이석우 전 카카오 공동대표 영입
이석우 대표는 앞으로 업비트 블록체인 사업을 필두로 핀테크 사업을 적극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업비트는 회원 수 120만 명, 일평균 이용자 100만 명, 동시접속자 30만 명, 일 최대 거래액은 10조 원을 달성했다고 업체는 최근 밝혔다.
https://tokenpost.kr/article-1034


10. 암호화폐, 해킹에 안전?…유빗은 왜 당했나
지난 4월22일 야피존은 인터넷과 연결된 내부 서버가 해킹돼 3천831개 비트코인이 유출돼 당시 기준으로 55억원 손실을 입었다. 그에 따라 투자자들이 해당 거래소에 보관했던 자산 중 37.08%를 일괄 차감하고 남은 금액을 자체 코인인 '페이(Fei)'로 지급하고 추후 순차적으로 보상해 주겠다는 대책을 발표했다. ​문제는 8개월여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또 다시 비슷한 해킹사건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야피존은 4월 해킹 뒤 10월에 유빗이라고 이름을 바꾸고 해킹 당한 거래소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1220150149&lo=z45


11. 가상화폐거래소, 협회만 벌써 3개
지난 19일 가상화폐거래소협회는 서울시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발기인 총회를 가졌다. 이 협회는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자율규제를 시행하겠다는 목적으로 출범했다. 하지만 이미 현재 준비위원회 상태인 한국블록체인협회가 내년 2·4분기 시행을 목표로 자율규제안을 마련한 상태다. 이 블록체인협회에는 이미 빗썸·코인원·코빗·코인네스트 등 대형 4사를 포함해 15곳의 가상화폐거래소가 참여한다. 거래소협회에 참여하는 거래소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OOXXMAYME


12. 정부지원 암호화폐 주장 '엘디시움' 논란…법제처 "우리와 관련 없어"
앞서 한 국내 매체는 아젠다컴퍼니가 이번달부터 블록체인과 중앙집중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새로운 암호화폐 '엘디시움(ELD)'을 출시한다고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엘디시움은 100% 정부지원을 받아 제작하는 한국형 암호화폐라고 주장했다. 또 원화와 교환할 수 있으며, 채굴도 가능하고, 정부지원으로 구축되는 만큼 전국 은행과 가맹점에서 실제 사용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https://tokenpost.kr/article-1042


13. 비트코인 쉽게 하드포크 가능케해주는 웹사이트 등장
http://www.getnews.co.kr/view.php?ud=BL211331206107481065a1d6_16


14. 가상화폐 거래소, 4만원만 내면 등록… 투자자 보호장치는 없다
주식의 10~30배 수수료 떼고 主고객 젊은층 단타 거래 엄청나
빗썸, 올해만 수천억 수익 소문
한국, 진입규제 없어 20여곳 난립… 美·日은 라이선스 도입해 관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2/21/2017122100503.html


15. 현대상선, 해운물류 블록체인 검증 완료
지난 8월부터 블록체인 도입을 위한 시험 항차 실시 최첨단 IT기술 적용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선도
http://www.nocutnews.co.kr/news/4896187


16. 비트코인 분산장부로 안전하다더니 왜 해킹당하나
블록체인 기술은 해킹 불가능…거래 편의성 위해 만든 전자지갑 '월릿' 노린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122010485904403


[이전뉴스]
 - 2017년12월 20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 2017년12월 19일 블록체인 관련 뉴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