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절이 되면 항상 머리속에 떠나지 않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네비게이션의 신뢰성이다.
실시간 네비게이션에 대한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이런 의문은 더더욱 커진다.

실시간 네비게이션의 원리는 해당 도로에 일정하게 등록된 자동차들로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공공의 교통정보등을 수집하여 단시간 적절한 주행경로를 안내해주는 기능이다.

초기 네비게이션 즉 네트워크가 단절된 네비게이션에서 이제는 실시간 네비게이션으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가입자의 증가가 정확성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타나고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간이라는 것은 현재의 도로교통상황을 의미하며 앞으로의 교통상황은 그것을 참고하여 추론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추론은 사람이 적을 경우 정확도가 높아지지만 만약 가입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설 경우 비정상적 오류를 범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실시간 네비게이션의 최악결과>

예를 들어 A부터 B구간이 현재 원활할 경우 그 당시 그 경로로 예정된 사람들을 그곳으로 안내를 해 준다. 문제는 그 안내자들이 의외로 많다는 사실... 원활한지 알고 다수의 가입자들이 그 도로를 사용하게 되고 가입자가 아닌 사람들이 그 도로를 사용함에 따라서 원활한 구간은 순식간에 정체구간으로 변질되어 버린다.

아마도 이런 경험을 많이 했을 법한 분들이 있을 것이다. 한적한 시골 국도인데 엄청난 정체를....
더 불운한 것은 그 도로에 들어온 차들의 행선지가 대부분 비슷하다는 점...
결과적으로 이런 오류가 반복되고 특히 명절에 반복되면 생각보다 더 오랜시간이 걸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도로 중심의 안내>

AI의 도입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실시간 교통정보에 더해서 가입자들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A부터 B까지의 도로의 적정 차량수요를 예측하고 가입자 이외의 비가입자 비율계산 그리고 그것을 통해서 허용한계치를 계산한 다음 해당 구간에 추천하는 가입자 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A부터 B까지의 안내 대상 가입자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차량 이외는 다른 구간을 지속적으로 계산해서 분산시키는 단계가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것들은 기존의 실시간 네비게이션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기존 방식은 구간별 소통량 예측을 통해 가입자에게 안내를 해주는 수준이라면 AI를 도입하는 것은 관리단위가 도로가 아닌 개인 차량으로 귀속되고 실시간 정보등을 조합하여 차량 개개별의 최적의 구간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가입자들에게 현재의 교통상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가입자가 예상되는 구간에 도착하는 시간대의 교통량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안내할 때 네비게이션의 정확도가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의 이동경로와 그에 따른 각 구간별 도착예정시간의 구간별 소통량을 더할 때 비로소 최적의 네비게이션이 완성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결과적으로 자율주행차도 이렇게 운행되지 않을까!!

반응형
반응형

문득 ICBM이 뭐지.. 하는 분들이 많을듯 합니다.

사실 ICBM이란 단어가 IT에서 나오면서 한때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죠.

 

이전까지 흔히 쓰는 ICBM이란 단어는 주로 군사적 용어인 대륙간탄도미사일(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이였습니다. 핵탄두를 탑제하고 장거리 국가를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의미하죠.

그런데 2014년 4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ICBM을 다른 용도로 언급하면서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게 됩니다. 한간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가 뭔 미사일을 만든다는 거지?? 이렇게까지 오해하기도 했죠.

 

그렇다면 ICBM이 어떤 것이고 왜 이것이 언급이 되었는지 간략하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있겠지만 ICBM은 다음 4가지를 언급합니다.

 - IoT

 - Cloud

 - Big Data

 - Mobile

 

이것을 정부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ICBM이란 기본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하고,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술로 이를 분석해서, 적절한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 서비스(Mobile)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것"

 

사실 IoT가 세상에 나타나면서 나머지 3가지 사항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을듯 합니다.

IoT는 Internet of Things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것을 의미하죠. 특히 요즘 들어서 이런 기기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집, 자동차, 회사 등 다양한 곳에서 IoT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IoT의 급격한 증가와 그에 따른 Data 증가에 효율적 대처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Cloud가 중요시 되었고 방대한 자료의 활용을 위한 Big Data 즉 Data의 분석이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이런 분석된 Data의 적시 활용이 가능하도록 이에 대한 Mobile 서비스를 통해서 정보의 입력과 출력이 완성됩니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발생을 합니다. 입력 즉 IoT는 지소적으로 증가하는데 출력에 대한 부분이 Quick하지 않다는 점이죠. IoT-> Cloud까지는 자동으로 진행이 되지만 Big Data 부터는 분석을 위한 시간소요가 길어지게 됩니다. 이 부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AI(인공지능) or Machine Learning이 핵심 화두로 Global 선두 업체들이 관심을 갖게 됩니다.

 

그래서 요즘은 Big Data 부분을 AI나 Machine Learning으로 대체하여 부르기도 합니다.

 

이렇듯 ICBM이라는 말과 함께 국내의 IT의 생태계의 변화가 시작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 Global 기업들은 몇년 이상 앞서서 시장을 리드하고 있습니다. ICBM의 핵심 축인 Big Data영역의 경우 이미 AI나 Machine Learning의 Biz.를 위한 진행이 오래전부터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인 알파고와의 바둑대결이 성사될 정도로 인공지능의 기술발전은 한참 앞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런 변화... 왜 우리는 몰랐을까.. 아니면 외면했을까... 그 결과는 무엇일까...

이런 내용이 앞으로 블로그에 담길듯 합니다. 단순하게 따라가는 부분이 아니라 현상을 이해하고 그 기술들이 나타나는 기회요소들은 무엇이 있을지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