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양광 발전의 제약사항 중 하나가 장소문제이다. 지방을 가다보면 논 또는 밭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하지만, 이런 경우 기존의 토지를 활용하는 제약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고 대규모로 설치하게 될 경우 엄청난 공간을 낭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임야등을 개간한 뒤에 발전설비를 만든 경우는 환경적 문제와 재해를 불러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의 다양한 적용사례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사용하지 못하는 토지나 구조물을 적극 활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철도라인에 태양광 전지를 설치하거나, 옹벽같은 구조물을 활용하는 식으로 활용 가능한 토지가 아닌 곳에 다양한 발전설비를 적용하여 토지의 재활용을 한층 높이는 방식으로 확대되고 있다.

친환경 발전의 핵심은 이런 활용성이 낮은 인공구조물을 적극활용하는 방법 만으로도 다양한 발전이 가능하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곳이 바로 지붕과 건물 외벽 등이지만, 이것을 더 확대하면 인간이 만든 인공구조물 특히 토목영역의 대규모 구조물을 적극 활용하는 방법 만으로도 자연훼손을 최소화 하면서 친환경 발전을 확대할 수 있는 요소들이 무궁무진하다.

친환경은 어디까지나 자연과 공존하는 속에서 적용될 때 진정한 친환경이 될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만든 인간의 구조물을 활용하는 것만으로 자연 훼손과 파괴를 최소화하며 친환경 발전을 지속하게 된다면 우리가 말하는 진정한 친환경 발전과 공존하는 시대를 만들어 갈 수 있지 않을까 한다.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721

 

스위스 도로 옹벽에 수직형 PV 모듈 설치… 연간 약 230MW 공급 - 인더스트리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스위스 도로에 옹벽을 활용한 수직형 태양광 모듈이 설치됐다.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된 이 모듈은 아스팔트와 근접성을 고려한 예외적인 부식 방지

www.industrynews.co.kr

 

반응형
반응형

친환경 에너지를 말할 때 우리는 흔히 태양광/풍력이나 전기 등의 발전과 소비에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진정한 친환경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ESS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RE100은 달성할 수 없다.

친환경 발전은 간헐성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다. 간헐성을 극복하는 나라는 친환경 전환이 빠른 반면 그렇지 않은 나라는 여전히 탄소발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일부에서는 SMR을 언급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핵폐기물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결국 간헐성은 ESS를 통해서 극복할 수 있다. 현재는 BESS에 기반한 ESS 시장이 성장하고 있고, 수소기반 ESS에 대한 투자도 지속되고 있다. 사실 진정한 친환경 ESS는 BESS보다 수소기반 ESS를 언급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촉매 등의 구조적 문제가 해결될 때 까지는 BESS가 시장의 대세를 이룰 전망이다.

전기차의 가속화는 각국에 또 다른 문제를 만들고 있다. 당장의 전력소비는 그렇다 치더라도 송배전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당장 국내도 새로운 발전소가 완성되어도 그에 따른 송배전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2~3년간은 유휴상태로 둬야 하는 문제가 지금 발생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중에 지역별 ESS를 운영하여 그 부분을 대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현재의 송배전 구조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수립하지 않으면 전기차와 친환경 발전의 확대는 불가능하다.

송배전 문제는 뒤로 하고 일단 친환경 발전의 간헐성을 어느정도 대체하고 그에 따른 탄소발전 자체를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ES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만이 RE100을 조기 달성하고 탄소국경세를 최소화 할 수 있지만, 국내는 이 부분에서 뒤쳐져 있다.

이미 ESS에 대해서 각국에서 빠르게 확대하고 있고, 전력공급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전기차에 치중된 베터리 산업도 ESS를 바라보면 그 규모가 2030년에는 약 2620억 달러에 도달할 정도로 시장규모는 더욱 확대될 수 밖에 없다.

친환경 발전의 성장과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ESS의 성장을 더 끌어 들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더 ESS에 관심이 갖는 이유일 수 밖에 없다.

친환경 Eco-system에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Upstream과 Downstream이 아닌 Midstream의 성장이 아닐까!!

https://www.weeklyseoul.net/news/articleView.html?idxno=73591

 

남아시아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급성장 중....韓 진출 기회 되나 - 위클리서울

[위클리서울=이호재 기자] 남아시아권의 에너지 수요 증가 및 에너지 저장시스템(ESS)산업 성장으로 국내 기업이 진출할 길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란 불규칙적으로 생

www.weeklyseoul.ne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