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벌써부터 AI로 인한 차별에 대한 우려하는 곳이 생겨났습니다.

어쩌면 발전속도가 빠르다보니 이런 부분이 더 현실적으로 인식되는게 아닌가 합니다.

 

AI의 활용범위에 따라 어쩌면 기업운영자보다는 고용자 입장에서 역차별이 생길 수 있고 특히나 AI를 활용하여 인사관리, 채용관리를 하는 경우에 더더욱 이런 문제가 더 빈번해 지지 않을까 합니다.

 

AI의 활용이 정말 인간에게 도움이 될지 인간을 배격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자리잡을지 이미 미국에서는 일론머스크가 도화선을 당긴 상태이긴 합니다.

 

현재도 진행 중이긴 하지만 AI로 인한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는 이미 일부에서는 현실로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AI를 의존한 경영을 할 경우 노동법상의 헛점이 어떻게 보완이 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을듯 합니다.

 

 

[관련기사]

“홍콩, AI 기술 관련 법·제도 정비 필요” 지적 목소리

홍콩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AI가 차별하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과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927010013736

반응형
반응형

이제 IT하면 중국을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에전 모 세미나에서 한국인들에게 도전적 메세지를 던진 강사가 있었죠.

한국과 중국의 기술격차는 어떻게 될것 같은가.. 라는 질문...

 

한국내 여전히 중국을 우리보다 뒤쳐진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미 중국은 우리와 비교할 수 없을만큼 멀리 떨어져서 미국을 잡으려고 안달이죠.

 

이번 기사에서도 언급되는 AI칩을 개발한 기업도 1년된 신생업체지만 전세계에서 최초라는 모바일 칩을 개발한 것 자체로도 의미가 있을듯 합니다.

 

아직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한국의 IT 저력을 보여주지만 이미 IT의 대다수 특히 4차산업 관련 내용은 이미 저 멀리 달리고 있습니다.

 

이제 스마트폰의 핵심 부품도 자체개발하는 중국을 보면서 우리도 무언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

[중국기업이야기] "화웨이도 인정" 중국 최초 AI칩 유니콘기업―캠브리콘

화웨이, 세계 최초 모바일 AI칩셋 개발주역

설립 1년된 신생 스타트업…기업가치 10억 달러

반응형
반응형

스마트폰 이후 시장에서 존재감을 상실하며 무너질것만 같은 MS

그래도 꾸준히 노력하며 혁신을 이어나가고 있는듯 합니다.

 

이번 MS 청사진 공개에서 느끼지만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이 이색적입니다.

특히 언급된 내용 중

 - 양자컴퓨팅 지원

 - 클라이언트 전용 PC 지원

 - AI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검색 강화

 -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의 강화

 

MS의 변신은 또 시장을 어떻게 흔들어 놓을지 기대됩니다.

 

---------------------------------------------------------------------------------------------

MS, 클라우드-AI 융합 청사진 공개

IT거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클라우드, 인공지능(AI), 혼합현실 기술을 융합한 제품 및 서비스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개발자를 위한 양자 컴퓨터 프로그래밍 도구 출시를 예고했다.

■AI 품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소프트365-오피스365

■개발자-IT인프라 관리자 생산성 높이는 MS애저 클라우드 신기능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926103354&type=det&re=

반응형

+ Recent posts